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5년 5월 지역별 아파트 분양 전망 지수. 사진=주택산업연구원 제공. |
8일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이 4월 16일부터 27일까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5월 전국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93.3으로 전달(84)보다 9.3포인트 올랐다. 이번 달 지수는 지난해 11월(98.2)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이 지표는 지수가 100을 넘으면 분양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는 사업자가 더 많고, 100 미만이면 그 반대 상황을 뜻한다.
충청권에선, 대전이 보합세를 보였고, 세종과 충남, 충북은 소폭 상승했다. 대전은 전달(100.0)과 같은 수치를 기록해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세종은 29.7포인트 오른 114.3으로 서울(122.2)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았다. 충남은 전달보다 15.4% 포인트 오른 107.7을 기록해 세종 뒤를 따랐다. 충북은 기준치를 100을 기록했는데, 이달 33.3포인트 오르며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폭을 나타냈다.
지수는 수도권(99.7→107.1)과 비수도권(80.6→90.3)이 각각 7.4포인트와 9.7포인트 올랐다. 비수도권에선 충청권이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수도권을 보면, 서울(122.2)이 13.9포인트 오르며 상승폭이 가장 컸고, 경기(102.8) 5.5포인트, 인천(96.4) 3.1포인트 올랐다. 17개 시도 중에선 부산(95.5→89.5), 제주(75.0→66.7)가 하락했다.
분양전망지수는 상승한 반면, 이번 달 분양 가격 전망 지수는 103.0으로 전달보다 2.1포인트 하락했다. 또 분양 물량 전망 지수(95.6)는 5.4포인트, 미분양 물량 전망 지수(108.8)는 12.1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분양 전망 지수가 상승한 것은 금리 인하, 미국발 관세 전쟁 조기 종식 가능성과 더불어 새 정부 출발 기대감이 작용한 것으로 해석됐다.
주산연 관계자는 다만 "대선을 앞두고 재건축 특례법 등 공급 확대를 위한 입법 논의들이 지연되고 대선 결과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 앞으로 어떤 영향을 미칠지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