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천지속협, 노루섬 특정도서 지정 1주년 맞아 생태모니터링 실시

  • 전국
  • 서천군

서천지속협, 노루섬 특정도서 지정 1주년 맞아 생태모니터링 실시

  • 승인 2025-05-24 11:38
  • 나재호 기자나재호 기자
서천군 노루섬에서 서식하고 있는 저어새
서천군 노루섬에서 서식하고 있는 국제적멸종위기종 저어새


서천군지속가능발전협의회(대표회장 신상애)가 23일 노루섬 특정도서 지정 1주년을 맞아 이 곳에 서식하고 있는 저어새와 노랑부리백로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했다.

서천군 마서면에 위치한 노루섬은 국제적 멸종위기종인 저어새, 노랑부리백로, 검은머리물떼새 등의 주 서식지로 그 가치를 인정받아 2024년 특정도서로 지정됐다.

이번 모니터링에는 충남연구원 정옥식 박사, 서천군 한흥현 환경보호과장, 서천군조류생태전시관 전홍태 주무관, 김원규 위원장 등 17명이 참여했다.



서천지속협은 2024년 5월 실시한 모니터링에서 저어새(천연기념물 제205-1호/멸종위기야생동물1급/국제적멸종위기(EN 멸종위기등급))245마리, 노랑부리백로(천연기념물 361호/멸종위기야생동물 1급/국제적멸종위기(VU 취약등급))51마리, 검은머리물떼새(천연기념물 326호/멸종위기야생생물 2급/국제적멸종위기(NT준위협 등급)2마리, 매(천연기념물323-7호/멸종위기야생동물 1급) 2마리가 서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 바 있다.

이번 모니터링에서는 저어새 320마리, 노랑부리백로 47마리가 서식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으며 특히 저어새의 경우 2020년 첫 조사 당시 84마리가 관측된 것에 비해 4배 가까이 개체수가 증가한 사실을 밝혀냈다.

노루섬에서 2022년 처음 발견된 매 2개체는 2024년까지 꾸준히 관측됐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관측되지 않았다.

서천지속협 김원규 위원장은 "전 세계적으로 약 6900마리에 불과한 저어새의 5%가 노루섬에서 서식하고 있다"며 "국제적 멸종위기종 보호를 위해 노루섬 서식 환경에 대한 당국의 관심이 시급하다"고 말했다.홍성민 사무국장은 "서천군 노루섬은 각고의 노력끝에 특정도서로 지정됐지만 저어새와 노랑부리백로 보호를 위한 특정도서 지정 안내판이 없어 서식처 훼손이 우려된다"며 "관계 부처인 환경부의 적극적인 보호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천=나재호 기자 nakija200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하나은행, 대전 지역 소상공인에 총 450억 원 지원
  2. 민주당 '세종시의원' 연이은 징계 수순...요동치는 정가
  3. 대전시의회 조원휘 "일류 경제도시 대전, 더 높이 도약할 것"
  4. 대전대 RISE사업단, 출연연 연계 산·학·연 협력 공동팀 선정
  5. 충남대 도서관 ‘클래식이 스며드는 순간’ 음악회 개최
  1. '여가부' 세종시 이전 전면에...법무부는 어디로
  2. 국립한밭대, 2025년도 석·박사과정생 연구장려금 지원사업 선정
  3. “당신을 노리고 있습니다”…대전 서부경찰서 멈춤봉투 눈길
  4.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5. 김하균 세종부시장 "AI 혁신 행정, 공직자 적극 수용해야"

헤드라인 뉴스


"해수부 산하기관 이전 반대, 당 차원서 요구해야"

"해수부 산하기관 이전 반대, 당 차원서 요구해야"

최민호 세종시장이 5일 여의도 국회에서 장동혁 국민의힘 당대표를 만나 공공기관 이전 정책과 배치되는 해양수산부 산하기관의 부산 이전 계획에 대해 당 차원에서 반대 입장을 표명해줄 것을 건의했다. 이날 면담은 최근 논의되고 있는 해수부 산하기관 이전이 전면 재검토될 수 있도록 당 차원에서 힘을 실어줄 것을 요청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자리에서 최 시장은 해수부 산하기관 이전이 그간 정부가 추진해온 공공기관 이전 정책의 원칙과 논리에 부합되지 않는 만큼 전면 재검토돼야 한다는 뜻을 전달했다. 지난 3일 김민석 총리에게 건의한 원점 회기..

`여가부` 세종시 이전 전면에...법무부는 어디로
'여가부' 세종시 이전 전면에...법무부는 어디로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 논란에 앞서 미완의 과제로 남겨진 '여성가족부(서울)와 법무부(과천)'의 세종시 이전. 2개 부처는 정부세종청사 업무 효율화 취지를 감안할 때, 2019년 행정안전부와 함께 동반 이전 필요성이 제기됐으나 이런저런 이유로 미뤄져 6년을 소요하고 있다. 해수부 이전이 2025년 12월까지 일사처리로 진행될 양상이나 여성가족부와 법무부 이전 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더불어민주당과 새 정부의 입장도 애매모호하게 다가오고 있다. 2025년 6월 3일 대선 이전에는 '법무부와 여성가족부'의 동시 이전이 추진되던..

상권 공실의 늪 `세종시`...신도시 첫 `포장마차 거리` 주목
상권 공실의 늪 '세종시'...신도시 첫 '포장마차 거리' 주목

전국 최고 수준의 상권 공실에 놓여 있는 세종특별자치시. 코로나 19 이전 과다한 상업용지 공급과 이후 경기 침체와 맞물려 '자영업자의 무덤'이란 수식어가 따라 붙었다. 행정수도란 장밋빛 미래와 달리 지연된 국책사업과 인프라는 상권에 희망고문을 가하기 시작했고, 최고가 낙찰제는 상가 분양가와 임대료의 거품을 키우며 수분양자와 임차인 모두에게 짐이 되고 있다. 세종시가 상권 업종 규제 완화부터 전면 공지(상권 앞 보도 활용) 허용 확대에 나서고 있으나 반전 상황에 이르기에는 역부족이다. 최근 개·폐업의 쳇바퀴 아래 지역 상권의 공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