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재명 대통령이 22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제1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를 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
하정우 대통령실 AI 미래기획수석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 후 브리핑을 통해 발표한 ‘2026년 정부 R&D 예산안의 주요 특징’을 ‘기술주도 성장과 모두의 성장’ 등 크게 두 가지로 나눠 설명했다.
▲기술주도 성장=이를 위해 인공지능과 에너지, 전략기술, 방위산업, 중소벤처 혁신에 중점 투자한다.
인공지능 분야는 AI 생태계 전반에 걸친 독자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컴퓨팅 인프라부터 원천기술과 응용 부문까지 포괄하는 풀스택 연구개발에 집중한다.
에너지 분야는 요소기술 개발과 핵심시스템 국산화와 상용급 실증을 확대하고, 특히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대전환을 위해 초고효율 태양전지, 초대형·고출력 풍력 시스템 등의 개발과 국산화를 지원한다.
합성생물학과 이차전지, 휴머노이드 로봇 등 국가전략기술을 5년 내 핵심기술을 자립화하고, 방위산업을 국가 성장을 견인할 전략·수출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K-9 자주포, 천궁 등의 성능 고도화를 지원한다.
중소벤처기업 혁신을 돕기 위해 R&D는 역량을 갖춘 기업을 중심으로 민간투자연계형과 경쟁보육형, 혁신조달과 구매연계형 등으로 구분해 지원을 강화한다.
![]() |
정부가 8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부처 합동브리핑을 열고 발표한 새정부 경제성장전략. |
위축된 연구생태계 회복을 위해 개인기초 연구과제 수를 예산 삭감 전보다 많은 1만5000개 이상으로 확대하고, 폐지됐던 풀뿌리 기본연구 과제를 2700여 개로 복원한다.
우수 이공계 인재 처우 개선과 전략기술 중심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인재를 영입하기 위한 인재유치 프로젝트(Brain to Korea)를 실행하고, 출연기관은 중장기·대형연구를 통한 국가 임무 중심 연구에 집중해 성과를 창출하도록 지원한다.
특히, PBS 제도를 단계적으로 폐지해 인건비 확보 부담없이 연구에만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연구성과와 직접 연계되는 '최우수 연구자 인센티브'도 신설한다.
지역의 강점·특성·역량을 고려한 지역 주도의 자율 R&D 지원에다, 지역 특화산업과 연계한 대규모 AX(AI Transformation: AI 전환) R&D를 지원한다.
또 자연재해나 사회재난 등의 빈발과 대형화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AI 드론 등 첨단 기술을 적극 활용해 감시·예방부터 대응·복구 등 재난현장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리빙랩 등 현장 실증과 구매조달 연계 등을 통해 연구성과물의 현장 활용성을 높인다.
하정우 수석은 ‘기술주도 성장·모두의 성장’에 이어 범국가적 AI 대전환 기반을 위해 국가AI전략위원회를 중심으로 ‘대한민국 AI액션플랜’ 수립 추진도 언급했다.
하 수석은 “현재 마련 중인 액션플랜에는 AI 혁신생태계 구축을 위한 구체적인 AI 인프라 구축과 해외인재 유치 계획, 공공과 산업분야 AX, 국민 실생활에 AI 활용, AI 기본사회 실현 등 범정부 세부 이행방안이 총망라될 것”이라고 했다.
서울=윤희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