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초등생 사건 본질과 무관한 신상털기·유언비어 잇따라

  • 사회/교육

대전 초등생 사건 본질과 무관한 신상털기·유언비어 잇따라

  • 승인 2025-02-19 17:35
  • 신문게재 2025-02-20 6면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clip20250219172854
대전의 한 초등학교에서 교사에 의해 사망한 故 김하늘 양 사망사건으로 사회적 충격이 큰 가운데 사건 본질과 무관한 무분별한 유가족 신상털기와 특정 집단을 향한 유언비어가 끊이지 않고 있다.

19일 교육계에 따르면 10일 하늘 양 사망 이후 이번 사건 본질과 연관 없는 루머와 도를 넘어선 인신공격 등이 잇따르면서 법적 처벌을 위한 조치들이 이뤄지고 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은 전날인 18일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악성 허위사실을 유포한 이들을 허위사실 유포에 의한 명예훼손으로 고소장을 접수했다. 회원가입 없이 별명을 사용하는 게시글을 포함해 모두 12개 사용자에 대한 고소다. 피고소인들은 하늘 양을 살해한 가해 교사가 당초 6개월 휴직계를 내놓고 20여일 만에 복직하는 과정에 전교조가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유언비어를 각종 SNS를 통해 유포한 것으로 전해진다.

앞서 전교조 대전지부는 이러한 사실이 없으며 가해 교사는 전교조 소속이 아니라는 사실을 밝혔지만, 이 같은 게시글은 여전히 커뮤니티를 통해 확산됐다.



전교조는 "많은 국민에게 충격을 안긴 초등학생 살해사건의 가해자가 전교조 소속이고 대전지부가 부당한 방법으로 교사의 복직을 압박했다는 허위사실을 통해 전교조가 살인사건의 가해자를 두둔하는 것처럼 오도해 전교조의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켰다"며 "전국민의 공분을 사고 싶은 슬픔을 안긴 사건의 충격만큼 전교조에 대한 비난이 일어나도록 악의적으로 허위사실을 유포했다"며 고소 이유를 밝혔다.

사건 발생 이후 누구보다 슬픔에 빠져 있는 유가족을 향한 도 넘은 신상털기와 악성 게시글도 문제가 되고 있다. 사건 본질과는 관련이 없는 유가족의 과거 발언 등을 놓고 악의적 소문이 확산되면서다.

급기야 하늘 양 아버지가 직접 악성 댓글에 강력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대전교육청도 유가족을 향한 악성 댓글을 자제할 것을 요청한 바 있다.

경찰은 유족의 뜻에 따라 즉각 대응에 나섰다. 이날 오후 기준 대전경찰청은 총 388건에 대한 게시글을 삭제토록 하거나 방송통신심의위원회를 통해 차단 요청했다. 정도가 심하다고 판단해 수사에 착수한 건도 5건에 이른다.

전교조는 "혐오와 배제는 우리 사회가 극복해야 할 중차대한 과제임에도 불구하고 학생의 죽음이라는 끔찍한 사건을 이용해 혐오와 거짓뉴스를 유포하는 일은 매우 심각한 문제"라며 "엄정한 처벌을 통해 혐오 문화를 근절해야 한다. 허위 사실로 다른 사람을 공격하는 행태에서 벗어나 정의로운 민주시민으로 살아가길 바란다"고 밝혔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일과 중 가방 메고 나간 아이들, 대전 유치원서 아동학대 의혹
  2. 1기 신도시 재건축 '판 깔렸지만'…못 웃는 지방 노후계획도시
  3.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4. 이장우 "0시축제 3대하천 준설…미래위해 할일 해야"
  5. 밀알복지관 가족힐링캠프 '함께라서 행보캠'
  1.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 1호점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2. 교정시설에서 동료 수형자 폭행 '실형'…기절시켜 깨우는 행위 반복
  3. 축산업의 미래, 가축분뇨 문제 해결에 달렸다
  4. 1년치 단순통계 탓에 400여개 환자병상 사라질판…"현저한 의료격차 만들어"
  5. 농산 부산물, 부가가치 창출...환경과 경제 살리는 동력

헤드라인 뉴스


대전도시철도 무임손실 지난해 125억… 정부, 국비요청 묵묵부답

대전도시철도 무임손실 지난해 125억… 정부, 국비요청 묵묵부답

대전을 포함해 전국 도시철도가 무임승차로 인한 손실액이 매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뒷짐을 채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국가 정책에 따라 법정 무임승차를 이어오고 있지만, 정부는 수십 년간 요청됐던 국비 보전을 받아들이지 않고 있어 재정 문제는 지자체와 운영기관이 고스란히 떠안고 있다. 8일 대전을 포함해 전국 6개 교통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도시철도운영기관 무임승차 손실액은 7228억 원에 달했다. 대전은 지난해 125억 원으로 4년 전(76억 원) 대비 약 64.4%나 늘어난 셈이다. 도시철도 운영기관은 도시철..

올해 수능 55만 4174명 지원… 10명 중 6명이 `사탐런` 최대변수
올해 수능 55만 4174명 지원… 10명 중 6명이 '사탐런' 최대변수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지원자가 전년보다 3만1504명 늘어나며 55만 명을 넘어섰다. 또 응시자 10명 중 6명은 사회탐구(사탐) 영역을 선택하면서 '사탐런'이 이번 수능 최대 변수가 될 전망이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8일 발표한 원서접수 결과에 따르면 올해 수능 응시생은 55만4174명으로 집계됐다. 전년도(52만 2670명)보다 3만1504명 늘었다. 이는 2007년 '황금돼지 해' 출생자가 올해 고3에 진학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이번 수능은 고3 재학생이 37만 1897명(67.1%), 졸업생 15만 9922명..

국회에 ‘기념사’ 해명하러 왔다가 혼쭐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국회에 ‘기념사’ 해명하러 왔다가 혼쭐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항일 독립운동 폄훼와 친일 논란을 빚고 있는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이 8일 국회를 찾았다고 혼쭐이 났다. 8·15 광복절 기념사 왜곡과 광복회원 농성의 부당성 등에 대해 입장을 밝혔지만, 독립운동가 후손과 시민단체의 반발을 사면서 쫓기듯 국회를 벗어날 정도였다. 김 관장은 이날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기자회견은 국민의힘 김민전 의원이 주선했다. 김민전 의원은 12·3 비상계엄 후 올해 1월 ‘윤석열 전 대통령을 지키겠다’며 한남동 공관 앞에서 시위를 벌이며 자신들을 ‘백골단’으로 소개한 ‘반공청년단’의 국회 소통관 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 물에 잠긴 도로 달리는 차량들 물에 잠긴 도로 달리는 차량들

  • 맨발로 느끼는 힐링 오감 축제…‘해변을 맨발로 걸어요’ 맨발로 느끼는 힐링 오감 축제…‘해변을 맨발로 걸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