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복만땅] 너무 큰 이름은 도리어 독?

  • 문화
  • 오복만땅

[오복만땅] 너무 큰 이름은 도리어 독?

[원종문의 오복만땅] 99. 좋은 이름

  • 승인 2018-05-18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게티이름 (1)ㅎㅎㅎ
이름은 평생 동안 부르고 쓰며, 자기 자신을 의미하고 지칭하는 고유명사로 이름이 곧 그 사람의 모든 것을 대변한다. 그러므로 이름은 아주 오래전부터 만물이 생기면서부터 만물의 이름이 함께 해왔다. 사람에게만 이름이 있는 것이 아니고 동물에게도 이름이 있고 식물에게도 이름이 있고 만물이 모두 저마다의 이름이 있다.

이름의 중요성에 대하여 공자(孔子)는 이름이 바르지 못하면 말이 순하지 아니하고, 말이 순하지 않으면 일을 이루지 못한다(名不正則 言不順, 言不順則 事不成)고 하였으며, 노자(老子)는 도덕경(道德經)을 저술하면서 첫 장에서 "이름이 없음은 하늘과 땅의 처음이며, 이름이 있음은 만물의 어머니"라고 설파하였다.(無名 天地之始 有名萬物之母)



장자(莊子)시대의 명학가(名學家)인 공손룡(公孫龍)은 그의 명실론(名實論)에서 이름(名)은 곧 실물(實)을 가리키는 것이라 했다.

주자(朱子)는 이름은 천년을 전해지는 것(遺名天秋)이라 하였으며, 유가(儒家)에서는 이름은 곧 몸이요, 몸이 곧 이름이다( 名體不離)라 하였다.



한국민족문화 대 백과사전 27권중에 17권 790쪽을 보면 아래와 같다.

"이름이란 무엇을 뜻하는가? 그것은 다름 아닌 존재가치나 의의(意義)를 뜻한다. 이름이 주어짐으로써 사물은 비로소 의미를 얻게 되고, 의미를 얻게 됨으로써 존재가치를 얻게 되는 것이다." 라고 설명되어 있다.

즉, 이름을 얻지 못한 것, 이름이 없는 것은 존재할 의미도 없고, 존재할 가치조차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세상에 존재했던 것이나 존재하고 있는 모든 것은 다 이름이며,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단어들은 모두 다 이름인 것이다.

이름은 지속적으로 반복해서 계속 부르게 되고 글자로 쓰게 되기 때문에 이름에 따른 보이지 않는 기운이 작용하여 삶의 운명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고 한다. 즉 억센 이름은 그 사람의 생활도 억세고 힘들게 하고, 나약한 이름은 그 사람의 생활도 나약하게 하며 흉폭 한 이름은 그 사람을 흉폭 하게 한다.

따라서 좋은 이름은 그 사람의 운명을 좋게 유도하여 행복으로 이끈다. 그래서 예로부터 "이름은 함부로 짓는 것이 아니다" 라고 했다.

시대가 변함에 따라서 좋은 이름을 짓는 원칙들도 조금씩 변하게 되었는데 예전에는 문자도 한자(漢字)를 주로 사용하였고, 한글은 하천계급이나 아녀자들이 쓰는 천한글로 언문(諺文)이라고 천시하였기 때문에 이름을 지을 때 한글은 제외시키고, 한자의 뜻을 가장 중요하게 보고 한자의 뜻만 살펴 이름을 지었다.

1950년경부터 이름의 글자에 획수를 세어서 두 글자나 세 글자의 획수를 합하여 흉한숫자를 피하고 좋은 수가 되는 이름을 짓기 시작했다.

여러 가지 변천과정을 거쳐서 현대에는 좋은 이름을 짓는 원칙들도 합리적으로 많이 발전되었으며, 요즘은 매우 세련되고 뜻도 좋고, 획수도 좋게 짓는다.

좋은 이름을 지을 때 첫 번째로 태어난 생년월일시를 살펴서 부족한 기운, 필요한 기운의 글자가 무엇인지 정하고 이름에 필요한 글자를 써서 부족한 운기를 이름으로 보완한다. 글자의 획수를 잘 살펴서 이름과 성씨가 모두 짝수이거나 모두 홀수가 되지 않게 성명에서 짝수와 홀수가 모두 들어가게 한다.

