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세종연구원이 지난 18일 발표한 '자율주행차 도입에 따른 대전시의 역할과 대응방안'에 따르면 최근 자율주행 자동차의 연구가 활성화 되면서 약 20년 이후 자율주행 자동차는 또 다른 교통패러다임을 만들고 도시공간구조를 새롭게 재편성 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자율주행차 도입을 위한 지자체의 단계별 준비가 필요하다.
4차 산업혁명 이후 자율주행이 보편화 되면서 사람 중심의 도시개념으로 변화되고 있다. 자율주행차가 도입되면 교통 패러다임이 바뀌게 된다. 자율주행차의 도입은 차량을 재화에서 서비스로 전환하는 흐름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카풀, 카셰어링, 공유자전거, 장애인 콜택시, 수요대응형 교통수단(Demand Responsive Transit: DRT) 등의 공유교통수단이 공존하고 있다. 버스, 도시철도 등의 대중교통은 거점을 연결하는 급행으로 운행을 하게 되며, 도시내 교통은 자율주행차가 대체하게 될 전망이다. 또한 장애인, 고령자, 어린이, 저소득층 등 기존 교통약자들의 이동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교통 서비스의 형평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되며, 대중교통의 역할에 대한 재정비가 해야하다. 주차장, 도로, 주유소 등 차량 관련 기반시설도 자율주행차가 도입되면 위치와 규모에 상당한 영향을 주게 된다. 운전자 실수로 기인하는 교통사고도 상당부분 줄게 된다.
자율주행 차량은 기존의 자동차 산업에 통신, 센서, 카메라, 디스플레이, 각종 전기전자 부품기술 등의 다양한 산업이 집약된 고 부가가치 산업이다. 더욱이 자율주행 전기자동차로 인한 모빌리티의 변화는 새로운 경제적 파급효과와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할 수 있으며, 대기오염과 온실가스도 현저히 줄게된다. 사회적으로는 이동성과 접근성을 높여주고, 대중교통과 개인교통의 경계가 허물어지게 된다.
이에 대전시는 자율주행차 도입을 위해 단계적인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자율주행차량의 도입 과정에서 자율주행차량과 일반차량의 혼재 및 기존 교통시스템 내에서의 적응 등 상당한 혼란이 예상된다. 도입 초기의 경우 데이터 수집 등 소프트웨어 관련 투자를 중심으로 하며, 도입 중기에 인프라 등 하드웨어 관련 투자를 시작하고, 자율주행 차량의 긍정적 사회적 합의가 있을 때에 이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자율주행으로 인한 교통패러다임의 이해도 필요하다. 먼저, 차량이 소유에서 서비스로 전환할 때에 관련 시스템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관련 업체 인허가 등 필요한 규제를 마련하고, 자율주행차의 도입 시 소외받는 계층이 없도록 개입할 필요가 있다. 이와함께 효율적인 주차 시스템을 개발 및 공급하고 기존 주차 시설을 도시에 맞게 재개발할 필요가 있다. 특히 교통계획상 대중교통의 역할에 대한 재정비가 필요하고, 기존 제도의 제약을 완화하여 모빌리티를 다양화 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해야한다.
이정범 대전세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자율주행차가 도입되면 도시 개념이 바뀌고, 경제적, 사회적으로도 큰 변화가 예상된다"면서 "대전시가 시기적으로 맞는 정책을 도입해 적용할 필요가 있다. 당장은 모빌리티를 다양화해 자율주행차 발전 환경을 만들어주고, 교통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시민 홍보가 필요한 시점이다"라고 밝혔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