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옛 충남도청사 전경./사진=연합뉴스 |
길어진 행정 절차로 인해 예산이 증액돼 사업은 타당성 조사라는 암초를 만났고, 이 과정에서 정부의 느린 대처까지 겹치면서 수개월째 대기 상태에 놓인 채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
20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지난 3월부터 국립현대미술관 대전관 건립 사업에 대한 총사업비 적정성 검토를 진행 중이다.
기재부는 총사업비를 협의한 이후 사업이 타당성 조사 대상으로 선정이 될지 결정한다.
그러나 해당 과정이 현재 어느 단계이며, 언제 결과가 나올지는 여전히 안갯속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개관 일자를 미뤄왔던 대전관 건립에 또다시 차질이 생기는 게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그간 충남도청에 들어서며 원도심 활성화 기폭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감과 달리 대전관 건립 사업은 초반부터 수차례 발목을 잡혀 왔다.
근본적인 문제는 문화재 현상변경 심의였다.
지난 2023년 근대문화유산인 옛 충남도청에 들어서는 대전관 건립 사업에 대해 문화재 현상 변경 심의를 받던 과정에서 부결 통보를 받으며 사업에 빨간불이 켜졌다. 당시 문화재 구조와 특성 훼손이 우려된다는 이유에서였다.
다행히 이듬해 학예연구실 증축 시 시민들을 위한 복합문화 공간으로 조성하기로 조건부 의결되면서 위기를 넘겼다.
큰 산은 하나 넘었다곤 하지만, 이로 인해 많은 문제가 발생했다. 결국, 개관 시점이 연기됐다.
당초 2025년 개관이 목표였으나 예상치 못한 절차에서 일 년 남짓 시간을 허비하면서 개관 역시 2026년으로 밀려났다.
더 큰 문제는 사업비 증액이다.
초기 책정된 예산은 454억, 그러나 수년이라는 시간이 흐르면서 물가 상승과 문화재 보강 등의 이유로 사업비 증액이 불가피해진 상황이다.
이로 인해 타당성 조사 대상인 500억 원이 넘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기재부가 총사업비 협의 절차에 돌입하게 된 실정이다.
현재 상황으로는 내년으로 지연된 개관 일정을 맞추기란 불가능 해 보인다.
국립현대미술관(이하 국현) 측은 조속한 사업 진행을 위해 기재부 측에 빠른 시일 내에 사업비를 정해 달라고 요청한 상태지만, 기재부는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타당성 조사 대상으로조차 선정되지 않는 게 아니냐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어 기재부의 결과에 이목이 쏠린다.
국현 관계자는 "기재부 측에는 대전관 건립에 대한 입장을 전달했다. 타당성 조사 대상이 안 될 가능성은 적어 보인다"라며 "총 사업비 관리 지침 사항에 따라 타당성 조사는 9개월가량 소요되며, 내년에는 착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지윤 기자 wldbs120611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