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밤마실' 종합 선물세트...4월 26일 어디로 갈까

  • 정치/행정
  • 세종

세종시 '밤마실' 종합 선물세트...4월 26일 어디로 갈까

시·문화관광재단, 25일~27일까지 다양한 이벤트 예고
도시상징광장 캠핑과 LP 감성 음악 감상
26일 기후변화 탄소중립 이벤트 종일 진행
세종수목원 무료 개방, 낙화축제~옥상정원 달빛 투어
대중교통 이용, 티머니 덤으로 얻는다

  • 승인 2025-04-23 07:17
  • 수정 2025-04-23 07:32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1719995822290
4월 25일부터 27일까지 열리는 세종 밤마실 주간. 사진=세종시 문화관광재단 제공.
"전 세계적 트렌드 '신(新) 야간경제관광'에 주목하라." 세종시가 4월 밤마실 주간과 함께 뜨겁게 달아오른다.

세종시 방문객들은 일명 가성비 좋은 행사와 깨알재미 요소들을 통해 즐거운 한때를 보낼 것이란 기대를 해도 좋다.

세종특별자치시(시장 최민호)와 (재)세종시문화관광재단(대표 박영국)은 4월 25일∼27일 사흘간 '4월 밤마실 주간'을 운영한다. 야간 문화관광 활성화 행사들을 낮부터 밤까지 모아 제공하는 시간이다. 이 기간 대중교통 연계 인센티브도 지급해 의미를 더한다. 대중교통 이용시민 50명은 추첨을 통해 티머니 마일리지 1만 원 권을 받을 수 있다.

첫날인 25일에는 나성동 도시상장광장이 '도심 속 힐링 캠핑' 개막과 함께 왁자지껄 대화의 장으로 승화한다. 27일까지 2박 3일간 푸드트럭부터 야시장, 문화공연 등과 어우러져 즐거운 시간을 선사한다. 같은 날 어진동 음악창작소에선 아날로그 감성의 LP 명반(버스커버스커) 음악 감상 프로그램인 '바이닐 스튜디오'가 기다리고 있다.



26일 밤마실 행사는 주·야간에 걸쳐 절정을 이룬다. 4월 22일 지구의 날을 포함한 제17회 기후변화 주·야간 이벤트가 한데 어우러지면서다. 낮 최고 19도의 맑은 날씨 아래 야외 활동하기도 좋다.

2025041801001671100069792
기후변화 주간 이벤트 참가 신청 QR코드. 사전 신청 시 경품 응모권을 추가로 얻을 수 있다. 사진=중도일보 DB.
기후변화 행사는 이날 오전 10시 중앙공원에서 어린이 시·그림 대회로 문을 열고, 오후 1시부터 오후 4시 30분까지 탄소중립 한마당 행사로 이어진다. 참가 TIP은 걷기와 자전거, 버스를 이용해 중앙공원 접수처로 이동하고, 늦어도 오후 2시 30분까지 사전 신청(https://form.naver.com/response/Bxy6RluIKWZZBy14Lth84g) 또는 현장 접수로 참여하면 된다. '도전! 탄소중립 달인 코너(6개 부스)'를 모두 들리면, 최대 8장의 경품 추첨권 획득의 기회를 얻을 수 있다.

가족·지인 단위로 돗자리를 준비해오면, 푸드트럭과 배달존 등을 통해 행복한 봄 나들이의 시간을 선사한다.

KakaoTalk_20250423_070911356
26일 선보이는 낙화 축제와 국립세종수목원 무료 개방.
여기서 끝이 아니다. 이날 오후 7시 30분에는 중앙공원 및 호수공원 일원에서 '세종 낙화축제'가 한층 업그레이된 프로그램으로 선보인다. 지난해보다 보다 넓은 공간에서 안전하게 더 많은 낙화의 향연을 눈으로, 마음으로 볼 수 있다.

행사장엔 많은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가급적 대중교통을 이용한 현장 방문이 스트레스를 줄이고 상품도 덤으로 얻는 꿀팁이다. 국립세종수목원은 이날 주간에만 무료 개방된다.

같은 시간대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에선 '달빛 야경 투어' 행사가 피날레를 장식한다. 국가 1급 보안시설인 만큼, 사전 예약자(선착순 300명 마감 완료)에 한해 '금단의 땅'에 들어갈 수 있다. 참가자들은 이 자리에서 플롯과 버스킹, 마술 공연도 즐기고, 기후변화 주간 이벤트 야간 부스(3개)와 야경 사진 공모전에도 참여할 수 있다. 거리는 있지만 옥상에서 바라본 낙화의 야경도 좋은 볼거리다.

밤마실 주간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도 도모한다. 인근 소상공인들의 동참으로 상가 40여 곳에서 식음료 5∼10% 할인과 다양한 무료 증정 이벤트를 누릴 수 있다.

먹자골목
밤마실 이벤트에 참여하는 식당가. 사진=문화관광재단 제공.
세종시의 밤마실 이벤트는 올 한해 6월·9월·10월·12월까지 모두 5회에 걸쳐 계속 이어진다.

오는 6월 밤마실 주간에는 세종예술의전당 일원에서 콘서트와 푸드마켓이 있는 야간 페스타 '어반-나잇 세종'과 2025년 국내 최대의 공연예술계 축제인 '코카카(KoCACA) 아트페스티벌'이 개최된다.

