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지역 맞춤형 사교육 대책 추진… ‘사교육비 치솟은’ 대전, 계획은?

  • 사회/교육
  • 사건/사고

교육부, 지역 맞춤형 사교육 대책 추진… ‘사교육비 치솟은’ 대전, 계획은?

이주호 부총리, 시·도교육감들과 후속대책 논의해
지역과 공동 대응체계 구축… 평가방식 개선 나서
대전교육청 "대책 검토" 입장 속 '핀셋 대책' 과제

  • 승인 2025-03-16 19:03
  • 신문게재 2025-03-17 2면
  • 이은지 기자이은지 기자
대전교육청2
2024년 사교육비 총액이 29조 원을 돌파하며 정부의 사교육비 감축 대책에 대한 실효성 지적이 이어지는 가운데 교육부가 후속대책으로 지역 맞춤형 사교육 대응정책 추진 계획을 밝혔다. 특히 대전은 광역시 중 가장 높은 사교육비 증가율을 보여 지역 교육청 차원의 '특단의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16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시·도 교육청별 사교육 후속대책을 마련하라는 교육부 방침을 중심으로 지역 특성을 반영한 체계적 사교육 대책 수립을 검토한다.

교육부는 앞서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시·도교육감들과 간담회를 열고 사교육비 후속대책을 논의했다. 이주호 교육부 장관은 이 자리에서 전날 발표된 2024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결과와 관련해 "국민들의 기대와 눈높이에 부응하지 못해 책임을 통감한다"며 "시·도교육청과 함께 공교육에 대한 신뢰 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교육부가 이번에 발표한 사교육비 후속대책엔 '시도별 사교육비 증감 데이터와 지역 여건에 기반한 사교육 대책을 적극 추진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각 시·도 교육청과 함께 사교육 대응체계를 구축한다는 의미로, 경감대책 이행 상황을 주기적으로 점검 공유하고 우수사례를 발굴 확산시킬 방침이다. 2026년부터 시·도교육청 평가 방식을 개선해 기존 4개 평가 영역에서 사교육비 경감을 별도 평가 영역으로 분리·신설하고 대표지표로 설정해 우수 교육청에 대한 재정 지원 인센티브를 확대한다. 미취학 유아 대상 학원의 단속도 강화한다.



대전교육청은 그간 늘봄학교 확대와 교육발전특구 추진, 기초학력보장 프로그램 운영 등을 통해 공교육 강화 노력을 펼쳐왔다. 하지만 올해도 대전지역 사교육 조사 발표 결과는 참담했다. 교육부와 통계청이 공동으로 발표한 2024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전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가 1년 새 11.4% 늘어 전국 광역시 중 가장 높은 증가율 보이며 4년 연속 최고치를 경신한 것.

이와 관련 교육청은 "대전 사교육비 지표가 악화해 우려가 크다"며 "고교 2학년 학생들의 사교육비가 30% 급증한 것이 요인으로 보이는데, 한 학년의 사교육비가 갑자기 증가한 이유를 분석 중"이라고 밝혔다.

대전교육청의 노력에도 지역 사교육비가 매년 증가세를 보이는 건 '핀셋 대책'이 없어 정책적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공교육 강화를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긴 하지만 사교육 절감만을 위한 단일 정책을 따로 수립해 추진하고 있진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번에 교육부가 제시한 대책은 상당수 기존에 추진되던 교육 정책을 확대하는 수준에 그쳐 지역 교육청 차원에서의 차별화된 대책을 수립하는 것도 과제다.

