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복만땅] 너무 큰 이름은 도리어 독?

  • 문화
  • 오복만땅

[오복만땅] 너무 큰 이름은 도리어 독?

[원종문의 오복만땅] 99. 좋은 이름

  • 승인 2018-05-18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게티이름 (1)ㅎㅎㅎ
이름은 평생 동안 부르고 쓰며, 자기 자신을 의미하고 지칭하는 고유명사로 이름이 곧 그 사람의 모든 것을 대변한다. 그러므로 이름은 아주 오래전부터 만물이 생기면서부터 만물의 이름이 함께 해왔다. 사람에게만 이름이 있는 것이 아니고 동물에게도 이름이 있고 식물에게도 이름이 있고 만물이 모두 저마다의 이름이 있다.

이름의 중요성에 대하여 공자(孔子)는 이름이 바르지 못하면 말이 순하지 아니하고, 말이 순하지 않으면 일을 이루지 못한다(名不正則 言不順, 言不順則 事不成)고 하였으며, 노자(老子)는 도덕경(道德經)을 저술하면서 첫 장에서 "이름이 없음은 하늘과 땅의 처음이며, 이름이 있음은 만물의 어머니"라고 설파하였다.(無名 天地之始 有名萬物之母)



장자(莊子)시대의 명학가(名學家)인 공손룡(公孫龍)은 그의 명실론(名實論)에서 이름(名)은 곧 실물(實)을 가리키는 것이라 했다.

주자(朱子)는 이름은 천년을 전해지는 것(遺名天秋)이라 하였으며, 유가(儒家)에서는 이름은 곧 몸이요, 몸이 곧 이름이다( 名體不離)라 하였다.



한국민족문화 대 백과사전 27권중에 17권 790쪽을 보면 아래와 같다.

"이름이란 무엇을 뜻하는가? 그것은 다름 아닌 존재가치나 의의(意義)를 뜻한다. 이름이 주어짐으로써 사물은 비로소 의미를 얻게 되고, 의미를 얻게 됨으로써 존재가치를 얻게 되는 것이다." 라고 설명되어 있다.

즉, 이름을 얻지 못한 것, 이름이 없는 것은 존재할 의미도 없고, 존재할 가치조차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세상에 존재했던 것이나 존재하고 있는 모든 것은 다 이름이며,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단어들은 모두 다 이름인 것이다.

이름은 지속적으로 반복해서 계속 부르게 되고 글자로 쓰게 되기 때문에 이름에 따른 보이지 않는 기운이 작용하여 삶의 운명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고 한다. 즉 억센 이름은 그 사람의 생활도 억세고 힘들게 하고, 나약한 이름은 그 사람의 생활도 나약하게 하며 흉폭 한 이름은 그 사람을 흉폭 하게 한다.

따라서 좋은 이름은 그 사람의 운명을 좋게 유도하여 행복으로 이끈다. 그래서 예로부터 "이름은 함부로 짓는 것이 아니다" 라고 했다.

시대가 변함에 따라서 좋은 이름을 짓는 원칙들도 조금씩 변하게 되었는데 예전에는 문자도 한자(漢字)를 주로 사용하였고, 한글은 하천계급이나 아녀자들이 쓰는 천한글로 언문(諺文)이라고 천시하였기 때문에 이름을 지을 때 한글은 제외시키고, 한자의 뜻을 가장 중요하게 보고 한자의 뜻만 살펴 이름을 지었다.

1950년경부터 이름의 글자에 획수를 세어서 두 글자나 세 글자의 획수를 합하여 흉한숫자를 피하고 좋은 수가 되는 이름을 짓기 시작했다.

여러 가지 변천과정을 거쳐서 현대에는 좋은 이름을 짓는 원칙들도 합리적으로 많이 발전되었으며, 요즘은 매우 세련되고 뜻도 좋고, 획수도 좋게 짓는다.

좋은 이름을 지을 때 첫 번째로 태어난 생년월일시를 살펴서 부족한 기운, 필요한 기운의 글자가 무엇인지 정하고 이름에 필요한 글자를 써서 부족한 운기를 이름으로 보완한다. 글자의 획수를 잘 살펴서 이름과 성씨가 모두 짝수이거나 모두 홀수가 되지 않게 성명에서 짝수와 홀수가 모두 들어가게 한다.

한글의 발음을 살펴서 초성발음이 상생으로 연결되고 중성이나 종성을 참고하여 발음의 오행이 상극이 안 되면서 발음이 꼬이지 않고, 부르기 쉽도록 한다.

한자의 자원오행을 잘 살펴서 상생배열이 잘 되도록 하고, 너무 나약한 이름이나 너무 큰 뜻의 이름도 피하여 균형이 맞으면서 뜻이 좋게 짓는다.

