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221강 군자삼락(君子三樂)

  • 오피니언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221강 군자삼락(君子三樂)

장상현/전 인문학 교수

  • 승인 2025-09-23 11:29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 221강 君子三樂(군자삼락) :군자(君子)의 세 가지 즐거움

글 자 : 君(임금 군, 주권자) 子(아들 자, 남자 존칭) 三(석 삼) 樂(즐거울 락)

출 처 : 孟子(맹자) 盡心(진심)편 上

비 유 : 인간이 세상을 살아가는데, 진정한 행복이 어디에 있는지 보여주는 지표



군자(君子)는 말은 '성품이 어질고 학식이 높은 지성인'을 일컫는 말이다.이라고 유교(儒敎)에서 가르치고 있다. 중국 춘추시대 때에는 높은 벼슬을 한 사람을 부르는 말로도 쓰였다. 또한 아내가 남편을 일컫는 말로 쓰기도 한다. 예기(禮記)의 곡례편(曲禮)에 따르면 군자는 '많은 지식을 갖고 있으면서도 겸손(謙遜)하고, 선(善)한 행동에 힘쓰면서 게으르지 않은 사람을 군자(君子)라고 한다.'라고 하였다.

오늘날의 입장에서 보면 학식(學識)과 교양(敎養)을 갖춘 훌륭한 사회의 지도층 인사(엘리트 인사)와 비교할 수 있다.

논어(論語)에서는 '군자는 어떤 것이 옳은 일인지 잘 알고, 소인은 어떤 것이 이익인지 잘 안다. 군자는 어찌하면 훌륭한 덕을 갖출까를 생각하고, 소인은 어찌하면 편히 살 것인가 생각한다.'라는 말로 군자를 대변하고 있다.

동양의 위대한 철학자인 맹자(孟子)는 저서 맹자 진심상편(盡心上篇)을 통하여 다음과 같이 자신의 소신을 밝히고 있다.

孟子曰 君子有三樂(맹자왈 군자삼락)/ 맹자 왈 군자에게 세 가지 즐거움이 있는데

父母俱存 兄弟無故 一樂也(부모구존 형제무고 일락야)

仰不愧於天 俯不?於人 二樂也(앙불괴어천 부부작어인 이락야)

得天下英才而敎育之 三樂也(득천하영재이교육지 삼락야)

부모가 모두 생존에 계시며, 형제가 무고한 것이 첫 번째 즐거움이요

위로 하늘에 부끄럽지 않고, 아래로 사람에게 부끄럽지 않음이 두 번째 즐거움이요.

천하의 영재를 얻어 교육하는 것이 세 번째 즐거움이다.

그러면서 덧붙이는 말이 '王天下不與存焉(왕천하불여존언/ 천하에 왕 노릇함은 즐거움에 들어 있지 않다)'이라고 하면서, 권력(權力)과 금력(金力)은 인간의 삶에 있어서 즐거움에 해당 되지 않는다고 지적(指摘)하고 있다.

첫 번째 즐거움은 인간(人間)의 노력(努力)만으로써는 이룰 수 없는 사항이다. 곧 하늘이 내리는 복(福/ 건강한 체질과 운수 등)을 받아야 가능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필자가 주목하는 점은 두 번째 즐거움이다.

이 부분은 인간의 의지(意志)와 노력(努力)으로 가능한 일이다. 그리고 그것은 인간의 가치 있는 삶에 가장 존재가치(存在價値)가 빛나는 덕목(德目)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자신의 수양으로 얻을 수 있다.) 사람이 능히 자기의 사욕(私慾)을 이기면 하늘에 부끄럽지 않고, 사람들에게 부끄러움이 없는 것이다.

양심에 따라 행동하는 곳에 참다운 용기가 생기고 그 용기가 부동심(不動心)을 만든다. 다른 사람의 말 한마디나 행동 때문에 흔들리지 않는 옳음에 대한 신념(信念)과 함께 강인한 기백(氣魄)이 필요할 것이다.

사악(邪惡)하고 위선적(僞善的)인 사람은 자신을 위장(僞裝)하여 세속(世俗)과 영합하며, 거짓으로 사람들과 화합한다. 이는 마치 그릇을 교묘히 칠하면 구멍이 있어도 보이지 않는 것과 같다.

사람은 노력하면 가난을 이겨 낼 수 있고, 성실하면 재해(災害) 또한 극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함께 노력하고 성실하게 생활하면 부(富)를 이루며, 재능을 닦고 덕행을 배양하면 귀(貴)한 지위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시간을 낭비하고 할 일에 힘쓰지 않으면서 부귀(富貴)를 바란다면 결코 얻을 수 없다.

