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31. 대전 서구 둔산 2동 일대 일식 면 요리

  • 경제/과학
  • 지역상권분석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31. 대전 서구 둔산 2동 일대 일식 면 요리

둔산2동 상권 일대 일식 면 요리 업소 총 4곳
월 평균 2900여 만원으로 대전 전체평균 앞서
주요 고객층 20, 30대... 점심시간 가장 많아

  • 승인 2025-03-12 23:25
  • 신문게재 2025-03-13 5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둔산2동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을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해봤다. <편집자 주>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31. 대전 서구 둔산 2동 일대 일식 면 요리



직장인 강 모(44) 씨는 라멘을 먹기 위해 일본을 수시로 드나드는 자칭 라멘전문가다. 일본 라멘 맛집 지도를 손수 만들 정도인 그는 집에서도 비슷한 맛을 따라 하기 위해 직접 공수한 식재료로 라멘을 담아낸다. 돼지 뼈를 우려 고소하고 진한 국물로 우려낸 돈코츠라멘부터 맑은 국물이 매력적인 시오라멘, 칼칼함과 감칠맛이 어우러지는 미소라멘 등 기본에 충실한 라멘을 고집한다. 적당히 삶은 면과 직접 우려낸 국물, 완숙과 반숙의 중간 어딘가에 있는 달걀, 씹지 않을 정도로 부드러운 차슈까지 가지각색으로 만들어낸다. 그의 집은 흡사 라멘집을 옮겨놓은 듯 식재료와 그릇, 면 삶은 기계까지 갖춰졌다. 라멘 하나만큼은 자신 있는 강 씨는 일본식 라멘집 창업을 꿈꾼다. 그가 타깃한 곳은 대전 주요 상권인 서구 둔산2동. 그에게서 연락이 왔다.



▲경쟁자는 얼마나=강 씨가 원하는 대전 서구 둔산2동 일대 일식 면 요리 업소는 2024년 12월 기준 총 4곳이다. 1년 전 2곳에서 2곳 늘어나며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서구 전체로는 2024년 12월 기준 30곳이 있으며, 1년 전(27곳)보다는 3곳 늘었다. 대전 전체로는 이 기간 79곳에서 83곳으로 4곳 확대됐다. 업소 수가 크게 줄어들지 않고 견고하게 유지되고 있다는 건 그만큼 시장에서 먹혀들어 간다는 뜻이다. 한 번 자리를 잡고 업력을 유지한다면 지속적인 소비자 유입이 될 가능성도 충분하다.





▲매출은=해당 상권 일식 면 요리 월평균 매출액은 2991만원으로, 1년 전(3243만원)보다 줄어든 상태다. 2024년 4월 한때 3828만원으로 최근 1년간 최고 매출을 올린 이후 소폭 침체된 모습이다. 서구 전체 평균으로는 2024년 12월 기준 1726만원의 월평균 매출을 올리고 있다. 대전 전체로는 2177만원이다. 해당 상권이 서구 전체와 대전 전체 월평균 매출액을 훌쩍 앞서고 있어 창업에 유리하다 볼 수 있다. 소비자는 주중보다 주말에 몰렸다. 주중 평균 매출액은 391만원, 주말은 517만원이다. 주중엔 월요일이 425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목요일 416만원, 화요일 398만원, 수요일 390만원, 금요일 328만원 순이다. 주말엔 토요일이 607만원의 매출을 올리며 전체 중 가장 많은 소비자가 방문했다. 이어 일요일은 427만원이었다.



▲주요 고객층과 방문 시간대는=일식 면 요리 고객층은 남성이 1605만원의 매출을 올리며, 여성(1175만원)보다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20대가 841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30대 776만원, 40대 602만원, 50대 418만원, 60대 이상 104만원, 10대 38만원 순으로 집계됐다. 시간대는 점심시간에 매출이 가장 잘 나왔다. 오전 11시~오후 2시가 1045만원으로 압도적이었다. 이어 오후 5시~밤 9시 753만원, 오후 2~5시 494만원, 오후 9시~밤 12시 243만원 등이다. 20·30 세대의 입맛을 사로잡을 수 있는 섬세함이 갖춰진다면 충분한 승산이 있어 보인다.



