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일 오후 국회 본회의에서 내란 특검법, 김건희 여사 특검법, 양곡관리법 개정안 등 농업 관련 법안 4개, 국회법 개정안, 국회증언감정법 개정안 등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에서 재의요구권(거부권)이 행사된 안건이 상정되고 있다. |
국민의힘은 고성을 지르며 항의했고, 윤석열 대통령 측은 또다시 “영장 집행에 응할 수 없다”고 맞섰다.
우 의장은 이날 오후 국회 열린 본회의에서 "전 세계가 지켜보고 있다"며 "대한민국의 근간인 법치주의와 국가 사법체계를 정면으로 부정하는 일이 더는 없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또 "현직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발부는 국가적으로 큰 불행한 일"이라며 "헌법 수호의 의무가 있는 입법부의 수장으로서 법치라는 헌법 가치가 부정되는 상황을 지켜보는 것은 옳지 않다 판단된다"고 했다.
우 의장은 "비상계엄 사태를 수습하는 과정에서 혼돈과 교착의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계엄군이 총을 들고 국회로 들어온 사건"이라며 "절대로 사안의 본질이 호도되어서는 안 된다. 여야의 정치 갈등, 진보 보수의 이념 갈등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헌법과 반헌법, 민주주의와 반민주주의가 문제의 본질"이라며 "지금 대한민국이 어떤 나라가 될지 갈림길에 서 있는 상황에서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정상 궤도를 회복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말했다.
우 의장은 "한국의 민주주의와 헌법 절차에 따라 정 상적으로 움직인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며 "그것이 대외신인도 회복이다. 대통령은 더 이상 나라를 혼란에 빠뜨리지 말고 책임 있는 자세로 사법 절차에 임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발언을 듣던 국민의힘 의원들은 "그만하세요", "그냥 진행하세요"라고 소리쳤고,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국힘 의원들에게 "한남동이나 가세요"라고 항의했다.
![]() |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와 경찰 국가수사본부가 참여하는 공조수사본부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기한 연장에 나선 가운데 7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입구에 버스가 주차돼 있다. |
물론 "기소를 하거나 사전영장을 청구하면 법원 재판에 응하겠다는 입장"이라고 했지만, "무효인 체포영장에 의해 진행되는 수사에 응할 수 없다는 입장은 변함이 없다"고도 말했다.
윤 대통령은 공수처의 내란죄 수사권 등 절차상 문제를 이유로 수사기관의 출석 요청에 응하지 않고 있다. 2024년 12월 8일 내란 수괴 혐의로 입건된 이후 수사는 한 달째 제자리를 맴돌고 있다. 그러면서 공수처의 2차 체포영장 집행에 대비해 관저 앞은 삼중 사중의 차벽과 철조망으로 봉쇄하면서 유혈 사태 발생 가능성을 키우고 있다.
서울=윤희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