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17일 제291회 제2차 정례회 행정사무감사가 마무리됐다./사진=대전시의회 제공 |
올해 지역 대표 행사로 자리 잡은 빵축제의 운영 미비점과 수년째 같은 문제를 반복하는 스카이로드 개선 지연 문제에 대해 집중포화를 쏟아부었다.
이날 열린 제291회 정례회 행정자치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는 대전관광공사를 대상으로 이와 같은 질의가 이어졌다.
우선, 대전시가 2021년 처음 개최한 후 매년 성장해 온 대전 빵축제는 올해 행사장을 두 배로 늘리고 참여 빵집도 102곳으로 확대해 16만 8000명이 방문했다. 하지만 규모 확장에 비해 방문객 증가 폭은 크지 않고, 인기 제품 조기 소진과 장시간 대기 등 불편이 반복돼 운영 효율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시의회에서 이어졌다.
이병철 의원은 "오픈런·조기 매진으로 실제 구매를 못한 시민이 많았다"며 "2·3차 재입고 시간조차 알 수 없어 줄만 서다 돌아가는 비효율이 반복됐다"고 비판했다. 그는 대형 전광판을 통한 재고 안내 시스템 도입과 김천 김밥축제 사례 벤치마킹 등을 요구하며 "축제의 기본은 안전하고 편안한 경험"이라고 강조했다.
정명국 의원은 "운영시간이 9시까지인데도 다수의 빵집이 6시 전후로 매진을 이유로 문을 닫아 방문객들이 실망하는 사례가 반복됐다"며 "대전 시민은 외지 유명 빵집 유치를, 외지인은 '대전 대표 빵집이 한곳에 모여 있다'는 경험을 기대하지만 현재 축제는 어떤 기대도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업체 배치와 참여 방식이 축제 목적과 맞는지 다시 고민해야 한다"며 "홍보·운영 방식도 축제의 콘셉트를 살릴 수 있도록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날 행감에서는 원도심 랜드마크인 스카이로드 운영 문제 역시 도마에 올랐다.
은행동 스카이로드는 2013년 조성 이후 영상 품질 저하, 노후 장비로 인한 콘텐츠 출력 한계, 상권과의 협력 부진 등 동일한 문제가 매년 되풀이되고 있다. 하지만 관광공사는 예산 부족과 민간 협력 난항만을 이유로 사실상 근본적 개선에 손을 놓은 채 대응해 왔다는 지적이 나온다.
2027년까지 운영계약이 남아 있음에도 뚜렷한 개선 계획을 내놓지 못해 지역 관광 거점으로서의 가치가 빠르게 무너지고 있다는 것이다.
김용원 대전관광공사 사장은 "스카이로드 개선의 가장 큰 난관은 민간 협력 부재이고, 하드웨어 전면 교체에는 막대한 예산이 필요하다"며 "외부 콘텐츠를 가져와 틀어보는 등 대안을 찾고 있지만 예산이 뒷받침되지 않는 한 획기적 개선은 어렵다"고 토로했다.
이에 이중호 의원은 "성심당 방문객 증가로 외지인 노출도는 더 높아졌는데 콘텐츠·환경은 여전히 제자리"라며 활용도 저하를 지적했고, "상권과의 협력이 어렵다면 행정이 억지로 끌고 갈 필요도 없다"며 현 상태 유지 가능성까지 언급했다. 이어 "관광공사가 민간 참여를 이끌 콘텐츠·행사 유치 등 실질적 해법을 내놓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최화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최화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