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8-06 [신천식의 이슈토론] 핵폐기물 위협받는 대전, 전문가들의 해법은? 대전 방사성 폐기물 유출과 관련해 원자력연구원 차원에서 중·저준위 핵폐기물 배출량을 시민사회에 주기적으로 알려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최근 원자력 연구시설에서 세슘137 등 인공 방사성물질이 방출되는 사고가 발생한 사실이 드러났다. 지난 1월 연구원 인근의 하천 토양..
2020-08-02 [대전기록프로젝트] 대전 정체성 찾고, 지속가능한 플랜 구체화해야 재개발과 재건축을 앞둔 동네와 마을의 기록을 남겨보자는 '메모리존' 조성 취지에 공감을 얻으며 [대전기록프로젝트]가 첫발을 뗐다. 중도일보는 이를 출발점 삼아 연중 시리즈로 [대전기록프로젝트]를 이어간다. 대전시의 재개발과 재건축, 도시재생 정책 방향, 기록이 시급한..
2020-08-02 [신천식의 이슈토론] 대전 수돗물, “방충망 강화·활성탄 여과지 자주 세척해야” 최근 인천 수돗물 사태와 관련 정수장 내 활성탄 역세척 주기를 단축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지난달 초 인천시에 공급되는 수돗물에서 깔따구 유충이 발견돼 언론에 도배가 됐다. 이후 서울, 경기, 부산 등 전국에서 신고가 접수되면서 수돗물 사용이 부담스러워졌다. 그러던..
2020-07-31 대전 수돗물 안전한가, 인천 사태에 따른 전문가들의 해법은? 최근 인천 수돗물에서 깔따구 유충이 발견돼 물 사용에 비상이 걸렸다. 이번 수돗물 사태는 서울과 경기, 부산으로 번졌고, 급기야 대전 수돗물에서도 유충이 발견되면서 시민들의 불안은 확산됐다. 다행히 대전을 비롯한 인천 이외 지역에서 나온 유충은 외부 원인으로 확인됐지..
2020-07-31 [코로나19 극복 프로젝트 힘내라 대전]2.코로나 시대, 온라인으로 소통하는 대전의 작가들(영상포함)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가 가속화되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지자체와 지역사회의 움직임이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중도일보는 코로나19를 이겨내는 지역민들의 이야기 '힘내라 대전'을 기획코너로 마련해 시민들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는 한편 코로나19를 슬기롭게 이겨내는..
2020-07-29 [기획]도시공원, 시민위한 '녹지공간' 재탄생 해야 [기획-일몰제 이후 대전 도시공원을 진단하다] (하) 공원조성 방향은 도시공원 부지를 사들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공원을 어떻게 만들 것이냐는 문제는 이용자인 시민들의 입장에서 더욱 큰 사안이라 할 수 있다. 어떤 공원 녹지 보존을 우선으로 할지, 어디까지 개발을 할지에..
2020-07-28 [기획]부지매입에 조성비 부담까지... 지자체 허리휜다 [기획-일몰제 이후 대전 도시공원을 진단하다] (중) 재원마련 문제점 도시공원 일몰제로 대전시가 재정난에 허덕이고 있다. 해제되는 도시공원의 부지 매입 비용은 천문학적이다. 매입비만 약 3900억 원인데 이조차도 지방채 발행으로 마련해야 한다. 여기에 공원 조성 비용까..
2020-07-27 [기획]사람은 없고 농작물만...'이름만 공원' 개선 시급 [기획-일몰제 이후 대전 도시공원을 진단하다] (상) 방치된 공원 현장 가보니 (중) 재원마련 문제점 (하) 공원조성 방향은 지난 7월 1일부터 도시공원 일몰제가 시행됐다. 도시공원 일몰제는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공원 설립을 위해 도시계획시설로 지정한 뒤 20년이 넘도..
2020-07-23 [코로나19 극복 프로젝트 힘내라 대전]1.지역경제 살리는 희망의 메시지 '비대면 장터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가 가속화되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지자체와 지역사회의 움직임이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중도일보는 코로나19를 이겨내는 지역민들의 이야기 '힘내라 대전'을 기획코너로 마련해 시민들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는 한편 코로나19를 슬기롭게 이겨내는..
2020-07-21 신천식의 이슈토론 유성시장(유성5일장)활성화를 위한 답을 묻는다. 생방송 안내 유성시장과 유성 5일장은 유성지역의 대표적 명물이며 명소로서 역사문화의 흔적이며 만남의 공간이었고 추억과 기억을 부추기는 지역고유의 장소로서 존재해왔다. 유성 5일장과 유성시장이 지속 가능을 위하여 시간의 흐름과 동행하기 위한 대변신의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 장대B..
2020-07-19 [리뉴얼 충청] 세종·공주·백제보 처리방안 판단 눈앞…인식조사 변수 금강유역물관리위원회가 세종·공주·백제보의 철거 또는 유지의 처리방안 결정에 앞서 금강 국민 인식 여론조사를 실시해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세종보 완전철거, 공주보 부분해체 그리고 백제보 완전 개방을 제시한 지난해 4대강 조사평가 기획위원회 발표 후 1년 6개월을 끌어온..
2020-07-15 [신천식의 이슈토론] 대전시 코로나 대응, 지역색 담긴 사회적 합의 마련돼야 '코로나19'사태와 관련 정부 주도의 대응만 의지하기보다 지역의 특색을 담은 사회적 합의를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올초부터 시작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가 최근 광주와 대전을 중심으로 재확산되면서 지역 감염 차단에 초점이 맞춰지는 가운데 대전시가 확진자 동..
'SMR 특별법' 공방 지속… 원자력계 "탄소중립 열쇠" vs 환경단체 "에너지 전환 부정" 세종시 '러닝 크루' 급성장...SRT가 선두주자 나선다 조국혁신당 대전시당, '검찰개혁 끝까지 간다'… 시민토크콘서트 성황 [오늘과내일] 더 좋은 삶이란? 李정부 첫 조각 마무리…충청 고작 2명 홀대 심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