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남시의회 전경 |
이번 설명회는 성남시가 시민 복지 체계 강화를 위해 11월 설립 추진 중인 복지재단과 관련 복지시설 현장의 목소리를 들어 운영 체계과 사업계획 등에 반영한다.
이날 나온 의견 등을 관계 부서의 검토를 거쳐 재단 설립 과정에 반영하고, 향후 복지 정책 수립에도 활용할 계획이며, 9월 공청회를 열어 소통의 장을 마련할 예정이다.
앞서 시는 복지재단 설립 타당성 연구 용역(2024년 8월~2025년 3월) 결과에 따라 복지재단 설립 추진을 결정했다.
용역을 맡은 경기연구원은 성남시복지재단의 역할을 "민관을 잇는 중심 기관으로서 지역 특성에 맞는 사회복지 정책을 수립하고, 지역 주민에게 통합형·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으로 규정하고, 다양하고 복잡해지는 복지 수요에 대응할 복지 전문 기관이 필요하다는 진단을 내렸다.
특히 복지재단 설립 시 생산 유발효과를 5년간 210억 원,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140억 원, 고용유발 효과는 200명으로 각각 예측했고, 현재 복지재단 설립을 위한 관련 조례안을 성남시의회에 상정해 18일 심사를 앞두고 있다.
이번 조례가 통과되면 ▲성남시복지재단 정관 제정과 운영 규정 마련 ▲설립 준비 예산과 연간 운영비 등 39억원 시의회 출연 동의 ▲대표이사 등 임원 공개 모집과 직원 채용 ▲경기도의 설립 허가와 등기 신청 절차를 밟아 설립을 완료(11월)하게 된다.
현재 복지재단을 운영 중인 전국의 기초자치단체는 42곳 이고, 이중 경기도는 김포시, 시흥시, 평택시, 가평군, 화성시, 남양주시 등 6곳에 복지재단이 있다. 성남=이인국 기자 kuk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