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36. 대전 서구 도안동 안경원

  • 경제/과학
  • 지역상권분석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36. 대전 서구 도안동 안경원

도안 일대 상권 안경원 총 4곳으로 1년 전과 동일
월 평균 매출 3200여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상승
남녀 매출 비율 비슷... 40대 1029만원으로 최다

  • 승인 2025-05-14 16:57
  • 신문게재 2025-05-15 5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도안11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을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해봤다. <편집자 주>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36. 대전 서구 도안동 안경원



안경은 사람의 이미지를 결정하는 주요 요소다. 뿔테는 동안의 얼굴과 지적인 이미지를 선물하며, 은테는 스마트함을 돋보이게 한다. 저가의 안경부터 해외 수입 안경까지 가격대에 따라 착용하는 이의 모습까지 바꿔준다. 안경의 넓이와 길이에 따라 그 모습이 천차만별이다. 최 모(44) 씨는 집안 한편에 전시해둘 정도로 안경을 좋아한다. 선글라스까지 합치면 두 손과 발을 합쳐도 모자라다. 저가의 안경부터 유명 연예인이 착용한 고가까지 그날의 기분에 따라 달리 안경을 착용한다. 통상 시중에서 구하기 어려운 제품도 갖고 있다. 그만큼 안경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이 풍부하다. 수년 전에 안경사 자격증을 취득한 그는 프랜차이즈 안경원보다는 자시만의 색이 입혀진 안경원을 차리고 싶어 한다. 매출은 얼마인지가 가장 궁금하단다. 그의 고민을 들어봤다.



▲경쟁자는 얼마나=그가 원하는 대전 서구 도안 일대 안경렌즈 소매업 업소 수는 2025년 2월 기준 4곳으로, 1년 전과 같다. 유성구 전체로는 이 기간 82곳에서 81곳으로 1곳 줄었으며, 대전 전체로 놓고 보면 337곳에서 336곳으로 1곳 감소했다. 그가 원하는 상권에선 크게 줄거나 늘지 않고 업력이 유지되고 있다. 업종 수가 줄거나 늘지 않고 유지된다는 건 그만큼 업력 유지가 잘 되고 있다는 걸 의미한다. 안경원의 특성상 한 번 동네에서 자리를 잡으면 안경테와 안경알, 렌즈 등의 수요가 꾸준하다 보니 깔끔한 인테리어와 소비자에게 맞춤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충분한 승산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매출은=그가 가장 궁금한 상권 내 월평균 매출은 2025년 2월 기준 3292만원으로, 1년 전(3006만원)보다 상승했다. 매출액은 2024년 2월부터 매월 꾸준하게 오름세를 이어가면서 상승세를 그리고 있다. 유성구 전체 월평균 매출로만 놓고 봐도 2024년 2월 3103만원에서 3211만원으로 증가했다. 대전 전체로는 이 기간 2891만원에서 2917만원으로 올랐다. 전체적으로 매출액이 상승하는 모습이다. 전체적인 평균보다 그가 원하는 상권 내 매출이 더 잘 나온다는 건 소비자들의 발길이 꾸준하게 닿는다는 뜻이다. 매출은 주말이 평균 551만원으로 주중(438만원)보다 높았다. 주중엔 월요일이 529만원으로 평일 중 가장 높았다. 이어 화요일 467만원, 수요일 426만원, 금요일 421만원, 목요일 349만원 순이다. 주말엔 토요일이 일주일 중 가장 많은 648만원의 매출을 올렸고, 일요일은 453만원이었다.



▲주요 고객층과 방문 시간대는=안경원의 특성상 남녀 월평균 매출액이 비슷한 모습을 나타냈다. 남성은 1618만원, 여성은 1628만원이다. 40대가 1029만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50대 728만원, 30대 632만원, 20대 435만원, 60대 이상 410만원 순이다. 시간대별로는 오후 2시부터 6시가 1608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오후 6시부터 11시 745만원, 낮 12시부터 오후 2시 560만원, 오전 9시부터 낮 12시 379만원 등이다. 남녀 매출 분포도와 연령대별 매출액은 가게 이미지를 조성에 필요한 정보이며, 방문 시간대별 매출은 해당 시간에 소비자가 많이 찾는다는 뜻이다. 일주일 중 가장 낮은 매출액을 보이는 요일에 휴무일을 정할 수도 있다.