9월에는 '어반-나잇 세종', 공실상가 밤빛 라이브, 야간 팝업스토어, 10월·12월에는 '세종보헤미안 뮤직 페스티벌', 야간 미식 세미나, 예술의전당 윈터페스티벌 등 다양한 야간문화관광 행사를 예고하고 있다.

김려수 문화체육관광국장은 "밤마실 주간을 통해 시민과 관광객이 낮부터 밤까지 하루 동안 도심에서 힐링하는 시간을 갖고, 지역상권에도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세종시만의 대표 야간관광 자원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관광도시로서 경쟁력을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박영국 세종문화관광재단 대표이사(야간부시장)는 "세종 밤마실 주간을 시작으로 세종시가 야간문화와 관광의 중심 도시로 거듭날 수 있도록 야간 특화사업 육성 등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밤마실 주간 할인업체 명단 및 자세한 사항은 시 누리집(www.sejong.go.kr) 공지사항, 문화관광재단 인스타그램(sjcf_official)을 참고하거나 문화관광재단(☎044-850-8921)으로 문의하면 된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KakaoTalk_20250419_114902962
26일 열리는 기후변화 주간 이벤트. 사진=기후환경네트워크 제공.
KakaoTalk_20250419_114902962_02
KakaoTalk_20250419_114902962_03
KakaoTalk_20250421_125632582_04
KakaoTalk_20250421_125632582_02
KakaoTalk_20250421_125632582_03
KakaoTalk_20250418_165207428_03
KakaoTalk_20250421_125619007_01
KakaoTalk_20250421_125619007 (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사설] 광역교통사업도 수도권 쏠림인가
  2. 과기계 숙원 'PBS' 드디어 폐지 수순… 연구자들 "족쇄 풀어줘 좋아"
  3. 의대생 복귀 방침에, 지역 의대도 2학기 학사운영 일정 준비
  4. 이재명 정부 첫 '시·도지사 간담회'...이전 정부와 다를까
  5. 등목으로 날리는 무더위
  1. '전교생 16명' 세종 연동중, 5-2생활권으로 옮긴다
  2. [대입+] 정원 감소한 의대 수시, 대응 전략은?
  3. 농식품부 '인공지능 융합 미래 식·의약 첨단바이오 포럼' 개최
  4. [춘하추동]폭염과 열대야, 지피지기면 백전불태
  5. [사설] 충남도, 적절한 '수해 선제 지원' 방침

헤드라인 뉴스


이대통령 "지역균형발전, 성장위한 불가피한 생존전략"

이대통령 "지역균형발전, 성장위한 불가피한 생존전략"

이재명 대통령은 30일 "지역균형발전은 대한민국 성장을 위한 불가피한 생존전략"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점검 TF 3차 회의에서 이같이 말했다. 대선 과정에서부터 강조한 5극(5개 초광역권) 3특(3개 특별자치도) 등 국가균형발전 국정 기조를 이어가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그러면서 "공정한 성장을 통해 대한민국 모든 문제의 원천이라고 할 수 있는 양극화를 완화해 나가겠다"며 갈수록 심각해 지는 수도권 1극체제 극복을 위한 노력할 것임을 시사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성장 전략..

2025년도 시공능력평가 계룡건설산업 부동의 1위
2025년도 시공능력평가 계룡건설산업 부동의 1위

계룡건설산업(주)가 2025년도 시공능력평가에서 대전지역 부동의 1위 자리를 지켰다. 국토교통부와 대한건설협회는 7월 31일 전국 종합건설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 시공능력평가' 결과 계룡건설산업이 전년 대비 2633억 원(9.7%) 증가한 2조9753억 원으로 5년 연속 2조 원을 돌파했다. 전국 순위도 두 계단 오른 15위를 차지했다. 뒤를 이어 (주)금성백조주택이 3884억 원으로 2위(전국 75위), 파인건설(주)는 2247억 원으로 3위(전국 114위), 크로스건설(주)는 1112억 원으로 4위(전국 217위), (..

"법 사각지대가 만든 비극"…대전 교제폭력 살인에 `방지 법 부재` 수면 위
"법 사각지대가 만든 비극"…대전 교제폭력 살인에 '방지 법 부재' 수면 위

대전 괴정동 전 연인 살해 사건으로 교제폭력 특별법 부재, 반의사불벌죄 문제가 또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사건 한 달 전 피해자가 가해 남성의 폭행에도 처벌을 원치 않았고 경찰의 안전조치 권유도 거절했으나, 그 기저에는 보복에 대한 두려움이 있었을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피해자 의사와 관계없이 가해자를 처벌하고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장치가 시급하지만 관련 법 제정은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30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대전 서구 괴정동의 주택가에서 A(20대)씨가 전 연인 B(30대·여성)씨를 살해한 혐의로 경찰에..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이동 노동자 위한 얼음물 및 폭염 예방 물품 나눔 이동 노동자 위한 얼음물 및 폭염 예방 물품 나눔

  • ‘대전 0시 축제 구경오세요’…대형 꿈돌이 ‘눈길’ ‘대전 0시 축제 구경오세요’…대형 꿈돌이 ‘눈길’

  • 물감을 푼 듯 녹색으로 변한 방동저수지 물감을 푼 듯 녹색으로 변한 방동저수지

  • 등목으로 날리는 무더위 등목으로 날리는 무더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