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춘추]세월의 품격

  • 오피니언
  • 중도춘추

[중도춘추]세월의 품격

임서령 목원대 교수

  • 승인 2015-05-06 14:17
  • 신문게재 2015-05-07 18면
  • 임서령 목원대 교수임서령 목원대 교수
▲임서령 목원대 교수
▲임서령 목원대 교수
중국의 고대 초상화가들은 사람의 얼굴을 여러 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각종 얼굴의 특징을 종합 정리하여 그림을 배우는 이의 관찰능력을 발전시켰다.

또 중국의 전통화론에서는 사람의 두상을 그 특징에 따라 팔격(八格)으로 나누었는데, 팔격이란 전(田), 유(由), 국(國), 용(用), 목(目), 갑(甲), 풍(風), 신(申)을 말한다. 원나라 초상화가 왕역(王繹)이 '사진비결'(寫眞秘訣)에서 설명한 팔격은 다음과 같다.

“머리의 모양이 납작하고 네모난 것을 전(田)이라 하고, 위는 뾰족하고 아래가 모난 것을 유(由)라 한다. 사각의 네모난 얼굴을 국(國)이라 하고, 위가 네모나고 아래쪽이 큰 모양을 용(用)이라한다. 이와 반대로 위가 크고 아래쪽이 모난 것을 목(目)이라 하고, 아래가 갸름한 얼굴은 갑(甲)이라 한다. 광대뼈가 넓은 모양은 풍(風)이라 하고, 위가 갸름하고 아래가 뾰족한 것은 신(申)이라 한다.” 이른바 팔격이란 이러한 여덟 종류의 머리 윤곽의 기본형을 밝힌 것이다. 옛 동양화가들은 인물화를 그릴 때 이렇듯 사람의 기본형을 읽은 후 비로소 눈썹, 눈, 콧대, 입술 등의 부위를 확정하여 머리의 해부구조를 이해하였다.

이 팔격에 비추어 보면 요즘 현대인들은 남녀를 불문하고 모두 신(申)의 구조를 제일로 친다고 보아야겠다. 그들은 뼈를 깎는 아픔을 불사하며 성형을 통해 하나의 유형을 추종한다. 연예인들이야 그렇다 치고, 매학기 개강 때가 되면 여학생들의 얼굴이 완연히 달라져 있는 경우를 심심치 않게 접한다.

그런데 참 민망한 것은 개인적 견해로는 그 학생이 예전보다 더 예뻐졌다는 느낌이 결코 들지 않는다는 것이다. 요즘 여대생들은 헤어스타일도 자신의 얼굴형에 어울리는지 아닌지를 떠나 모두 긴 생머리를 하고 있어서, 멀리서 보아 풍채만 비슷하면 내가 아는 아무개인 줄로 착각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몰개성의 시대, 모두 예뻐졌다고 느끼는지는 모르나 멋진 개성녀가 없다.

특히 20~30대 연예인들의 얼굴에서는 개성이 완전히 사라진지 오래다. 그들의 이미지는 TV를 끄는 순간 기억 속에서 사라지며 형상 기억 속에 존재감이 없다. 중장년층도 마찬가지다. 현대 의술의 도움으로 너나없이 주름은 펴졌는지 모르지만, 그들의 모습은 늘 부종을 앓고 있는 듯 부풀어 있어서, 자연스러운 표정이 나오지 않으니 안쓰러운 마음마저 든다. 왜 주름 사이에 배어있는 연륜의 미, 품격 미를 생각하지 않는 것일까.

예전에는 곱게 나이 드신 할머니들을 뵈면 젊을 때 참 고우셨겠구나 싶은 분들이 계셨다. 그런데 요즘에는 그런 할머니들을 찾기 어려워졌다. 63세로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보여 주었던 아름다운 행적의 오드리 헵번이 지녔던 깊은 주름, 40대 중반을 바라보는 영국배우 샤를로트 갱스부르(Charlotte Gainsbourg)나 60대 프랑스 여배우 이자벨 위페르(Isabelle Huppert)에게서 읽을 수 있는 자연스러운 세월의 품격을 우리는 왜 삭제하는 것일까. 그녀들은 우리에게 그녀들의 젊은 시절을 떠올리며 아쉬워할 만한 틈을 주지 않으며 자신들의 나이든 아름다움을 품격으로 드러낸다. 그래서 그녀들의 현재는 늘 아름답고 멋지다.

