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복만땅] 너무 큰 이름은 도리어 독?

  • 문화
  • 오복만땅

[오복만땅] 너무 큰 이름은 도리어 독?

[원종문의 오복만땅] 99. 좋은 이름

  • 승인 2018-05-18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게티이름 (1)ㅎㅎㅎ
이름은 평생 동안 부르고 쓰며, 자기 자신을 의미하고 지칭하는 고유명사로 이름이 곧 그 사람의 모든 것을 대변한다. 그러므로 이름은 아주 오래전부터 만물이 생기면서부터 만물의 이름이 함께 해왔다. 사람에게만 이름이 있는 것이 아니고 동물에게도 이름이 있고 식물에게도 이름이 있고 만물이 모두 저마다의 이름이 있다.

이름의 중요성에 대하여 공자(孔子)는 이름이 바르지 못하면 말이 순하지 아니하고, 말이 순하지 않으면 일을 이루지 못한다(名不正則 言不順, 言不順則 事不成)고 하였으며, 노자(老子)는 도덕경(道德經)을 저술하면서 첫 장에서 "이름이 없음은 하늘과 땅의 처음이며, 이름이 있음은 만물의 어머니"라고 설파하였다.(無名 天地之始 有名萬物之母)



장자(莊子)시대의 명학가(名學家)인 공손룡(公孫龍)은 그의 명실론(名實論)에서 이름(名)은 곧 실물(實)을 가리키는 것이라 했다.

주자(朱子)는 이름은 천년을 전해지는 것(遺名天秋)이라 하였으며, 유가(儒家)에서는 이름은 곧 몸이요, 몸이 곧 이름이다( 名體不離)라 하였다.



한국민족문화 대 백과사전 27권중에 17권 790쪽을 보면 아래와 같다.

"이름이란 무엇을 뜻하는가? 그것은 다름 아닌 존재가치나 의의(意義)를 뜻한다. 이름이 주어짐으로써 사물은 비로소 의미를 얻게 되고, 의미를 얻게 됨으로써 존재가치를 얻게 되는 것이다." 라고 설명되어 있다.

즉, 이름을 얻지 못한 것, 이름이 없는 것은 존재할 의미도 없고, 존재할 가치조차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세상에 존재했던 것이나 존재하고 있는 모든 것은 다 이름이며,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단어들은 모두 다 이름인 것이다.

이름은 지속적으로 반복해서 계속 부르게 되고 글자로 쓰게 되기 때문에 이름에 따른 보이지 않는 기운이 작용하여 삶의 운명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고 한다. 즉 억센 이름은 그 사람의 생활도 억세고 힘들게 하고, 나약한 이름은 그 사람의 생활도 나약하게 하며 흉폭 한 이름은 그 사람을 흉폭 하게 한다.

따라서 좋은 이름은 그 사람의 운명을 좋게 유도하여 행복으로 이끈다. 그래서 예로부터 "이름은 함부로 짓는 것이 아니다" 라고 했다.

시대가 변함에 따라서 좋은 이름을 짓는 원칙들도 조금씩 변하게 되었는데 예전에는 문자도 한자(漢字)를 주로 사용하였고, 한글은 하천계급이나 아녀자들이 쓰는 천한글로 언문(諺文)이라고 천시하였기 때문에 이름을 지을 때 한글은 제외시키고, 한자의 뜻을 가장 중요하게 보고 한자의 뜻만 살펴 이름을 지었다.

1950년경부터 이름의 글자에 획수를 세어서 두 글자나 세 글자의 획수를 합하여 흉한숫자를 피하고 좋은 수가 되는 이름을 짓기 시작했다.

여러 가지 변천과정을 거쳐서 현대에는 좋은 이름을 짓는 원칙들도 합리적으로 많이 발전되었으며, 요즘은 매우 세련되고 뜻도 좋고, 획수도 좋게 짓는다.

좋은 이름을 지을 때 첫 번째로 태어난 생년월일시를 살펴서 부족한 기운, 필요한 기운의 글자가 무엇인지 정하고 이름에 필요한 글자를 써서 부족한 운기를 이름으로 보완한다. 글자의 획수를 잘 살펴서 이름과 성씨가 모두 짝수이거나 모두 홀수가 되지 않게 성명에서 짝수와 홀수가 모두 들어가게 한다.

한글의 발음을 살펴서 초성발음이 상생으로 연결되고 중성이나 종성을 참고하여 발음의 오행이 상극이 안 되면서 발음이 꼬이지 않고, 부르기 쉽도록 한다.

한자의 자원오행을 잘 살펴서 상생배열이 잘 되도록 하고, 너무 나약한 이름이나 너무 큰 뜻의 이름도 피하여 균형이 맞으면서 뜻이 좋게 짓는다.

성과 이름의 글자들을 획수를 원획법 으로 잘 살펴서 성은 제외하고 이름의 획수를 합하여 원격(元格)으로 어릴 때의 운기가 좋은 길수가 되게 하며, 성과 이름의 첫 글자를 획수를 합하여 형격(亨格)으로 장년의 운기가 좋은 길수가 되도록 배려하고, 성과 이름의 끝 글자 획수를 합하여 이격(利格)으로 중년의 운기가 좋은 길수로 구성되게 이름을 짓는다.

성과 이름의 모든 글자획수를 원획으로 합산하여 말년 정격(貞格)을 좋은 수, 길한 수가 되도록 이름을 짓는 것이 기본적인 필수요건에 해당한다.

그리고 주역(周易)으로 환산하여 좋은 괘에 해당하고 청룡관이나 청룡재가 배열되거나 백호재나 백호관이 배열되며 파자하여 흉이 없으면 최고의 좋은 이름 바른 이름으로 보는 것이다. 이렇게 좋은 이름을 지으려면 매우 어렵지만 여기에 깊은 정성도 들어가야 바른 이름이 만들어진다. 이름은 함부로 짓는 것이 아니다.

원종문 명인철학원 원장

원종문-명인철학관-원장
원종문 명인철학원 원장은 한국동양운명철학인협회 이사, 한국작명가협회 작명시험 출제위원장, 국제뇌교육대학원 성명학 교수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연세대 명리학 전문과정과 경희대 성명학 전문과정을 수료했습니다. '이름 전문가'로 활동하며 '한국성명학 총론', '명학신서', '이름과 성공' 등의 저서를 발표했습니다.

오복만땅컷최종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2.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3.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4.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5.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1.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2. 전국 학교 릴레이 파업… 20일 세종·충북, 12월 4일 대전·충남
  3.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4.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5. [기고] 디지털포용법과 사회통합

헤드라인 뉴스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새 정부의 국정과제인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둘러싼 잡음이 끊이질 않고 있다. 전국 거점국립대 9곳 모두 서울대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재정을 집중 지원한다는 방침이지만, 예상과 달리 평가에 따라 일부 대학에 예산을 몰아주거나 차등 지원한다는 얘기가 나오면서다. 여기에 일반 국립대와 사립대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는 건의까지 속출하면서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19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전날인 18일 내년도 예산안을 심의한 국회 예결위 예산소위는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위한 '국립대학 육성' 사업비 심사를 보류한 것으로..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