▲유동인구는=잠재적 고객으로 분류되는 해당 상권 유동인구는 2024년 12월 기준 18만 4666명이다. 2024년 6월 15만 3234명까지 내려앉았던 유동인구는 점차 월마다 회복하기 시작하며 12월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상승 중이다. 성별로는 남성이 9만 8972명, 여성 8만 5694명이다. 연령대별로는 40대가 4만 20명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3만 9222명, 50대 3만 9222명, 60대 이상 3만 8853명, 30대 2만 7395명, 20대 2만 5878명, 10대 1만 3298명이다. 주중이 20만 6146명으로 주말(13만 4533명)보다 높았다. 요일별로는 주중 수요일 19만 7343명을 제외한 나머지 요일이 모두 20만 명대를 유지했다. 주말은 토요일이 15만 6572명, 일요일은 가장 적은 11만 2496명이었다. 그의 창업에 도움이 됐길 바란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에서 날아오른 한화 이글스…19년 만에 한국시리즈 진출 성공
  2. 7-1로 PO 주도권 챙긴 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진출 성공할까
  3. 충남도-나라현, 교류·협력 강화한다… 공동선언
  4. 배움의 즐거움, 꽃길 위에서 피어나다
  5. '내 생의 최고의 선물, 특별한 하루'
  1. ‘제10회 미디어교육 국제 컨퍼런스’성황리 개최
  2. 노시환-채은성 적시타! 7-1 한화의 승리가 확실해지는 순간! 아파트 떼창까지
  3. 대전사랑메세나, 대신증권 박귀현 이사와 함께한 '주식 기초 세미나' 및 기부 나눔
  4. (사)금강문화예술협회 제16회 효문화실천 위안잔치 및 물품전달봉사
  5. 유성장복, 잠실 ‘월드웹툰페스티벌’ 통한 1:1 잡매칭 모색

헤드라인 뉴스


한화, 26년만의 우승 도전… 한국시리즈 원정경기 응원전

한화, 26년만의 우승 도전… 한국시리즈 원정경기 응원전

대전시는 한화이글스의 한국시리즈 진출을 축하하고 시민과 함께 승리를 기원하기 위해 26일 1차전을 시작으로 원정경기마다 대전한화생명볼파크에서 '한화이글스 승리기원 응원전'을 개최한다. 25일 시에 따르면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대규모 응원 축제로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경기장 내 대형 전광판을 통해 한국시리즈 경기를 생중계하며, 시민들은 선착순 무료입장으로 한화이글스의 선전을 함께 응원할 수 있다. 대전시는 이번 응원전을 통해 한화이글스를 중심으로 지역의 정체성과 시민의 자긍심을 높이고, 경기장 인근 상권 활성화 등 지역경제에도 활력..

지역 유일 향토백화점 세이백화점 탄방점 계룡건설이 매입
지역 유일 향토백화점 세이백화점 탄방점 계룡건설이 매입

지역 유일 향토 백화점인 세이백화점 탄방점을 계룡건설이 매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계룡건설은 세이백화점 탄방점을 지난 8월 낙찰했다. 금액은 401억 원으로 2024년 5월 공매가 진행된 이후 1년 3개월 만에 낙찰을 받았다. 세이백화점 탄방점은 33회 유찰이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으며, 매각가도 올해 7월 공매 최저입찰가(1278억 원)와 비교해 877억 원 줄었다. 세이백화점은 2022년 5월 대형 백화점과의 경쟁과 코로나 장기화에 따른 매출 감소를 이기지 못하고 자산관리회사인 투게더투자운용과 매각을 위한 본..

충청권 메가시티 성과 수면 위...남겨진 현실 과제는
충청권 메가시티 성과 수면 위...남겨진 현실 과제는

충청권 4개 시·도가 행정수도를 토대로 선도적인 메가시티 구축에 나서고 있으나 현실적 과제에도 직면하고 있다. 세종특별자치시의회 유인호 의원(보람동,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24일 제101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지난해 출범한 충청광역연합은 세종, 대전, 충남, 충북이 행정 경계를 넘어 하나의 생활, 경제, 문화권으로 성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전국 최초의 특별지방자치단체"라며 "출범 1년이 채 되지 않았지만 이미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평가했다. 핵심 성과는 ▲'충청권 광역투어패스' 출시(7월)를 통한 통합 관광권 조성..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 국감…내란 옹호 놓고 치열한 공방 대전시 국감…내란 옹호 놓고 치열한 공방

  •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