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민생 안정을 위한 금융기관과 경제계 간담 개최<제공=진주시> |
시는 관세 정책으로 어려움을 겪는 수출기업을 위해 '신용보증 수수료 지원 사업'에 1억 원을 긴급 편성해 제1회 추경에 반영한다.
이 사업은 신용보증기관에 납부한 보증료의 50%(최대 300만 원)를 지원해 자금 활용에 실질적 도움을 준다.
'수출물류비 지원 사업'의 한도도 200만 원에서 500만 원으로 대폭 확대된다.
이는 미국 바이어와의 가격 협상 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조치다.
또한 '수출보험료 지원 사업'의 지원 한도를 1000만 원에서 2000만 원으로 확대하고, 단체보험의 경우 상반기에도 추가 모집해 연 2회로 늘린다.
시는 '원스톱 관세대응 지원 프로그램'도 운영할 계획이다.
진주시 기업성장지원단과 경남FTA지역상담실의 관세사를 활용해 급변하는 관세 정책 동향을 전달하고 기업 상담을 지원한다.
진주시의 2024년 대미 수출액은 약 2.6억 달러(약 3700억 원)로, 전체 수출액의 33.6%를 차지할 정도로 미국은 주요 수출국이다.
시는 올해 3월부터 100여 개 기업을 대상으로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상공회의소 및 수출기업협의회와 간담회를 실시했다.
허성두 진주상공회의소 회장은 "시의 발 빠른 대처에 감사하며, 기업 지원을 위해 협력하겠다"고 전했다.
진주시는 올해 1000억 원 규모의 중소기업육성기금을 지원하고 있으며, 수출기업에는 최대 9억 원에 대해 3.5%의 우대금리를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지원책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실질적인 관세 상승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신시장 개척이나 제품 경쟁력 강화 등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정부의 비상구가 열렸지만, 무역전쟁의 거센 파도를 넘기엔 아직 노를 더 저어야 한다.
진주=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