한글의 발음을 살펴서 초성발음이 상생으로 연결되고 중성이나 종성을 참고하여 발음의 오행이 상극이 안 되면서 발음이 꼬이지 않고, 부르기 쉽도록 한다.

한자의 자원오행을 잘 살펴서 상생배열이 잘 되도록 하고, 너무 나약한 이름이나 너무 큰 뜻의 이름도 피하여 균형이 맞으면서 뜻이 좋게 짓는다.

성과 이름의 글자들을 획수를 원획법 으로 잘 살펴서 성은 제외하고 이름의 획수를 합하여 원격(元格)으로 어릴 때의 운기가 좋은 길수가 되게 하며, 성과 이름의 첫 글자를 획수를 합하여 형격(亨格)으로 장년의 운기가 좋은 길수가 되도록 배려하고, 성과 이름의 끝 글자 획수를 합하여 이격(利格)으로 중년의 운기가 좋은 길수로 구성되게 이름을 짓는다.

성과 이름의 모든 글자획수를 원획으로 합산하여 말년 정격(貞格)을 좋은 수, 길한 수가 되도록 이름을 짓는 것이 기본적인 필수요건에 해당한다.

그리고 주역(周易)으로 환산하여 좋은 괘에 해당하고 청룡관이나 청룡재가 배열되거나 백호재나 백호관이 배열되며 파자하여 흉이 없으면 최고의 좋은 이름 바른 이름으로 보는 것이다. 이렇게 좋은 이름을 지으려면 매우 어렵지만 여기에 깊은 정성도 들어가야 바른 이름이 만들어진다. 이름은 함부로 짓는 것이 아니다.

원종문 명인철학원 원장

원종문-명인철학관-원장
원종문 명인철학원 원장은 한국동양운명철학인협회 이사, 한국작명가협회 작명시험 출제위원장, 국제뇌교육대학원 성명학 교수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연세대 명리학 전문과정과 경희대 성명학 전문과정을 수료했습니다. '이름 전문가'로 활동하며 '한국성명학 총론', '명학신서', '이름과 성공' 등의 저서를 발표했습니다.

오복만땅컷최종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환자 목부위 침 시술 한의사, 환자 척수손상 금고형 선고
  3.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4. 대전서 교통사고로 올해 54명 사망…전년대비 2배 증가 대책 추진
  5. 인문정신 속의 정치와 리더십
  1.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2. 대학 라이즈 사업 초광역 개편 가능성에 지역대학 기대·우려 공존
  3.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4.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5.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헤드라인 뉴스


지난해 충청권 수험생 37명 ‘학폭 이력’에 대입 불합격

지난해 충청권 수험생 37명 ‘학폭 이력’에 대입 불합격

지난해 충청권 10개 대학이 수시 전형에서 학교폭력 이력을 평가에 반영해 37명이 불합격한 것으로 조사 됐다. 2026학년도 대입 전형이 이뤄지는 올해 전국 대학이 학폭 사항을 필수적으로 확인해 탈락 사례는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 된다. 18일 국회 교육위원회 김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과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4년제 국·공립, 사립대학 61곳이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 내 학폭 처분 이력을 2025학년도 대입 전형 평가에 반영했다. 수시모집에서는 370명 중 272명(73.5%), 정시모집에서는 27명 중 26명(96.3%)..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K-방산 산업의 미래 경쟁력과 국가 안보를 위한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에 대전시와 산학연이 뭉쳤다. 대전시와 KA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화시스템, 대전테크노파크는 18일 시청에서 '국방·우주반도체 국내 공급망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장우 대전시장, 이광형 KAIST 총장, 방승찬 ETRI 원장, 손재일 한화시스템㈜ 대표, 김우연 대전테크노파크 원장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국가 안보에 필수적인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협약 기관들은..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11월 15~16일 이틀간 충남 청양공설운동장에는 선수들을 향한 환호와 응원으로 떠들썩했고, 전국에서 모인 풋살 동호인들은 신선한 가을 하늘 아래 그동안 갈고닦은 기량을 맘껏 뽐냈다. 중도일보와 청양군체육회가 공동으로 주최·주관하고, 청양군과 청양군의회가 후원한 이번 대회엔 대전, 세종, 충남, 충북 등 충청권 4개 시도를 비롯해 서울, 경기, 대구, 경북, 전북 등 전국 각지에서 선수들과 가족, 지인, 연인 등 2500여 명이 참여해 대회 분위기를 뜨겁게 달궜다. 이날..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