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리뷰]예술로 승화된 '영혼의 소리'… 가슴 울렸다

  • 문화
  • 공연/전시

[문화리뷰]예술로 승화된 '영혼의 소리'… 가슴 울렸다

보체다니마 음악회를 보고

  • 승인 2014-12-04 13:32
  • 신문게재 2014-12-05 16면
  • 김용복 극작가·칼럼니스트김용복 극작가·칼럼니스트
▲ 김용복 극작가·칼럼니스트
▲ 김용복 극작가·칼럼니스트
보체다니마(영혼의 소리)에 빠져들어 숨을 죽여야만 했던 50 여분간. 충남대학교 국제문화회관 백마홀에 모였던 300여명의 관중들은 보체다니마 단원들의 연주가 끝날 때까지 숨을 죽여야만 했다. 잡음으로 들리기 때문이다. 테너 윤양찬과 소프라노 노은실이 이태리 페라라 국립음대를 졸업해서 그런 이름을 붙였는지는 알 수 없으나 '영혼의 소리' 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보체다니마' 라는 이름부터가 이색적이었다.

영혼의 소리. 인문학을 전공해 어휘를 조탁(彫琢)하며 살아가는 필자로서는 그들의 연주가 영혼의 소리로 들릴 수밖에 없었다. 특히 소프라노 노은실이 이은상 시인이 지은 노랫말에 채동선이 곡을 붙인 '그리워'를 부를 때는 더욱 그런 감동에 젖을 수밖에 없었다.

그래, 그립고 그리워 찾아 왔는데 애처로운 들국화만 갈꽃 바람에 날리며 아니 뵈는 옛님만 더욱 그립게 하는 계절. 낙엽 지는 계절은 누구나 애처롭고 서글픈데, 그런 계절에 왜 소프라노 노은실은 그런 노래를 선곡하여 관객들을 애상에 젖게 하는가?

그 순간만은 소프라노 노은실의 애잔한 음색이 관객들 가슴속 깊이 파고들어, 부르는 이도 듣는 이도 모두 감상에 젖게 하였다. 그래 슬픔에 젖지 말자. 소프라노 노은실이 우리를 아무리 감상에 빠져들게 해도 슬픔에 젖지 말자. 그대 가슴에 내가 있고, 내 가슴에 그대가 있으니까 우린 슬퍼하지 말자.

어서 이 서글픈 늪에서 헤어나고 싶었다. 그러나 소프라노 노은실은 그런 우리를 놓아주지 않고 더욱 깊은 심연(深淵)의 늪으로 빠져들게 하였다. 그리고 그의 감미로운 목소리에 젖어 러브라인에 빠져드는 착각을 일으키게 하고 있었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마음 붙일 곳이 어디 있다는 말인가? 왜 그런 줄 알면서 그것을 자꾸 되새기게 하는가? 눈물도 웃음도 흘러가 다시는 돌아오지 않는데 부질없이 왜 헤아리려고만 하는가?

매우 지적인 매력의 가희(歌姬)가 이끌고 들어가는데 안 딸려가는 청중이 어디 있으랴. 그가 노래를 부르고 있는 동안은 듣는 것이 아니라 빨려 들어가고 있었던 것이다.

예술이었다. 가녀린 노은실의 목울대를 통하여 나오는 노랫말이 건반 위를 유영(遊泳)하는 피아니스트 윤현정의 손놀림에 의하여 그것은 예술로 승화되고 있었다. 거기에 지적인 매력의 아름다움이 플러스되었으니 도취되지 않고는 버틸 수가 없었던 것이다. 러브라인의 관계가 확실히 설정되는 순간이었다. 노은실과 윤현정, 그리고 보체다니마와의 러브라인!

보체다니마는 '영혼의 소리라'는 단체명으로 2005년도에 대전지역 유학파 출신 성악가들로 구성된 순수음악 단체라 한다. 윤양찬 단장의 말에 의하면 이번 찾아가는 음악회를 기획하게 된 것도 우리 사회에서 많은 관심이 필요한 소외계층(청소년, 노인, 장애인) 들에게 이해하기 쉬운 해설과 대화로 사랑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라 했다.

