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 K-컬처박람회, 청년 관심 밖 경제적 파급효과 낮았다

  • 전국
  • 천안시

천안 K-컬처박람회, 청년 관심 밖 경제적 파급효과 낮았다

- 20대 방문객은 전체의 4.2%, 트렌드 뒤쳐졌나
- 45억 쏟아 85억 효과...반면 흥타령춤축제 35억 들여 441억 효과
- 체류시간 2시간 이내가 과반수

  • 승인 2025-07-22 11:01
  • 하재원 기자하재원 기자
KakaoTalk_20250722_101555474
K-컬처박람회 전경
수십억 원을 들인 천안 K-컬처박람회가 30대 이하 청년들에게 외면받은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경제효과도 타 축제에 비해 상당히 떨어졌다는 평가다.

22일 시에 따르면 박람회는 6월 4~8일까지 독립기념관 일원에서 '글로벌 K-컬처, 세계 속에 꽃피우다'라는 주제로 혈세 45억원을 투입해 개최됐다.

하지만 30대 이하 아동이나 청소년, 청년의 관심을 끌지 못한 것으로 드러나 트렌드에 뒤처진 행사가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실제 '2025 천안 K-컬처박람회 평가 연구용역' 결과 방문객 중 21~30세 비율은 고작 4.2%로 조사됐으며 20세 이하도 7.8%를 기록하는 등 30대 미만이 전체 12%밖에 차지하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



경제효과도 투입된 비용에 비해 파급은 미미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경제성까지 의심을 사고 있다.

흥타령춤축제의 경우 예산 35억원을 투입했지만, 경제 파급 효과는 2024년 기준 441억으로 K-컬처박람회의 경제적 파급효과 보다 5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K-컬처박람회 체류 시간의 경우 '2시간 이내'라는 비율이 절반이 넘는 50.9%에 달했으며 외래방문객의 당일 체류 역시 76.9%로 드러나 '축제에 보고 즐길 것이 없다'는 비난을 피하기 힘든 상황이다.

사정이 이렇자 일각에서는 트렌드에 뒤처지고 경제효과도 사실상 없는 행사를 일몰해야 한다는 비난마저 일고 있다.

민주당 박종갑 천안시의원은 "전임 시장 전유물처럼 진행된 K컬처박람회는 일몰하는 것이 맞다고 본다"며 "예산 대비 효과도 크지 않으며, 공직사회에서도 반감이 있다고 알고 있다"고 꼬집었다.

시 관계자는 "내년에 개최될지는 모르겠지만, 열게 된다면 아동·청소년·청년들이 체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성해보겠다"며 "보완을 거쳐 지역 특산품 판매장 등도 기획해 경제유발 효과도 더 나올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천안=하재원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 나노반도체 국가산단 축소 해명 나서
  2. [대전 둔산지구의 새로운 미래를 그리다] 대전 둔산지구의 탄생과 번영…그리고 변화의 기로
  3. 새정부 유일 충청 출신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 ‘지명 철회’
  4. 폭우 구름띠 좁고 강해졌는데 기상관측망은 공백지대 '여전'
  5. "신입 노동자 퇴근 여부도 몰라"… 한솔제지 노동자 사망에 노동계 분노
  1. '의대생·전공의 복귀특혜 반대' 형평성 논란 확산… 국민청원 3만 6000명 동의
  2. '요일제 몰라 헛걸음에 신청접수처 오인까지'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첫 날 잇단 해프닝
  3. 폭우 지나고 폭염·열대야 온다…당분간 곳곳 소나기
  4. 송미령 장관, 민생회복 쿠폰 시행 대응...수해 피해 지원 지휘
  5. 농협, 폭염·수해 대응 '쿨링키트' 긴급 지원

헤드라인 뉴스


[대전 둔산지구의 새로운 미래를 그리다] 대전 둔산지구의 탄생과 번영…그리고 변화의 기로

[대전 둔산지구의 새로운 미래를 그리다] 대전 둔산지구의 탄생과 번영…그리고 변화의 기로

대전 둔산(屯山) 신도시가 30년을 넘기며 변곡점을 맞이하고 있다. 최근 노후계획도시 정비 특별법이 마련되면서 둔산의 미래를 새롭게 그릴 기회가 열리면서다. 둔산은 과거 군부대가 다수 주둔하던 작은 군사도시에서 행정, 경제, 문화가 집약된 중심지로 성장했다. 이제는 대전의 '강남' 또는 '심장'이라 불릴 정도로, 지역의 상징적인 계획도시다. 하지만 둔산 신도시도 세월의 흐름에 따라 노후화된 인프라와 기존 도시 계획의 한계를 마주한 게 현실이다. 도시 미래를 새롭게 디자인할 기회가 어렵게 찾아온 만큼, 단순 주거 재건축을 넘어 미래세..

이진숙 후보 낙마 왜?”… 분열한 충남대·침묵한 대전 국회의원
이진숙 후보 낙마 왜?”… 분열한 충남대·침묵한 대전 국회의원

“사안으로 보면 강선우 후보가 더 문제 아니냐.”“지역대 총장 출신이라 희생양이 된 거다.”“대전 국회의원들은 엄호했어야 했다.”“충청 출신 장관이 1명은 있어야 하지 않나.”이재명 정부 초대 신임 내각 후보 중 유일하게 충청 출신이던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의 낙마를 놓고 여러 반응이 나오고 있다.집권당 내에서 별다른 조력자조차 없이 장관 후보까지 지명돼 기대감을 모았던 이 전 후보. 인사청문회에서도 여러 논란을 정면돌파하면서 비판 여론을 일부 잠재우기도 했지만, 끝내 대통령실의 문턱을 넘지 못했다. 인사청문회 전부터 쏟아진 의혹..

`요일제 몰라 헛걸음에 신청접수처 오인까지`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첫 날 잇단 해프닝
'요일제 몰라 헛걸음에 신청접수처 오인까지'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첫 날 잇단 해프닝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이 시작된 21일 대전에서는 시민들의 관심이 폭발하면서 곳곳에서 혼선을 빚었다. 일부 시민들은 요일제 운영을 숙지하지 못해 헛걸음했고, 대부분 행정복지센터에서는 선불카드가 조기 마감됐다. 또한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에는 신청 접수처로 오인한 접속자들이 몰리면서 서버가 폭주하는 해프닝도 벌어졌다. 이날 오전 9시 대전 서구의 한 행정복지센터.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신청접수가 시작되자 어르신들이 삼삼오오 센터로 몰렸다. 벽에 붙은 안내문을 확인하거나 직원에게 설명을 듣는 모습이 이어졌고, 대부분 신분증을 손에 쥐고..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 첫 날…북적이는 행정복지센터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 첫 날…북적이는 행정복지센터

  • 쿨링포그로 식히는 더위 쿨링포그로 식히는 더위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 위험한 하굣길 위험한 하굣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