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충청권 경제자유구역 지정, 한시가 급하다

  • 오피니언
  • 사설

[사설] 충청권 경제자유구역 지정, 한시가 급하다

  • 승인 2025-05-19 16:14
  • 수정 2025-05-19 16:56
  • 신문게재 2025-05-20 19면
1224285715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20일부터 경제자유구역 개발계획 변경 때 사업비, 기간, 면적과 관련한 지자체 권한이 대폭 확대된다. 경제자유구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이 즉시 적용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르면 자체 면적 범위가 30%까지 허용되며 사업비가 10% 이상 변경될 때도 경제자유구역위원회 심의를 거칠 필요가 없다. 제3차 경제자유구역 기본계획상 '중앙 권한의 지방 이양 확대' 차원으로 이해된다.

시행령 적용으로 규제 완화를 통해 기업 경제활동을 보장하는 '특혜'는 늘어난 셈이다. 달라진 혜택은 인천, 부산·진해, 광양만권, 경기, 대구·경북, 충북, 동해안권, 광주, 울산 등에 적용된다. 대전·세종·충남권의 경제자유구역 부재가 개정안 공포로 더 크게 다가오는 이유다. 대전·세종은 안산첨단국방산업단지 조성 사업의 본격화와 맞물려 속도를 내야 한다. '베이밸리' 건설 사업의 하나인 충남경제자유구역과 함께 대선 공약화도 요구되고 있다.

경제활동에 대한 규제 완화와 투자 유치 활성화가 경제자유구역의 기본 목표다. 지역 주도의 신속한 개발이 가능하게 충청권 경제자유구역 지정에 좀더 속도를 내야 할 것이다. 충청권이 비경제자유구역 돌파에 안간힘을 쓰는 사이, 경기도 지자체들이 앞다퉈 경제자유구역 신규 지정을 추진하고 있다. 수도권정비계획, 개발제한구역, 군사시설보호구역 등 각종 돌파구를 헤쳐가는 모습은 수도권 집중 심화의 우려를 낳기에 충분하다.

충남은 지금 천안, 아산(인주·둔포), 서산, 당진 등 5개 지구 지정 요청을 하고 결과를 고대하는 중이다. 앵커 기업의 입지를 활용해 국내외의 우수 기업 유인책으로서도 필수 선결 과제다. 대전시와 세종시의 경제자유구역 역시 정부 승인이 시급하다. 서로 인접해 상생 협력과 메가시티 동력으로 삼을 수도 있다. 전국에서 경제자유구역 없는 유일한 권역인 충청권 3개 지역은 한시가 급하다. 올해 하반기 중 꼭 지정·고시하길 기대한다. 혁신 생태계 고도화를 위해 더 넓어진 규제 완화로 숨통을 틔워줘야 해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랭킹뉴스

  1. 대전 가원학교 건물 흔들림 현상에 학생·교사 대피…경찰 조사 중
  2.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3. 2026년 지방선거 향하는 세종시 정치권...'시장 선거' 구도는
  4.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5. 대전 초등학생 11년 만에 순유입 전환… 유성·중구 전국 상위권
  1. 문화재 내부 공사인데도 '자체심의'…문화재 보존 사각지대 심각
  2. 광복 80주년 대전 시내버스 통해 '호국 영웅' 알린다
  3. 주말까지 비 예보…장마 시작에 침수 피해 지역 '불안'
  4. 대전선화초 증축사업 시작… 220억 들여 2026년 8월 준공
  5. [사설] 서해 어민 위협할 중국 불법 구조물

헤드라인 뉴스


항우연·천문연, 경남 사천 우주청 인근 이전 법안 발의 `파장`

항우연·천문연, 경남 사천 우주청 인근 이전 법안 발의 '파장'

‘과학수도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에 있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천문연구원을 우주항공청이 있는 경남 사천으로 이전하는 내용의 법안이 발의돼 파장이 일고 있다. 특히 충청권 국회의원들까지 공동 발의자로 참여하면서 공동 대응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국민의힘 서천호 국회의원(경남 사천·남해·하동)은 17일 우주항공청 소재지인 경남 사천시를 중심으로 우주항공분야 연구개발과 산업기능을 연계하기 위해 우주항공기술 연구개발 관련 기관인 항공우주연구원과 천문연구원을 우주항공청 인근에 소재하도록 하는 것을 골자로 한 ‘우주항공청 설치·운영에 관한..

대전 `30년 초과` 공동주택 비중 전국서 가장 높아… 대책 마련 필요
대전 '30년 초과' 공동주택 비중 전국서 가장 높아… 대책 마련 필요

대전의 공동주택 노후화 비중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도 주택 노후화가 심화되면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7일 부동산R114가 정부 '공동주택관리 정보시스템'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5년 6월 기준 전국 30년 초과 노후주택은 260만 6823채로 전체의 22%로 나타났다. 즉 전국 주택 4채 중 1채가 노후주택인 셈이다. 노후 주택은 2022년 135만 9826채(12%), 2023년 170만 5215채(15%), 2024년 219만 4122채(18%)로 꾸준히 늘..

`환불` 하려니 안된다?...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 다발
'환불' 하려니 안된다?...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 다발

충청권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지역민들의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피해구제 신청 중 환불 문제가 가장 많이 발생해 캠핑장을 예약하기 전 날씨와 환불 규정을 꼼꼼하게 확인해야 한다. 17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접수된 캠핑장 관련 피해구제 사건(327건) 중 환불 불만 사례가 246건으로 전체의 75.2%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경기·인천이 48.1%(157건)로 가장 많았고, 대전·세종·충청이 15.7%(51건), 강원 12.9%(42건), 부산·울산·경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장마철 앞두고 적십자사 구호물품 준비…‘유비무환’ 장마철 앞두고 적십자사 구호물품 준비…‘유비무환’

  •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