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29. 대전 서구 도안동 일대 노래방

  • 경제/과학
  • 지역상권분석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29. 대전 서구 도안동 일대 노래방

목원대 인근 도안동 상권 내 노래방 총 4곳으로 줄곧 유지
서구와 대전 전체 감소세에도 해당 상권은 지속적인 업력
월 매출 평균 900만원 이상... 20·30·40대 소비자 다수 방문

  • 승인 2025-02-19 17:00
  • 신문게재 2025-02-20 5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ㅇㅇ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을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해봤다. <편집자 주>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29. 대전 서구 도안동 일대 노래방



직장인 조 모(41) 씨는 학창시절부터 노래방 가는 걸 즐겼다. 친구들과 함께 가기도 하지만, 혼자서도 갈 만큼 노래하는 걸 좋아한다. 수준급의 노래 실력을 자랑하는 건 아니지만, 노래방에 가면 직장 내 스트레스가 날아가는 기분이다. 집 안에 노래방을 설치할까도 고민하던 그였지만 아내의 반대에 그러진 못하고 있다. 일주일 몇 번 씩 노래방에 가는 그는 문득 노래방 창업이 하고 싶다는 생각이 강하게 들었다. 현재 직장도 자신이 좋아했던 일이지만, 취미를 업으로 삼으면 행복이 배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이다. 그간 저축해놓은 목돈으로 창업에 뛰어들까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다. 그러나 월 매출은 얼마나 나오는지, 주요 손님 연령대는 어떤지 궁금하단다. 그의 가려운 부분을 긁어줘봤다.



▲경쟁자는 얼마나=조 씨가 원하는 서구 도안동 일대 상권 노래방 수는 2024년 11월 기준 4곳이다. 1년 전과 같다. 서구 전체 노래방 업소 수는 430곳으로 1년 전(444곳)보다 14곳 줄었다. 대전 전체로는 이 기간 1228곳에서 1167곳으로 61곳 감소했다. 서구와 대전에서 전체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그가 원하는 상권은 꾸준하게 업력을 이어가고 있다. 인근 대학과 청소년 등의 수요와 거주민들의 수요가 충분한 만큼 깔끔하게 가게 관리를 하면 충분한 승산이 있어 보인다.





▲매출은=해당 상권 매출은 점차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월 평균 매출액은 2024년 11월 기준 975만원으로, 1년 전(659만원)보다 크게 올랐다. 2024년 10월엔 1016만원으로 1000만원을 넘기기도 했다. 해당 상권 매출은 서구와 대전 전체보다 높은 수준이다. 서구 전체 월 평균 매출은 2024년 11월 기준 632만원, 대전 전체로는 603만원이다. 매출은 주중과 주말 편차가 나지 않았다. 주중엔 141만원, 주말은 136만원이다. 주중엔 수요일이 179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목요일 160만원, 월요일 157만원, 금요일 112만원, 화요일 97만원 순이다. 주말엔 토요일과 일요일이 각각 136만원, 135만원으로 비슷했다.



▲주요 고객층과 방문 시간대는=노래방을 가장 많이 찾는 시간대는 오후 5시부터 밤 9시였다. 이 시간대 매출액은 586만원으로 가장 잘나왔다. 이어 오후 9시~밤 12시 310만원, 오후 2시~5시 44만원, 오전 11시~오후 2시 29만원 순이다. 성별로는 남성이 636만원으로, 여성(339만원)보다 압도적이었다. 연령대별로는 20대가 327만원으로 최다 매출을 기록했다. 이어 30대 295만원, 40대 216만원, 50대 56만원, 10대 50만원, 60대 이상 29만원 순이다. 20·30·40세대를 아우를 수 있는 젊은 연령층을 타깃으로 한 노래방으로, 깔끔함과 젊은 수요에 맞춘다면 소비자를 끌어모으기 충분할 것으로 보인다.



▲유동인구는=잠재적 고객으로 분류되는 유동인구는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2024년 11월 기준 해당 상권 유동인구는 2만 2182명으로, 1년 전(1만 3348명)보다 크게 늘어났다. 2024년 2월 한때 8054명으로 크게 줄기도 했으나 매월 회복세를 보이다 2024년 10월 2만명대로 껑충 뛰었다. 성별로는 남성이 1만 2199명, 여성은 9982명이다. 연령대별로는 40·50·60대가 4000명대였고, 20·30대는 3000명선이다. 10대가 2478명으로 가장 적었다. 주중엔 월~금요일이 2만명대로 고루 분포했으며, 토요일 2만 2171명, 일요일은 1만 9378명으로 적었다. 조 씨의 노래방 창업이 부디 성공으로 이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갑천 야경즐기며 워킹' 대전달빛걷기대회 5월 10일 개막
  2. 수도 서울의 높은 벽...'세종시=행정수도' 골든타임 놓치나
  3. 이상철 항우연 원장 "한화에어로 지재권 갈등 원만하게 협의"
  4. 충남 미래신산업 국가산단 윤곽… "환황해권 수소에너지 메카로"
  5.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1. 충청권 학생 10명 중 3명이 '비만'… 세종 비만도 전국서 가장 낮아
  2. 대학 10곳중 7곳 올해 등록금 올려... 평균 710만원·의학계열 1016만원 ↑
  3.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4. [춘하추동]삶이 힘든 사람들을 위하여
  5. 2025 세종 한우축제 개최...맛과 가격, 영양 모두 잡는다

헤드라인 뉴스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이제는 작업복만 봐도 이 사람의 삶을 알 수 있어요." 28일 오전 9시께 매일 고된 노동의 흔적을 깨끗이 없애주는 세탁소. 커다란 세탁기 3대가 쉴 틈 없이 돌아가고 노동자 작업복 100여 벌이 세탁기 안에서 시원하게 묵은 때를 씻어낼 때, 세탁소 근로자 고모(53)씨는 이같이 말했다. 이곳은 대전 대덕구 대화동에서 4년째 운영 중인 노동자 작업복 전문 세탁소 '덕구클리닝'. 대덕산업단지 공장 근로자 등 생산·기술직 노동자들이 이용하는 곳으로 일반 세탁으로는 지우기 힘든 기름, 분진 등으로 때가 탄 작업복을 대상으로 세탁한다...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올 시즌 절정의 기량을 선보이는 프로야구 한화이글스가 9연전을 통해 리그 선두권 경쟁에 돌입한다. 한국프로야구 10개 구단은 29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휴식 없는 9연전'을 펼친다. KBO리그는 통상적으로 잔여 경기 편성 기간 전에는 월요일에 경기를 치르지 않지만, 5월 5일 어린이날에는 프로야구 5경기가 편성했다. 휴식일로 예정된 건 사흘 후인 8일이다. 9연전에서 가장 주목하는 경기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LG 트윈스와 승부다. 리그 1위와 3위의 맞대결인 만큼, 순위표 상단이 한순간에 뒤바..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생이 교직원과 시민을 상대로 흉기 난동을 부리고, 교사가 어린 학생을 살해하는 끔찍한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학생·학부모는 물론 교사들까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경찰과 충북교육청에 따르면 28일 오전 8시 33분쯤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특수교육대상 2학년 A(18) 군이 교장을 비롯한 교직원 4명과 행인 2명에게 흉기를 휘둘러 A 군을 포함한 모두 7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경계성 지능을 가진 이 학생은 특수교육 대상이지만, 학부모 요구로 일반학급에서 공부해 왔다. 가해 학생은 사건 당일 평소보다 일찍 학교에 도착해 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

  •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