성과 이름의 글자들을 획수를 원획법 으로 잘 살펴서 성은 제외하고 이름의 획수를 합하여 원격(元格)으로 어릴 때의 운기가 좋은 길수가 되게 하며, 성과 이름의 첫 글자를 획수를 합하여 형격(亨格)으로 장년의 운기가 좋은 길수가 되도록 배려하고, 성과 이름의 끝 글자 획수를 합하여 이격(利格)으로 중년의 운기가 좋은 길수로 구성되게 이름을 짓는다.

성과 이름의 모든 글자획수를 원획으로 합산하여 말년 정격(貞格)을 좋은 수, 길한 수가 되도록 이름을 짓는 것이 기본적인 필수요건에 해당한다.

그리고 주역(周易)으로 환산하여 좋은 괘에 해당하고 청룡관이나 청룡재가 배열되거나 백호재나 백호관이 배열되며 파자하여 흉이 없으면 최고의 좋은 이름 바른 이름으로 보는 것이다. 이렇게 좋은 이름을 지으려면 매우 어렵지만 여기에 깊은 정성도 들어가야 바른 이름이 만들어진다. 이름은 함부로 짓는 것이 아니다.

원종문 명인철학원 원장

원종문-명인철학관-원장
원종문 명인철학원 원장은 한국동양운명철학인협회 이사, 한국작명가협회 작명시험 출제위원장, 국제뇌교육대학원 성명학 교수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연세대 명리학 전문과정과 경희대 성명학 전문과정을 수료했습니다. '이름 전문가'로 활동하며 '한국성명학 총론', '명학신서', '이름과 성공' 등의 저서를 발표했습니다.

오복만땅컷최종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구미, 주민안전 무시한 보행자 보도정비공사 논란
  2. "아산페이 안 쓰면 손해"-연말까지 18% 할인 연장, 법인 10% 연장 할인
  3. 아산소방서, 전통사찰 화재 예방훈련
  4. 천안시, 청소년유해환경 개선 합동점검·단속 및 캠페인
  5. 삼성디스플레이, 취약가정에 1억5천만원 후원
  1. 아산시 음봉어울림도서관, '시선 너머의 이야기' 전시
  2. 천안법원, 음주 측정 거부한 50대에 '징역형'
  3. [대입+] 종로학원 2026 수능 가채점 정시 분석… 서연고 경영 280점대, 의대는 290점 안팎
  4. 천안법원, 지인 간 법적소송에서 위증한 혐의 50대 남성 무죄
  5. 천안시 서북구, 동절기 제설작업 대비 안전교육 나서

헤드라인 뉴스


서연고 경영 280점대… 수도권 의대 285, 비수도권 275점

서연고 경영 280점대… 수도권 의대 285, 비수도권 275점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가채점 결과를 토대로 한 정시 합격선 예측에서 서울 주요 대학의 경영·의학계열 합격선이 280~290점대에서 형성될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는 문과 지원확대와 의대 정원 원복, 탐구영역 선택 변화 등으로 인해 정시 지원전략에서 문·이과 모두 경쟁 양상이 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14일 종로학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국어·수학·탐구(2) 원점수 합 기준으로 서울대 경영대학 합격선이 284점, 연세대·고려대 경영이 280점, 성균관대 글로벌경영이 279점, 서강대 경영학부 268점, 한양대 정책학과..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합작…한국 대표팀 볼리비아에 2-0 승리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합작…한국 대표팀 볼리비아에 2-0 승리

대한민국 축구 대표팀이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활약에 힘입어 볼리비아와의 평가전을 승리로 이끌었다.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한국 축구 대표팀은 14일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볼리비아와의 평가전에서 2-0으로 승리했다. 홍명보 감독은 4-2-3-1 포메이션을 꺼내 들었다. 9월과 10월 A매치에서는 스리백을 시험했지만, 이날은 포백을 통해 선수들의 기량을 점검했다. 손흥민을 원톱에 세운 뒤 2선에 황희찬과 이재성, 이강인을 배치해 공격 라인을 꾸렸다. 중원조합은 김진규와 원두재를 내보냈고, 포백라인은 이명재, 김태현, 김민재, 김..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설립을 앞둔 대전 중구 대흥동의 애물단지인 메가시티 건물이 기피시설이란 우려를 해소하고 새롭게 변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치권에서는 정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미래 첨단 산업 및 도시재생과의 연계를 시도하는 모습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은 국회의원회관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관계자를 만나 대전 중구 대흥동에 인공지능 산업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요청했다고 14일 밝혔다. 대전 중구 대흥동에 위치한 메가시티 건물은 2008년 건설사의 부도로 공사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