우리는 시간만이 줄 수 있는 것에 대한 진가를 너무 간과하며 산다. 시간이 걸려야 나오는 곰삭은 장맛의 미감, 세월이 만들어 낸 목재나 종이의 색감, 시간의 발자국이 만들어낸 숲길의 여유, 얼굴의 생김새도 이와 다르지 않다.

오랜 세월이 만들어낸 깊은 주름의 품격은 억만금을 주어도 만들어낼 수가 없다. 이제 나이가 들수록 오롯이 자신의 색깔을 드러낼 결정체가 되기 위하여, 그 색깔에서 격조 있는 향기까지 맡을 수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하여, 팔격의 개성을 자랑하며 철든 사람처럼 품격의 세월을 보태가는 것은 어떨까 한다.

임서령 목원대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탈세 혐의' 타이어뱅크 김정규, 항소심도 징역 7년 구형
  2. 걸을 수 있는데 28년간 하지마비? 산재보험 부당수급 잇달아 적발
  3. 증산도 상생봉사단, 태백산서 자연정화.산불예방 캠페인 벌여
  4. 충남대병원, 정신건강 입원영역 적정성 평가 1등급
  5. 부동산 경기 악화에… 대전 오피스텔 공급 절벽
  1. 호국보훈의 달 앞두고 단장하는 현충원
  2.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37. 대전 유성구 온천1동 인근 파스타·스테이크
  3. 정부, 통상리스크 대응에 28.6조 정책금융 공급… 지역 피해기업 '숨통 트이나'
  4. 세종에선 고등학생들이 선거벽보에 담뱃불… 현재까지 3건 수사중
  5. 유성구, 청소년부모 아동양육비 지원 대상 집중 발굴

헤드라인 뉴스


대전·세종·충청 `이재명 45%, 김문수 36%, 이준석 14%`

대전·세종·충청 '이재명 45%, 김문수 36%, 이준석 14%'

21대 대통령 선거를 10여 일 앞두고 대전·세종·충청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국민의힘 김문수,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를 오차범위 밖에서 앞서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첫 대선 TV 생중계 토론회 결과가 반영된 조사에서 '1강 1중 1약' 흐름이 확인됐다는 평가 속 이 후보는 두 후보와의 가상 양자 대결에서도 40% 중후반대 지지율로 우위를 점했다. 선거일까지 지금의 흐름이 굳어질지, 단일화 성사 등의 이벤트로 구도가 흔들릴지 주목되는 가운데 부동층 표심이 승부를 결정지을 변수로 꼽힌다. 중도일보와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대신..

부동층 & 지지층 충성도, 21대 대선 종반전 가를 최대 변수로
부동층 & 지지층 충성도, 21대 대선 종반전 가를 최대 변수로

21대 대통령 선거가 종반으로 접어들면서 부동층의 향배와 지지층의 충성도가 대선 승패를 결정지을 최대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중도일보와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대신협)가 20~21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7명을 상대로 대선후보 지지도를 조사한 결과, 대전·세종·충청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45%,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36%,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가 14%를 기록해 '1강 1중 1약' 구도를 보였다. 이재명 후보가 두 후보를 오차범위(95% 신뢰수준에 3.1%p) 밖에서 앞서는 상황에서, 지지 후보가 없다고 응답한 비..

충청 주민들 균형발전 위해 지역특화산단 최우선 과제 꼽아
충청 주민들 균형발전 위해 지역특화산단 최우선 과제 꼽아

충청권 지역 주민 다수는 다음 달 4일 취임하는 차기 대통령의 지역 균형발전 과제로 '지역 특화산업단지 조성'을 최우선 꼽았다. 국가균형발전은 국토와 국민을 보전하기 위해 더는 늦출 수 없는 최우선 국가과제다. 수도권에 고부가가치 산업이 몰리면서, 지방과 GRDP 편차가 갈수록 커지는 등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특화산업 육성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지역에 확충·분배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본 것이다. 이와 함께 중앙행정기관의 지방이전도 핵심 과제로 꼽았다. 설문에는 명시되지 않았지만 사실상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필요성 의견을 낸..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 ‘실제 상황이 아닙니다’…재난현장 긴급구조 종합훈련 ‘실제 상황이 아닙니다’…재난현장 긴급구조 종합훈련

  • 한빛탑 앞 선관위 캐릭터 `참참이` 눈길 한빛탑 앞 선관위 캐릭터 '참참이' 눈길

  • 호국보훈의 달 앞두고 단장하는 현충원 호국보훈의 달 앞두고 단장하는 현충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