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석홍]독도 문제 '후손 교육'이 답이다

  • 오피니언
  • 사외칼럼

[송석홍]독도 문제 '후손 교육'이 답이다

[월요아침]송석홍 경인여대 교수

  • 승인 2011-06-26 13:08
  • 신문게재 2011-06-27 20면
  • 송석홍 경인여대 교수송석홍 경인여대 교수
日, 독도야망 차근차근 키워나가
침략역사 되풀이 철저히 가르쳐야

▲ 송석홍 경인여대 교수
▲ 송석홍 경인여대 교수
미국 가정에 초대받은 어떤 일본인이 액자 선물을 하나 들고 왔더란다. 초대한 미국인이 무엇인가 하고 살펴봤더니, 다름 아닌 독도가 일본영토로 분명하게 표기된 '일본지도'였단다. 이처럼 일본인들은 외교관이 아닌 한 민간인조차 독도가 자기 영토라는 생각에 가득 차 있다.

그들은 국가소비를 진작시키고자 나라가 나눠 준 보너스 상품권마저 현금으로 바꿔서 은행에 넣는 사람들이다. 쓰나미로 죽어가면서도 자손들에게 그 재산을 물려주려고 애쓰는 사람들이 바로 일본인이다.

뿐만 아니다. 한국을 연구하는 '한국학' 학자만도 수백 명이 되는 나라다. 사실상 말이 '한국학'이지, 한국을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침략용 한국지도를 만드는 수준의 어마어마한 연구를 하고 있단다.

그런 일본이 지난 3월 30일 독도를 일본의 영토라고 기술한 중학교 사회교과서의 검정 결과를 발표했다. 일본외교청서는 1963년부터, 방위백서는 1978년부터, 일부교과서에서는 1993년부터 독도를 일본의 영토로 표기해왔다. 그러면 일본은 왜 이렇게 끈질기게 독도를 한국에 빼앗겼다고 교과서에 실어 자기 후손들에게 교육을 시키는 것일까. 곰곰이 들여다보면 그것은 한국에 빼앗긴 독도를 앞으로 후손들이 힘이 생기면 되찾아 달라는 '강력한 당부'라는 것을 금방 알 수 있다. 그런데 우리는 어떤가. 독립기념관 만든다고 온 나라가 떠들썩하게 한바탕 모금운동 벌이고, 3·1절이나 광복절이면 아우내 장터에서 만세운동 재연하는 게 고작이다. 일본이 독도를 집적댈 때마다 일본대사관 앞에서 일장기 태우고, 고래고래 소리 지르다가 혈서 한 번 쓰는 것으로 끝나곤 한다.

이건 아니다. 이런 한국 국민의 대응에 귀를 기울여야 할 일본의 후손들은 아직 태어나지도 않았다. 그리고 독도를 빼앗으려는 일본에 맞서 싸울 우리의 후손들도 아직 태어나지 않았는데 우리의 소란(?)을 누가 알기나 할 것이며 무슨 소용이 있을까.

일본은 1592년 임진왜란을 일으켜 7년간 우리 강토를 쑥대밭으로 만들었고, 300년 후인 1905년에는 우리를 보호해준답시고 강제로 국권을 빼앗아 36년간 다 수탈해간 나라다. 100년 후인 2010년에 와서는 자기네가 단 한 번도 지배해 보지도 않은 독도를, 한국에 빼앗겼으니 찾아 가야겠다고 외교전쟁을 선포했다. 어쩌면, 30년 후 쯤 후인 2040년(?)경에는 독도에 미사일을 쏘며 침공해올 지도 모를 일이다.

일본이 빼앗기지도 않은 남의 땅을 자기네 땅이라고 되찾아오라고 하는 심보는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일본의 본성인 '침략근성'에 기인한다. 명나라를 칠 테니 길을 비켜달라던 임진왜란, 미개한 민족을 보호해야 한다는 을사보호조약, 지금에 와서는 남의 땅을 빼앗아갔으니 찾아야겠다는 독도침략…. 이 모든 것이 뿌리 깊은 일제의 침략근성이 깔려있기 때문이다.

