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선 국면서 모색되는 과학기술 정책

  • 오피니언
  • 사설

[사설] 대선 국면서 모색되는 과학기술 정책

  • 승인 2025-05-29 16:38
  • 수정 2025-05-29 16:42
  • 신문게재 2025-05-30 19면
1224285715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대선 국면 낯뜨거운 네거티브 공방 속에 위기에 직면한 국가 과학기술 정책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가 이어지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은 대학원·학부 총학생회 등과 함께 30일 '대선캠프와의 과학정책 대화'를 개최한다. 과학기술 위기 및 과제에 대한 주요 정당 대선 후보의 문제의식과 입장을 확인하는 자리다. 중장기적인 국가 연구개발 정책 등 주최 측이 준비한 10가지 질문에 대한 토론도 벌인다.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28일 열린 '대선 후보 과학-보건의료 공약 토론회'에선 미·중 과학기술 패권 경쟁의 심화와 대책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토론자들은 대선 후보들이 인공지능(AI)과 R&D 예산 확대를 공약으로 삼은 점은 평가할 만하지만 한정된 국가 재원을 어디에 쓸 것인지 구체적인 계획이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과학기술 패권 경쟁 시대에 과학기술 정책을 국가 정책의 맨 앞에 놓아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과학기술계가 대선 국면에서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는 것은 절체절명의 위기의식에서다. 한국경제가 성장의 한계에 처한 것은 첨단 산업을 뒷받침할 과학기술 정책의 부재에 있는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과학굴기'로 무장한 중국의 지난해 R&D 예산은 646조원으로 우리나라 전체 예산과 맞먹는다. 전 세계를 놀라게 한 AI 딥시크를 비롯해 전기차·배터리 등 첨단 산업 분야 세계 1위 기업이 쏟아져 나오는 건 우연이 아니다.

지난해 윤석열 정부의 R&D 예산 삭감 여파는 여전히 연구현장을 짓누르고 있다. 연구실에서 진행되던 과제는 중단되거나 축소되고, 부족한 연구비는 인력 축소로 이어졌다. 과학기술은 산업만의 문제가 아니라 경제·외교·안보 등 국가 존망을 좌우하는 핵심축이 되고 있다. 과학기술계를 이끌 인재들이 해외로 눈을 돌리는 건 일상이 됐다. 젊은 과학자와 정치인이 만나는 '대선캠프와의 과학정책 대화'가 과학기술 정책의 방향을 찾는 자리가 됐으면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랭킹뉴스

  1. 천안시의회 노종관 의원 대표발의, '천안시 건축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본회의 통과
  2. 21년 만의 행정수도 재추진...3가지 관문 통과가 관건
  3. 일상 속 위험, 예방이 먼저!
  4. 원모어아이 v2.0, 조달청 혁신제품 선정...기술력 입증
  5. 국세청, 집중호우 피해 납세자에 세정지원 강화
  1. 매월 22일 '소등의 날' 실천...세종시민이 탄소중립 선도
  2. 타이어뱅크(주)의 서비스 혁신·지역사회 나눔....7월에도 쭈욱~
  3. 19일 오후부터 충청권에 또 폭우…오전까지 침수·담장 붕괴 등 비 피해
  4. 지역 어르신들에게 삼계탕 선물
  5. 천둥 번개 동반한 강한 비… 대전·세종·충남 최고 150㎜

헤드라인 뉴스


나흘간 물폭탄에 충청권 3명 사망·1명 실종, 이재민 965명 (종합 2보)

나흘간 물폭탄에 충청권 3명 사망·1명 실종, 이재민 965명 (종합 2보)

7월 16일부터 나흘간 충청권에 600㎜ 가까운 물 폭탄이 쏟아지면서 3명이 사망하고 1명이 실종됐으며 900명이 넘는 이재민이 발생했다. 충남은 전국 피해의 80%를 차지하는 농작물이 침수됐고 가축 수십만 마리가 폐사해 피해가 극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예산과 아산, 당진에서 수해 복구 작업이 한창인 가운데, 충남도는 피해조사와 복구 대책 마련을 위한 합동조사단을 꾸린 상태다. 20일 충청권 4개 시·도에 따르면, 지난 16일부터 이어진 극한 호우에 충남에서는 서산(2명), 당진(1명)에서 3명이 침수 피해로 사망했다. 세종에서는..

與 당권주자 해수부 논란 일제히 침묵 비판
與 당권주자 해수부 논란 일제히 침묵 비판

더불어민주당 당권 주자와 최고위원 후보들이 8.2 전당대회 충청권 순회경선에서 해수부 부산 이전 논란에 일제히 침묵, 비판이 고조되고 있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행정수도 완성 역행 우려와 공론화 없이 일방통행식으로 강행되는 이 사안에 대해 일언반구도 없어 지역 민심을 외면했다는 것이다. 19일 당 대표 후보인 정청래 의원(서울마포을)과 박찬대 의원(인천연수갑), 최고위원 후보로 단독 출마한 황명선 의원(논산금산계룡) 등 3명은 8·2 전대 첫 지역별 순회 경선지인 충청권 온라인 합동연설에 나섰다. 이 가운데 정 의원과 황 의원은..

"모두가 비싸게 샀다" 비판 받아온 단통법 22일부터 폐지
"모두가 비싸게 샀다" 비판 받아온 단통법 22일부터 폐지

'모두가 비싸게 산다'는 비판을 받았던 '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이 11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고액 보조금 경쟁을 막고 소비자를 보호하겠다며 시행된 단통법이 22일 폐지되면서다. 이와 함께 휴대전화 유통 구조도 크게 요동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0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단통법은 2014년 10월 휴대전화 유통시장의 혼탁한 보조금 경쟁을 바로잡기 위해 도입됐다. 정부는 이통사가 지원금을 의무적으로 공시하고, 유통점이 지급할 수 있는 추가 지원금을 공시지원금의 15% 이내로 제한했다. 하지만..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 위험한 하굣길 위험한 하굣길

  •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