대전교육청 관계자는 "새롭게 신설되는 자기주도학습 지원센터 운영 방침은 도시지역에 적용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지역별로 사교육 특징과 정책 효과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공교육 강화를 큰 방향으로 지역 특색에 맞는 구체적 정책 수립을 고민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3월 13일 사교육비 조사결과 관련 논평을 내고 "교육부가 내놓은 주요 교육정책들이 곧 사교육비 급증의 주범"이라고 평가하며 "입시경쟁과 학교 서열화를 외면하고 학교 학원화를 통해 공교육을 강화하겠다는 교육정책 전반의 실패를 인정하고, 전면 재검토를 촉구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이은지 기자 lalaej2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셔츠에 흰 운동화차림' 천태산 실종 열흘째 '위기감'…구조까지 시간이
  2. 노노갈등 논란에 항우연 1노조도 "우주항공청, 성과급 체계 개편 추진해야"
  3. ['충'분히 '남'다른 충남 직업계고] 홍성공업고, 산학 결합 실무중심 교육 '현장형 스마트 기술인' 양성
  4. 대전 중구, 국공립어린이집 위·수탁 협약식 개최
  5. 충청권 국립대·부속병원·시도교육청 23일 국정감사
  1. '충남 1호 영업사원' 김태흠 충남지사, 23일부터 일본 출장
  2. 한화이글스 우승 기원 이벤트
  3. 대전관평초 '학교도서관 운영 유공' 국무총리 표창
  4.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5. 대전권 대학 산학협의체, ‘한국-베트남 글로벌 청년 경진대회 행사 개최

헤드라인 뉴스


대전시-KAIST 국내 최대 양자팹 구축 착수

대전시-KAIST 국내 최대 양자팹 구축 착수

국내 최대 규모 '개방형 양자공정 인프라'(이하 개방형 양자팹) 구축에 대전시와 KAIST가 나섰다. 대전시와 KAIST는 23일 이장우 대전시장과 KAIST 이광형 총장이 참석한 가운데 KAIST 본원에서 '개방형 양자팹 구축 및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양자 산업화 시대를 대비한 필수 기반 시설인 '개방형 양자팹' 구축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마련됐다. KAIST '개방형 양자팹' 구축사업은 국내 최대 규모의 첨단 양자팹 건립과 양자 인프라 시설 및 장비 구축을 포함한 사업으로, 2031년까지 국비 2..

개물림 피했으나 맹견 사육허가제 부실관리 여전…허가주소와 사육장소 달라
개물림 피했으나 맹견 사육허가제 부실관리 여전…허가주소와 사육장소 달라

대전에서 맹견 핏불테리어가 목줄을 끊고 탈출해 대전시가 시민들에게 재난안전문자를 발송한 사건에서 견주가 동물보호법을 지키지 않은 정황이 여럿 확인됐다. 담장도 없는 열린 마당에 목줄만 채웠고, 탈출 사실을 파악하고도 최소 6시간 지나서야 신고했다. 맹견사육을 유성구에 허가받고 실제로는 대덕구에서 사육됐는데, 허가 주소지와 실제 사육 장소가 다를 때 지자체의 맹견 안전점검에 공백이 발생하는 행정적 문제도 드러났다. 22일 오후 6시께 대전 대덕구 삼정동에서 맹견 핏불테리어가 사육 장소를 탈출해 행방을 찾고 있으니 조심하라는 경고 재난..

[2025 국감] 적자에 차입금 부담만 커져… 충남대병원 재정문제 도마 위
[2025 국감] 적자에 차입금 부담만 커져… 충남대병원 재정문제 도마 위

차입금 부담만 수천억 원에 달하는 충남대병원의 누적 적자액이 1300억 원이 넘고 재원 환자도 줄고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국회에서 제기됐다. 국회 교육위원회가 23일 충북대에서 연 충남대·충북대·부속 병원 국정감사에서다. 이날 오전 피감기관 대표로 조강희 충남대병원장과 김원섭 충북대병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문정복(더불어민주당·경기 시흥갑) 의원은 "누적적자가 충남대병원은 1374억 원, 충북대병원은 1173억 원"이라며 "독립 재산제로 운영되는 국립대병원에서 차입금 상환은 어떻게 할 것이냐"며 따져 물었다. 최근 3년간 두..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 한화이글스 우승 기원 이벤트 한화이글스 우승 기원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