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논단] 대전 대기업 유치, 겉도는 헛바퀴

  • 오피니언
  • 월요논단

[월요논단] 대전 대기업 유치, 겉도는 헛바퀴

강병수 충남대 명예교수.대전학연구회 회장

  • 승인 2025-02-16 17:21
  • 신문게재 2025-02-17 18면
  • 송익준 기자송익준 기자
강병수
강병수 명예교수
과학기술도시(technopolis)를 표방하는 대전시에 대기업의 유치는 그 어느 지역경제 전략보다도 중요하다. 자동차에 바퀴가 달려 있듯이 과학기술도시도 바퀴가 필요하다. '과학기술도시 바퀴(technopolis wheel)'는 6개의 주요 바큇살, 즉 연구대학·연구소, 대기업, 창업중소기업, 중앙정부, 지방정부, 그리고 지지집단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대전 과학기술도시는 대기업이란 바퀴살이 빠져 아쉽게도 헛바퀴만 계속 겉돌고 있다.

1950, 1960년대는 제조업 전성시대였다. 항만이나 운하가 없는 내륙도시들은 제품의 운송을 값비싼 육로에 의존해야 했으므로 중후장대형 제조업은 꿈도 꾸지 못하고, 노동집약적인 도시형 제조업이나 서비스업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제조업 전성시대 경쟁력이 단연 높았던 중후장대형 제조업인 제철, 정유, 조선업 등은 내륙도시에의 입지가 불가능하였고, 지금도 그렇다.



그러나 1970년대부터 세계 각지에서 일어난 첨단산업은 제품이 워낙 고가(高價)이고 제품 가격 대비 물류비가 낮아 교통비보다는 오히려 다른 요인으로 자리 잡는 경향이 커졌다. 첨단산업은 교통비에 구애되지 않고 입지가 자유로운 산업(foot-loose industry)이기 때문이다.

1970년대부터 첨단산업이 발흥하면서 수도(首都)와 멀리 떨어져 있어도 강한 경쟁력을 갖는 과학기술도시를 꿈꾸는 내륙도시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첨단산업을 도시 중심산업으로 삼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려는 움직임이 세계 각처에서 일어난 것이며, 그 가운데 한 도시가 바로 대전이다.



과학기술도시에 성공한 도시들은 일반적으로 짧게는 20년, 길게는 30년 정도 기반형성단계와 도약단계를 거쳐 성숙단계로 진입한다. 그리고 시민들의 상당수가 첨단산업과 관련된 일자리에 종사하고 첨단산업이 그 지역의 중심산업이 되어 지역의 일자리 창출과 과학기술도시를 견인한다.

대전 대덕연구단지는 1973년 건설을 시작하여 1998년에 완성되었다. 그리고 2000년에는 김대중 대통령이 대덕연구단지를 대전의 성장엔진을 넘어 대한민국의 성장엔진으로, 미국 실리콘밸리에 버금가는 원대한 희망을 담아 '대덕밸리'로 선포하였다. 대덕연구단지 건설 이후 50년이 지난 지금도 대전시민들은 여전히 과학기술도시를 대전의 비전으로 삼고 과학기술도시를 열망하고 있으나, 대다수 시민은 과학기술도시와 첨단산업 분야와 상관없는 일자리에 종사하고 있다.

연구단지에서 연구·개발된 많은 첨단기술이 지역기업에게 이전되려면 이를 온전히 받을 수 있는 대기업이 필요하고, 대기업은 협력기업과 하청기업, 첨단벤처기업과 관련 기업들을 주위에 거느리면서 산업생태계를 만든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대기업 본사가 서울에 자리 잡은 가장 큰 이유는 외부조직, 특히 중앙정부와의 접촉 가능성이었으며, 다음으로 프리스티지(prestige), 유능한 인력 확보, 대중교통과의 접근 가능성, 다른 의사결정자(decision makers)의 조언 순으로 중요했다.

