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삼복 기간을 '7하 8상'이라 하는데, 7월 하순부터 8월 상순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이때는 중국에서 가장 더운 시기로 중국 북부 지역인 황허 지역, 화북, 동북 지역은 1년 중 가장 덥고 습한 날씨가 이어진다. 반면 중국 장강 유역과 강남 지역은 건조하고 더운 날씨가 주를 이룬다.
삼복엔 다양한 민속 행사가 열린다. 베풀기를 좋아하는 집은 문 앞에서 각종 보양 치료 약물을 나눠주고, 차 친구를 맺는 행사를 진행하기도 한다. 일상용품 수요도 증가하면서 부들부채, 모시 수건, 삼베, 부들 신발, 돗자리, 대자리, 죽부인, 등나무 베개 등을 파는 상인들의 발걸음이 바빠진다. 종이 초롱이나 다양한 양식을 잘라 만든 초롱, 오리알 껍데기를 이용한 '반딧불등' 같은 놀이 용품 역시 인기 품목이다.
삼복은 농사 활동이 활발한 시기이기도 하다. 중국은 오랫동안 삼복을 농기로 삼아 농업 생산을 지도했다. <제민요술>에서는 팥을 심는 것에 관해 "하지 후 10일에 심는 사람이 상시이고, 초복에 심는 사람이 중시, 중복에 심는 사람이 하시, 중복 이후로는 늦다"라고 했다. 속담으로도 '두복무 이복채소 삼복메밀', '초복에 벼를 심고 중복에 김매고 말복에 추수한다'라는 말이 전해진다. 특히 벼농사가 중요했던 남부지방에선 삼복이 1년 중 가장 바쁜 시기였다. 농민들은 새벽 2∼3시에 논에 나가 모를 심었는데, 이는 아침 첫 햇볕이 나올 때 모를 나눠 심어 한낮의 뜨거운 태양으로부터 모를 보호하기 위함이었다.
삼복의 전통 음식 풍습은 '두복만두 이복면 삼복전병 달걀노점'으로 두복(일복)에는 만두를 먹고, 이복에는 국수를 먹으며, 삼복에는 달걀 부꾸미를 먹는다. 이런 풍습은 복을 기원하고 보상받는 문화적 의미뿐만 아니라 여름철 열을 내리고 더위를 식히며 비장을 강화하고 습도를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음식 수요와도 맞닿아있다.
왕문 명예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