설 성수품인 배추·무·배 등 급등... 주부들 근심 커져간다

  • 경제/과학
  • 지역경제

설 성수품인 배추·무·배 등 급등... 주부들 근심 커져간다

대전 무 가격 1년 전보다 60% 인상... 배추도 68% 올라
대표적 성수품인 배 21%, 사과는 16% 각각 인상 지속

  • 승인 2025-01-06 15:46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과일사진
민속 최대의 명절 설을 앞두고 배추와 무 등 주요 설 성수품 가격이 급등하며 주부들의 근심이 커지고 있다. 차례상에 올릴 과일 가격도 예년보다 크게 오르면서 부담이 높아질 전망이다.

6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이날 기준 대전의 무(1개) 소매가격은 2895원으로, 1년 전(1807원)보다 60.21%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2020년부터 2024년 가격 중 최고·최소 가격을 제외한 3년 평균인 평년 가격(2099원)과 비교해도 37.92%나 오른 수치다. 배추 가격도 오름세다. 대전의 배추(1개) 소매가는 5327원으로, 1년 전(3163원)보다 68.42% 급등했다. 평년 가격(3754원)으로 놓고 봐도 41.9% 인상됐다. 배추와 무 가격 상승은 기후변화가 영향을 끼쳤다. 지난해 추석 이후 가을까지 늦더위가 계속되며 농산물 생육이 부진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겨울 무 주산지인 제주에 비가 자주 내린 것도 무 생산량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설 대표적인 성수품인 배 가격도 강세를 보인다. 배(10개) 대전 소매가는 6일 기준 4만 767원으로, 1년 전(3만 3681원)보다 21.04% 상승했고, 평년(3만 3984원)보다는 19.96% 올랐다. 배 가격 상승은 공급량 감소가 주된 원인이다. 2024년 배 생산량이 2023년 대비 3%가량 감소했고, 수확 후 저장 단계에서 고온으로 피해가 발생해 유통 가능 물량이 생산량보다 줄었다.

대전의 사과(후지) 평균 소매가격 역시 10개에 3만 3950원으로, 1년 전(2만 9235원)보다 16.13% 상승했으며, 평년(2만 5457원)보다는 33.36% 인상됐다.



설 성수품은 아니지만, 겨울철 소비자가 많이 찾는 감귤은 6일 기준 10개에 4903원으로, 전년(4279원)보다 14.58% 올랐고, 평년(2942원)보다는 무려 66.66%나 급등했다. 감귤 역시 2024년 여름철 폭염으로 열과 현상인 갈라짐 피해가 컸고, 생육 부진으로 출하량이 줄면서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 딸기는 가격이 예년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대전의 딸기(100g) 소매가는 6일 기준 2100원으로, 1년 전(2303원)보다 8.81% 인하했다. 다만, 평년 가격(2027원)보다는 3.6% 오른 수준이다.

축산물 가격은 농산물보다 안정적이다. 5일 축산물품질평가원 조사 기준 대전의 한우 1등급 등심 소매가격은 100g에 9392원으로, 1년 전(1만 187원)보다 내렸다. 평년 가격(1만 449원)보다도 아래다. 닭고기 소매가격도 1kg에 5091원으로, 1년 전(5273원)보다 하락하며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며, 평년(5455원)보다도 가격이 내려갔다. 다만, 동절기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은 닭고기와 계란값의 변수가 될 수 있다. 가금농장에서 고병원성 AI가 확산하면 방역을 위한 살처분과 이동 제한으로 인해 닭고기와 계란 가격이 오르게 된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일과 중 가방 메고 나간 아이들, 대전 유치원서 아동학대 의혹
  2. 1기 신도시 재건축 '판 깔렸지만'…못 웃는 지방 노후계획도시
  3.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4. 이장우 "0시축제 3대하천 준설…미래위해 할일 해야"
  5. 밀알복지관 가족힐링캠프 '함께라서 행보캠'
  1.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 1호점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2. 교정시설에서 동료 수형자 폭행 '실형'…기절시켜 깨우는 행위 반복
  3. 축산업의 미래, 가축분뇨 문제 해결에 달렸다
  4. 1년치 단순통계 탓에 400여개 환자병상 사라질판…"현저한 의료격차 만들어"
  5. 농산 부산물, 부가가치 창출...환경과 경제 살리는 동력

헤드라인 뉴스


대전도시철도 무임손실 지난해 125억… 정부, 국비요청 묵묵부답

대전도시철도 무임손실 지난해 125억… 정부, 국비요청 묵묵부답

대전을 포함해 전국 도시철도가 무임승차로 인한 손실액이 매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뒷짐을 채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국가 정책에 따라 법정 무임승차를 이어오고 있지만, 정부는 수십 년간 요청됐던 국비 보전을 받아들이지 않고 있어 재정 문제는 지자체와 운영기관이 고스란히 떠안고 있다. 8일 대전을 포함해 전국 6개 교통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도시철도운영기관 무임승차 손실액은 7228억 원에 달했다. 대전은 지난해 125억 원으로 4년 전(76억 원) 대비 약 64.4%나 늘어난 셈이다. 도시철도 운영기관은 도시철..

올해 수능 55만 4174명 지원… 10명 중 6명이 `사탐런` 최대변수
올해 수능 55만 4174명 지원… 10명 중 6명이 '사탐런' 최대변수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지원자가 전년보다 3만1504명 늘어나며 55만 명을 넘어섰다. 또 응시자 10명 중 6명은 사회탐구(사탐) 영역을 선택하면서 '사탐런'이 이번 수능 최대 변수가 될 전망이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8일 발표한 원서접수 결과에 따르면 올해 수능 응시생은 55만4174명으로 집계됐다. 전년도(52만 2670명)보다 3만1504명 늘었다. 이는 2007년 '황금돼지 해' 출생자가 올해 고3에 진학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이번 수능은 고3 재학생이 37만 1897명(67.1%), 졸업생 15만 9922명..

국회에 ‘기념사’ 해명하러 왔다가 혼쭐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국회에 ‘기념사’ 해명하러 왔다가 혼쭐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항일 독립운동 폄훼와 친일 논란을 빚고 있는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이 8일 국회를 찾았다고 혼쭐이 났다. 8·15 광복절 기념사 왜곡과 광복회원 농성의 부당성 등에 대해 입장을 밝혔지만, 독립운동가 후손과 시민단체의 반발을 사면서 쫓기듯 국회를 벗어날 정도였다. 김 관장은 이날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기자회견은 국민의힘 김민전 의원이 주선했다. 김민전 의원은 12·3 비상계엄 후 올해 1월 ‘윤석열 전 대통령을 지키겠다’며 한남동 공관 앞에서 시위를 벌이며 자신들을 ‘백골단’으로 소개한 ‘반공청년단’의 국회 소통관 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 물에 잠긴 도로 달리는 차량들 물에 잠긴 도로 달리는 차량들

  • 맨발로 느끼는 힐링 오감 축제…‘해변을 맨발로 걸어요’ 맨발로 느끼는 힐링 오감 축제…‘해변을 맨발로 걸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