이를 볼 때 사람은 바른 마음과 정직한 행동만이 부끄러움이 없는 삶을 살 수 있고, 부끄럽지 않은 삶이야말로 어느 때, 어느 곳에서나 당당하고 자신 있게 모두를 상대(相對)할 수 있는 것이다.

求利者 或得眼前之小利而失後日之 大利 求義者 或失眼前之小利而得後日之 大利

(구리자 혹득안전지소리이실후일지 대리 구의자 혹실안전지소리이득후일지 대리)

곧 利益을 구하는 자는 혹시 눈앞에 작은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훗날 큰 이익을 잃게 될 것이며, 義로움을 구하는 자 혹 눈앞의 작은 이익을 잃을 수 있지만, 훗날의 큰 이익을 얻게 된다.

見己之過不見人之過 君子也/ 자기의 허물만 보고 남의 허물을 보지 않는 이 군자요

見人之過不見己之過 小人也/ 남의 허물만 보고 자기 허물을 보지 않는 이 소인이다.

이렇게 군자와 소인은 구별이 된다. 군자로 가는 길, 어렵고 험한 것이 사실이다.

그 참된 즐거움을 구하기 위해 노력하는 자만이 진정한 즐거움을 누릴 것이다.

장상현/전 인문학 교수

장상현 교수님-수정
장상현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신세계백화점 앞 6중 추돌사고…1명 숨지고 2명 중상 등
  2. 김진명 작가 '세종의 나라'에 시민 목소리 담는다
  3. 대전문화방송과 한화그룹 한빛대상 시상식
  4. 세종 '행복누림터 방과후교육' 순항… 학부모 97% "좋아요"
  5. 전교생 6명인 기성초등학교 길헌분교 초대의 날 행사
  1. 사나래복지센터, 이웃들과 따뜻한 정 나누기 위한 사랑의 김장나눔
  2. [인터뷰]장석영 대한언론인회 회장
  3. 대한전문건설협회 대전시회, 한국건축시공학회와 업무협약 체결
  4. 대전 향토기업 '울엄마 해장국'...러닝 붐에 한 몫
  5. 따르릉~ 작고 가벼운 '꼬마 어울링' 타세요!

헤드라인 뉴스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에서도 태평양전쟁을 겪은 세대가 저물고 있습니다. 80년이 지났고, 전쟁의 참상과 평화를 교육할 수 있는 수단은 이제 전쟁유적뿐이죠. 그래서 보문산 지하호가 일본군 총사령부의 것이었는지 규명하는 게 중요합니다."일본 마이니치 신문의 후쿠오카 시즈야(48) 서울지국장은 5일 대전 중구 보문산에 있는 동굴형 수족관 대전아쿠아리움을 찾아왔다. 그가 이곳을 방문한 것은 올해만 벌써 두 번째로 일제강점기 태평양전쟁의 종결을 앞두고 용산에 있던 일본군 총사령부를 대전에 있는 공원으로 옮길 수 있도록 지하호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그..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올해 고1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고교학점제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 시행 첫 학기를 경험한 응답자 중 10명 중 8명 이상이 '제도를 폐지하거나 축소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학생들은 진로 탐색보다 대학입시 유불리를 기준으로 과목을 선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종로학원은 10월 21일부터 23일까지 고1 학생과 학부모 47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75.5%가 '만족하지 않는다'고 답했다고 6일 밝혔다. 반면 '만족한다'는 응답은 4.3%, '매우 만족한다'는..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이 개장 한 달여 만에 누적 방문객 22만 명을 돌파하며 지역 관광명소로 주목받고 있다. 6일 대전시에 따르면 갑천생태호수공원은 9월 말 임시 개장 이후 하루 평균 7000명, 주말에는 최대 2만 명까지 방문하는 추세다. 전체 방문객 중 약 70%가 가족·연인 단위 방문객으로, 주말 나들이, 산책과 사진 촬영, 야간경관 감상의 목적으로 공원을 찾았다. 특히 추석 연휴 기간에는 10일간 12만 명이 방문해 주차장 만차와 진입로 혼잡이 이어졌으며, 연휴 마지막 날에는 1km 이상 차량 정체가 발생할 정도로 시민들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과학기술인 만남 이재명 대통령 과학기술인 만남 이재명 대통령

  •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

  • 수능 앞 간절한 기도 수능 앞 간절한 기도

  •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