그러나 시대가 변화하면서 과학기술도시에서는 생활권 내에 소재하는 물류공항이 더욱 중요하게 되었다. 왜냐하면 첨단제품 운송의 90% 이상이 항공운송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첨단산업 제품은 가격 대비 낮은 물류비용뿐만 아니라 제품의 특성상 외부에 장기간 노출을 피할 수 있는 항공운송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미국의 오스틴시, 일본의 교토시, 독일의 뮌헨시, 프랑스의 리옹시 등 각 나라 내륙도시들이 첨단 과학기술도시로 변모하고 있는 배경에는 공항의 역할이 크다.

대전은 과학기술도시를 비전으로 삼으면서, 국가 이공계 핵심 연구소 대부분을 보유하면서도 과학기술도시로서 도약단계를 맞지 못하고 50년째 기반형성단계에 머물러 있다. 과학기술도시는 밸리(belly)항공 운송으로서는 해결할 수 없는, 충분한 규모와 용량을 갖춘 물류공항의 확보가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하기 때문이다.

대전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내륙도시이지만, 시민들이 오랫동안 과학기술도시를 염원하고 있으므로 시대 상황에 맞게 첨단 대기업 유치에 필요한 인프라와 매력적인 지역어메니티, 그리고 유치정책들을 세밀하게 검토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헛바퀴만 겉도는 안타까운 상황이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강병수 충남대 명예교수.대전학연구회 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해운대 겨울밤 별의 물결이 밀려오다 '해운대빛축제'
  2.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3. [2026 수능]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4. [2026 수능] 황금돼지띠 고3 수험생 몰려… 작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어려워
  5. [2026 수능] 분실한 수험표 찾아주고 시험장 긴급 수송…경찰도 '진땀'
  1. [대입+] 종로학원 2026 수능 가채점 정시 분석… 서연고 경영 280점대, 의대는 290점 안팎
  2. 세종시 어린이들의 '가족 사랑' 그림...최종 수상자는
  3. 초록우산 박미애 본부장, '시낭송 상금' 100만 원 기부 귀감
  4. 한남대, 2025 산학프로젝트 챌린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5. 건보공단, 미혼 한부모가정 위한 따뜻한 지원 눈길

헤드라인 뉴스


서연고 경영 280점대… 수도권 의대 285, 비수도권 275점

서연고 경영 280점대… 수도권 의대 285, 비수도권 275점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가채점 결과를 토대로 한 정시 합격선 예측에서 서울 주요 대학의 경영·의학계열 합격선이 280~290점대에서 형성될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는 문과 지원확대와 의대 정원 원복, 탐구영역 선택 변화 등으로 인해 정시 지원전략에서 문·이과 모두 경쟁 양상이 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14일 종로학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국어·수학·탐구(2) 원점수 합 기준으로 서울대 경영대학 합격선이 284점, 연세대·고려대 경영이 280점, 성균관대 글로벌경영이 279점, 서강대 경영학부 268점, 한양대 정책학과..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합작…한국 대표팀 볼리비아에 2-0 승리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합작…한국 대표팀 볼리비아에 2-0 승리

대한민국 축구 대표팀이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활약에 힘입어 볼리비아와의 평가전을 승리로 이끌었다.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한국 축구 대표팀은 14일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볼리비아와의 평가전에서 2-0으로 승리했다. 홍명보 감독은 4-2-3-1 포메이션을 꺼내 들었다. 9월과 10월 A매치에서는 스리백을 시험했지만, 이날은 포백을 통해 선수들의 기량을 점검했다. 손흥민을 원톱에 세운 뒤 2선에 황희찬과 이재성, 이강인을 배치해 공격 라인을 꾸렸다. 중원조합은 김진규와 원두재를 내보냈고, 포백라인은 이명재, 김태현, 김민재, 김..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설립을 앞둔 대전 중구 대흥동의 애물단지인 메가시티 건물이 기피시설이란 우려를 해소하고 새롭게 변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치권에서는 정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미래 첨단 산업 및 도시재생과의 연계를 시도하는 모습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은 국회의원회관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관계자를 만나 대전 중구 대흥동에 인공지능 산업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요청했다고 14일 밝혔다. 대전 중구 대흥동에 위치한 메가시티 건물은 2008년 건설사의 부도로 공사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