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IOHealth, 세계 최초 ‘초점 가변형 마이크로 액체 렌즈 기반 광음향 영상화 기술' 개발 성공

  • 전국
  • 충북

KBIOHealth, 세계 최초 ‘초점 가변형 마이크로 액체 렌즈 기반 광음향 영상화 기술' 개발 성공

- 복잡한 스캐닝 장치 없이 고해상도 이미징 가능
- 광음향 영상화 기술의 혁신적 진전 이뤄

  • 승인 2025-05-22 04:53
  • 박종국 기자박종국 기자
clip20250522044806
이명수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KBIOHealth, 이사장 이명수)은 "전남대학교, 한국광기술원과 협력하여, 세계 최초로 초점 조절이 가능한 전기습윤 초소형 액체 렌즈 기반의 광음향 내시경 프로브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이 획기적인 성과는 광학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인 Optics Express에 지난 8일 게재 되었으며, "Photoacoustic endoscopic probe based on lens scanning using a laterally tunable electrowetting liquid lens"라는 제목으로 소개 되었다.

이번에 개발된 전기습윤 초소형 액체 렌즈(Tunable electrowetting liquid lens)는 전압을 이용해 렌즈의 굴절률을 조정하고 초점을 가변하는 기술로, 기존의 복잡한 스캐닝 장치 없이 자유롭게 초점 조정이 가능하다.

광음향 내시경(Photoacoustic Endoscopy, PAE)은 빛과 음파를 결합하여 생체 내부의 구조를 고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는 기술로, 특히 암 진단 등 정밀 의료 분야에서 큰 주목을 받을 것으로 예측된다.



이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기계적 스캐닝 장치 없이 렌즈 자체만으로 초점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는 점으로, 시스템을 보다 작고 단순하게 만들 수 있다.

또 연구진은 이 기술을 통해 초점 위치를 최대 20mm까지, 측면 방향으로는 4.42도로 이동시켰는데 이는 45.3V 전압만으로 이뤄낸 결과다.

개발된 기술을 실제 내시경 프로브에 적용한 결과, 기존 스테이지 스캐닝 방식에 비해 광음향 영상의 신호 세기가 약 4배 향상되었다.

이는 내시경 영상 품질의 획기적인 개선을 의미하며, 향후 정밀한 진단과 시술이 가능함을 예측케 한다.

이번 연구는 기초과학 뿐만 아니라 의료영상기기 산업의 혁신적 진보로 평가 되며, 차세대 내시경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 된다.

이명수 이사장은 "개발된 액체 렌즈 기반 광음향 영상화 기술은 광음향 내시경을 보다 작고, 가볍고, 정밀하게 만드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다"라며 "향후 뇌혈관 질환, 암 진단 등 다양한 임상 분야에서 큰 가능성을 지닌 기술 될 것이다"고 밝혔다.

또한 이명수 이사장은 "올해 창립 15주년을 맞은 KBIOHealth는 '바이오 4.0'시대를 선도하며, 대한민국 바이오헬스산업의 글로벌 도약을 목표로 국내외 협력 확대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고 강조 했다.
오송=박종국 기자 1320jin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충청권에 최대 200㎜ 물폭탄에 비 피해신고만 200여 건 (종합)
  2. 대전시장과 국회의원 만남... 현안 해결 한뜻 모을까
  3. '건물 흔들림' 대전가원학교 교실 복도 곳곳 균열… 현장 본 전문가 의견은
  4. 폭우 피해는 가까스로 피했지만… 배수펌프·모래주머니 시민들 총동원
  5. 대전 대표 이스포츠 3개 팀 창단
  1. [월요논단] 충청권 메가시티를 위한 합리적 교통망에 대한 고찰
  2. 조원휘, "충청권 광역철도망 확충은 국가균형발전과 직결"
  3. 대전과학산업진흥원, 이전 기념식 가져
  4. 대전 동구, '중앙시장 버스전용주차장' 운영
  5. 충청 여야,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강대강 대립… 협력 없이 네 탓만?

헤드라인 뉴스


대전가원학교 곳곳 균열… 현장 본 전문가 “지반조사 필요”

대전가원학교 곳곳 균열… 현장 본 전문가 “지반조사 필요”

"여긴 좀 심각하네요. 교실마다 성한 곳이 없어요." 건물 흔들림 현상으로 불안에 휩싸인 대전가원학교 복도와 교실 곳곳엔 균열이 있었다. 6월 20일 오전 학교를 둘러본 장종태 국회의원과 김민숙 대전시의원,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 관계자들은 발걸음을 옮길 때마다 탄식했다. 복도 벽엔 언제 생긴 것인지 알 수 없는 금이 사방으로 나 있고 천장엔 물이 샌 자국이 보였다. 교실 모서리 시멘트가 갈라지고 떨어져 나가기도 했다. 증축을 앞둔 특수학교에서 원인 불명의 진동이 감지된 가운데 오래전부터 건물 내 상당 부분에서 발생한 균열과 맞물려..

`해수부 이전` 논란...남 탓 공방전 뜨거운 여·야 정치권
'해수부 이전' 논란...남 탓 공방전 뜨거운 여·야 정치권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행정수도'의 미래를 놓고 의미 없는 '남 탓·네 탓' 공방을 벌이고 있다. 해양수산부의 부산시 이전을 놓고서다. 국힘은 과거 박근혜 전 정부 당시 이 카드를 먼저 꺼냈으나 성사시키지 못한 바 있고, 민주당은 이재명 정부 들어 다시 이 의제를 꺼내 들었다. 문제는 현재 논의가 단순히 해수부 이전에만 매몰되면서, 국가균형발전과 행정수도 대의에 다가서지 못하는 데 있다. 한쪽에선 '지역 이기주의', 또 다른 쪽에선 '내년 지방선거용 전략'이란 프레임을 씌우며 본질을 훼손하고 있다. 민주당 세종시당이 6월 20일..

충청권 건설 일자리 급감… 건설투자 줄고 폐업 증가 여파
충청권 건설 일자리 급감… 건설투자 줄고 폐업 증가 여파

건설경기가 외환위기 이후 최악의 불경기를 맞으면서 건설 일자리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충청권에서는 건설 투자가 줄고 폐업이 늘어나면서 지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22일 건설근로자공제회가 발표한 '지역별 건설산업 및 건설근로자 통계'에 따르면, 올해 3월 내 1일 이상 근로 내역이 있는 건설근로자는 64만 7119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월보다 18.3% 줄어든 수치다. 충청권에서도 감소세가 꾸준했다. 대전의 경우 1만 6524명으로 1년 새 13.5% 줄었으며, 충남은 19.5% 줄어든 4만 5436명으로 집계됐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장맛비에 잠긴 돌다리…‘물이 넘칠 때는 건너지 마세요’ 장맛비에 잠긴 돌다리…‘물이 넘칠 때는 건너지 마세요’

  • 코스피 3000 돌파…3년 6개월 만 코스피 3000 돌파…3년 6개월 만

  • `맹물` 짝퉁 화장품 유통시킨 일당 검거 '맹물' 짝퉁 화장품 유통시킨 일당 검거

  • 이른 장마 시작…차수막으로 대비 철저 이른 장마 시작…차수막으로 대비 철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