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남형 통합돌봄 추진체계구축 위한 회의<제공=경남도> |
경상남도는 29일 창원 경남사회적경제혁신타운에서 18개 시군 통합돌봄 부서장 등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경남형 통합돌봄 추진체계 구축을 위한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는 '생성형 AI기반으로 더 촘촘한 돌봄, 더 행복한 경남'이라는 비전 아래 선제적 돌봄대상자 발굴, 복지정보 접근성 향상, 부서별 칸막이 해소 등 4대 전략과 10대 추진과제를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특히 국민건강보험공단과 협업으로 진행되는 '위기알림앱'을 활용한 돌봄필요자 의무방문제도가 핵심 현안으로 소개됐다.
이 제도는 장기요양등급 신청 대기·탈락자 및 입퇴원자 등 돌봄이 시급한 경우가 발견되면 앱으로 신고하고, 해당 읍면동 공무원이 현장을 방문해 돌봄계획을 수립하는 방식이다.
또한 전 시군 대상 '찾아가는 현장컨설팅'과 '통합돌봄 전문가 양성교육'이 올해부터 본격 추진되며, 공무원, 민간기관 종사자, 돌봄리더 등 2500명을 대상으로 6개 과정이 운영된다.
경남도는 통합돌봄의 현장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시군에서는 조례 제·개정, 전담조직 정비, 민관 통합지원협의체 구성을, 읍면동에서는 통합돌봄창구 운영과 맞춤형 돌봄계획 수립을 강조했다.
그러나 복지의 바다에서 노 젓는 현장 실무자들은 기존 업무의 파도에 더해진 새로운 물결에 숨이 차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특히 생성형 AI라는 첨단 항해 도구는 혁신적이지만, 디지털 섬에 갇힌 농어촌 취약계층이 표류할 위험과 개인정보라는 보물을 지키는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복지전문가들은 이 통합돌봄이라는 거대 선박이 단기 항해가 아닌 지속가능한 여정이 되려면 중앙정부의 동력과 안정적인 재원이라는 연료가 필수적이라고 조언한다.
김영선 복지여성국장은 "실효성 있는 통합돌봄이 현장에서 작동하려면 시군과 읍면동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시군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청사진은 화려하지만, 무너지는 돌봄 절벽을 막을 실체적 버팀목이 절실하다.
경남=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