▲유동인구는=해당 상권 유동인구는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다. 잠재적 고객으로 분류되는 유동인구는 2025년 2월 기준 4만 9449명으로, 1년 전(2만 3184명)보다 두 배 이상 늘어났다. 상권이 그만큼 활성화됐다는 뜻이며, 소비로 이어질 기회가 많다고 볼 수 있다. 성별로는 남성이 2만 6290명, 여성은 2만 3159명으로 남성이 조금 더 많다. 연령대별로는 60대 이상이 1만 2596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40대(1만 788명), 50대(9766명), 30대(7296명), 10대(4510명), 20대(4492명) 순이다. 시간대별로는 오후 6시부터 11시가 1만 2277명으로 가장 많았고, 오후 2시부터 6시가 1만 1362명, 오전 9시부터 낮 12시 7094명 등이다. 그의 안경원 창업에 큰 도움이 됐길 바란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국가균형발전과 행정수도 완성' 시급...대한민국 악순환 끊는 해법
  2. 대전문화재단, 문화예술정책 포럼 성료…“AI는 동반 예술가”
  3. [대전다문화] ‘와글와글 가족 페스티벌’에 작은 손길을 더하다
  4. [대전다문화] 자유의 시작, 필리핀 독립기념일 이야기
  5. 가원학교 진동 원인 에어컨 실외기? 다음날엔 감지 안 됐다
  1. [대전다문화] 올여름, 로하스 야외수영장으로 시원한 물놀이 어떠세요?
  2. [대전다문화] '6월에 결혼하면 행복해진다' ? 일본에서 온 작은 속설 이야기
  3. [대전다문화] '아이의 미래에 날개를 달아주세요'
  4. 황창선 대전경찰청장, 장마철 침수 우려 지역 점검
  5. 충남대 글로컬대학 사업 대토론회… 학과 통폐합·예산계획 등 의견개진

헤드라인 뉴스


"해부수 이전 부적절" 충청권 4개 시도지사 강력 반발

"해부수 이전 부적절" 충청권 4개 시도지사 강력 반발

이재명 정부가 집권 초 해양수산부 부산이전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가운데 충청권 4개 시·도지사가 행정수도 완성에 역행하는 부적절한 처사라며 반대 의사를 분명하게 밝혔다. 중도일보가 해수부 탈(脫) 세종을 막기 위해 충청권 시도 공조가 시급하다고 보도(6월 12일자 1면)한 뒤 전격 회동한 자리에서 해수부 사수 의지를 다진 것이다. 충청 시도지사들은 또 야당 일각의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천문연구원 경남 사천 이전 시도에 대해서도 정부의 공식 입장이 없지만 향후 강력하게 대응키로 했다. 지역 성장동력 양대 축인 세종 행정수도와..

검찰, 추행 혐의 송활섭 대전시의원 징역 1년 구형
검찰, 추행 혐의 송활섭 대전시의원 징역 1년 구형

여직원을 성추행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송활섭 대전시의원에 대해 검찰이 징역의 실형을 구형했다. 대전지법 형사8단독(이미나 부장판사) 심리로 19일 열린 송활섭 시의원의 강제추행 혐의 사건 공판에서, 검찰은 송 의원에게 징역 1년을 선고해달라고 재판부에 요청했다. 또 신상정보 공개와 고지 및 취업제한 명령도 내려달라고 요구했다. 송 의원은 지난해 총선 때 국민의힘 소속이면서 같은 캠프 여직원의 엉덩이를 몇 차례 만지고 손을 잡는 등 추행한 혐의로 기소됐다. 이날 재판에서 송 의원 측은 일부 신체 접촉은 있었을 수 있지만 추행의 의도..

미분양 아파트 정부가 매입…건설 경기 살아날까
미분양 아파트 정부가 매입…건설 경기 살아날까

정부가 침체한 건설경기를 살리기 위해 대규모 재정을 투입한다. 특히 건설 경기 악화의 주범으로 꼽히는 미분양 주택 문제 해결을 정부 차원에서의 환매조건부 매입 방식이 도입될 예정이다. 새 정부 추가경정예산안이 충청권을 비롯해 전국 지방 도시에서 심화하는 건설 경기 침체 현상에 대한 해답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19일 국무회의를 통과한 '새 정부 추가경정예산안'에 따르면 정부는 건설 경기를 활성화하기 위한 2조 7000억 원 규모의 예산을 편성해 미분양 주택 환매, 사회간접자본(SOC) 조기 착공, 중소 건설사 유동성 지원 등에..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맹물` 짝퉁 화장품 유통시킨 일당 검거 '맹물' 짝퉁 화장품 유통시킨 일당 검거

  • 이른 장마 시작…차수막으로 대비 철저 이른 장마 시작…차수막으로 대비 철저

  • 취약계층에 건강한 여름 선물 취약계층에 건강한 여름 선물

  • 6·25 전사자 발굴유해 합동안장식…‘영면 하소서’ 6·25 전사자 발굴유해 합동안장식…‘영면 하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