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공= 강유라 명예기자 |
아기의 배냇머리를 자르는 이유는 머리카락이 건강하게 자라기를 바라는 마음과 더불어, 머리카락을 그대로 두면 아이의 앞날이 나빠지고 정신적으로 불안정해진다는 믿음 때문이다. 머리를 자르는 시기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남자 아이는 3살과 5살의 홀수 나이에, 여자 아이는 2살과 4살의 짝수 나이에 머리를 자른다. 이는 홀수를 양의 기운, 짝수를 음의 기운으로 상징하기 때문이다.
배냇머리 밀기 의식은 가족과 친지들이 함께 모여 진행된다. 정한 날 아침이나 정오 전에 친척과 친구들이 모여 식탁을 차리고 쌀 푸딩을 올리며, 아이에게 좋은 옷을 입혀 식탁 상석에 앉힌다. 아이의 머리카락을 자르기 전에는 우유를 마시는데, 이는 몸과 마음이 우유처럼 깨끗해지기를 바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아이의 머리카락을 자르는 가위는 향으로 정화한 후, 가족 중에서 가장 존경받는 사람이 먼저 머리를 자르고, 이후 친척들이 돌아가면서 조금씩 머리를 자른다. 이 과정에서 "건강해라, 나라에 꼭 필요한 사람이 되어라, 좋은 말을 하면서 살아라, 부모에게 효도해라" 등의 축하의 말을 건네며 아이에게 선물을 준다. 잘린 머리카락은 잘 모아서 푸른 천에 싸여 아이가 어른이 될 때까지 소중히 보관된다.
배냇머리 밀기 행사는 작은 잔치와 함께 진행되며, 몽골 전통 음식과 유제품, 말젖으로 만든 아이락을 즐긴다. 손님들은 식사와 노래, 춤을 즐기며, 아이들은 씨름이나 칼싸움을 하기도 한다.
몽골인들은 머리카락을 풀어헤치는 것을 금지했는데, 이는 수명을 짧게 하고 행운을 사라지게 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갓 태어난 아기의 머리카락을 땋아 끝부분을 낙타털 실이나 밧줄, 끈으로 묶어 관리했다.
이와 같은 풍습은 몽골인들의 삶 속에서 깊이 뿌리내려 있으며, 아이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하는 따뜻한 마음이 담겨 있다.
강유라 명예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