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단체사진<제공=경남도> |
이번에 포함된 지구는 밀양, 하동, 창녕, 사천 등 4곳이다.
모두 지역 산업의 전략적 재편과 대규모 민간 투자 유치를 골자로 한다.
밀양은 13개 기업이 2797억 원을 투자해 나노융합산단 내 복합소재 생산 거점을 조성한다.
하동은 앨앤에프 등 6개사가 8482억 원을 투입해 이차전지 핵심소재 공장을 건립한다.
창녕은 17개 기업이 참여해 4485억 원 규모의 미래모빌리티 부품 생산기지를 조성한다.
사천은 AI데이터센터와 관광리조트에 2조170억 원이 투입돼 복합산업지구로 개발된다.
문태헌 지방시대위원장은 "신청 가능 면적 최대치인 660만㎡를 모두 채웠다"고 밝혔다.
현장 실사도 사전 실시돼 정주여건과 인프라 상태를 점검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대규모 투자에 비해 구체적 고용 창출 규모나 지역 상생 구조는 명확히 제시되지 않았다.
AI센터·리조트·양극재 공장이 특구 외부와 단절된 '섬 개발'이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앞선 1·2차 지정지에 대한 성과 평가나 사후관리 계획이 없는 점도 한계로 지적된다.
투자 유치와 산업 개발은 '지정'이 아니라 '지속'이 돼야 한다.
기회의 크기보다 중요한 건, 그 기회가 어디까지 연결되느냐다.
경남=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