보체다니마의 단원들은 모두 젊고 아름다웠다. 테너 윤양찬 장명기의 패기 있는 음성과 차두식, 이성원의 굵직한 바리톤이 어울려 조화를 이룰 때는 노은실로 하여금 서글픔에 잠겼던 가슴이 뻥 뚫리는 듯 하였다. 거기에 소프라노 조성숙, 신소영, 성한나, 이윤정 등 가희(歌姬)와 가희(佳姬)를 한 몸에 지니고 있는 듯한 그들의 아름다운 음성과 피아니스트 한민선, 윤현정이 곡예를 부리듯 유영(遊泳)하는 피아노 소리와 어울릴 때 그것은 보이지 않는 예술로 승화되어 관중들의 가슴을 파고들기에 충분했다.

안내 팸플릿에 광고 한 줄 없으면 어떠랴! 이렇게 젊음이 있고, 지적인 매력과 감미로운 소리를 가진 젊음이 있는 것을.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KT&G '제17회 대단한 단편영화제' 출품작 공모
  2. 천안법원, 음주운전 집유 선고 전력 40대 남성 ‘징역형’
  3. 신용보증기금, '대장~홍대 광역철도 사업' 7000억 원 규모 보증 지원
  4. 대선 앞 세종 집값 상승률 2주 만에 12배↑… 대전·충남은 '하락'
  5. 서철모 서구청장, 릴레이 캠페인으로 인구문제 관심 호소
  1. 대전 둔산동서 음주운전으로 행인 3명 친 20대 검거
  2. [유통소식] 대전 백화점과 아울렛서 가정의 달 선물 알아볼까
  3. 남서울대, '산학협력 글로벌 K-스마트팜 포럼'개최
  4. "금강수계기금 운영 미흡 목표수질 미달, 지자체 중심 기금 개선을"
  5. 백석대, 지역 청년 일자리 창출 위한 협력체계 강화

헤드라인 뉴스


국민이 보는 지역균형발전… `지방 생활 인프라 확충` 가장 필요

국민이 보는 지역균형발전… '지방 생활 인프라 확충' 가장 필요

지역균형발전을 위해선 '지방 생활 인프라 확충'이 시급하다는 여론이 제기됐다. 이와 함께 지역균형발전에 가장 필요한 1순위 대책으로는 '지역별 맞춤형 일자리 확충'이 꼽혔다. 3일 국토연구원이 '도로정책브리프'로 발표한 국토정책 이슈 발굴 일반국민 인식 조사에 따른 결과다. 이번 설문조사는 2025년 1월 21~24일까지 진행했고, 표본 크기는 1000명으로 전국에 거주하는 만 19~69세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그 결과, 지역균형 발전을 위해 가장 필요한 대책을 묻는 1순위 답변으로는 '지역별 맞춤형 일자리 확충'이 27...

`벼락 맞을 확률` 높아졌다…기후변화에 장마철 낙뢰 급증
'벼락 맞을 확률' 높아졌다…기후변화에 장마철 낙뢰 급증

지난해 대전 지역에 떨어진 벼락(낙뢰)만 1200회에 달하는 가운데, 전년보다 4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로 낙뢰가 잦아지면서 지난 5년간 전국적으로 낙뢰 사고 환자도 잇달아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3일 기상청 '2024년 낙뢰 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대전 지역에서 관측된 연간 낙뢰 횟수는 총 1234회다. 앞서 2021년 382회, 2022년 121회, 2023년 270회 낙뢰가 관측된 것과 비교했을 때 급증했다. 1㎢당 낙뢰횟수는 2.29회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같은 해 충남에서도 전년(3495회)에 약 5배..

산책과 물멍으로도 힐링이 되는…  대청호 오백리길 ‘명상정원’
산책과 물멍으로도 힐링이 되는… 대청호 오백리길 ‘명상정원’

본격적인 연휴가 시작됐다. 가정의 달을 맞아 가족들과 국내외로 여행계획을 잡았거나 지역의 축제 및 유명 관광지를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그에 반해 인파가 몰리는 지역을 싫어해 여유롭고 한가하게 쉴 수 있는 곳, 유유자적 산책하며 휴일을 보내고 싶은 사람들에게 어울리는 곳이 있다. 바로 대청호 오백리길 4구간에 위치한 명상정원이다. 명상정원은 대청호 오백리길 4구간인 호반낭만길을 지나는 곳에 위치해 있다. 차량을 이용한다면 내비게이션에 명상정원 한터주차장을 검색하면 된다. 주차장에서는 나무데크를 따라 도보로 이동해야 한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산책과 물멍으로도 힐링이 되는 ‘명상정원’ 산책과 물멍으로도 힐링이 되는 ‘명상정원’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화려한 개막…4일까지 계속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화려한 개막…4일까지 계속

  • 세계노동절 대전대회 세계노동절 대전대회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