물론 일본은 당대에서 독도를 빼앗아 갈 수도 없다. 또 한국도 독도를 일본에 절대로 빼앗기지도 않을 것이다. 그래서 일본은 후손 교육을 통해 다시 임진왜란이나, 한일합방 같은 방식으로 부디 독도를 한국으로부터 빼앗아 오길 염원하는 것이다.

문제가 생길 때마다 우리 정부나 정치권에선 실효지배 강화책을 단골메뉴로 들고 나온다. 하지만, 이런 대응은 어리석기 짝이 없는 대처이자 예산낭비에 불과하다. 이런 감정적인 반응은 일본의 대응만 키울 뿐이다. 일본은 우리의 아우성과는 아무 관계없이 정해놓은 각본대로 (1905년에 독도를 시마네현에 편입시킨 시마네현 고시부터 독도를 빼앗아갈 때까지) 차근차근 움직이고 있기 때문이다. 외교는 원래 소리 없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국이 일본에 또다시 당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한마디로 '후손 교육'이 정답이다. 우리는 우리 후손들에게 2040년(?)경쯤에 일본이 꾸미고 있을 독도 침공을 알려주어야 한다. 이것이 바로 되풀이되는 일본의 침략역사를 가르쳐야만 하는 이유인 것이다. 즉 우리는 우리 후손들에게 일본의 각본에 대응할 정신을 무장시켜야 하고, 나아가서 힘을 길러 나라 없는 설움을 다시 겪지 않도록 철저하게 가르쳐야 할 것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터뷰] 진성철 특허법원장 "지식재산 국경 없는 경쟁시대, 국민과 기업권리 보호"
  2. 초등 기초학력 지원 4~6학년은 '사각지대'
  3. "충남 스마트 축산단지, 갈 길 먼데…" 용역비 전액 삭감 논란
  4. 인기 게임 크리에이터 '감스트', 27일 대전 온다
  5. 순직 소방공무원 합동안장식
  1. '초소형군집위성 1호' 24일 오전 7시 32분 발사, 임무궤도 안착하고 교신 성공
  2. 심사평가원 대전충청본부, 대전충청지역 종합병원 간담회
  3. 경비노동자 "대전시 고용안정 개정안 환영"…실질적인 방안 촉구
  4. CTX 출발역인 정부대전청사역 현장점검 나선 백원국 차관
  5. 표결만 4번 '충남학생인권조례' 또 다시 폐지로

헤드라인 뉴스


항우연 연구자들 징계 위기… 노조·조승래 의원 “표적감사 규탄”

항우연 연구자들 징계 위기… 노조·조승래 의원 “표적감사 규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노동조합과 더불어민주당 조승래 국회의원(대전 유성구갑)이 항우연 연구들에 대한 정부의 감사 처분 철회와 탄압 중단을 요구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조승래 의원과 서 전국과학기술노동조합 한국항공우주연구원지부(항우연 노조)는 25일 국회 소통관에서 '항공우주연구원 표적·보복감사 규탄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3년 9월 4일부터 올해 3월 27일까지 206일간 항우연을 대상으로 특정감사를 벌여 최근 결과를 통보했다. 과기정통부는 감사 결과 공개를 거부하고 있으나, 전..

류현진 100승 재도전 실패의 의미...한화이글스, 반등 가능할까
류현진 100승 재도전 실패의 의미...한화이글스, 반등 가능할까

한화이글스가 최근 거듭된 악재 속 연패까지 기록하면서, 리그에서의 순위도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침체한 팀 분위기 속 최원호 감독의 리더십도 시험대에 오른 가운데 4월의 마지막 일정을 통해 한화가 반등에 성공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현시점에서 가장 충격적인 소식은 류현진의 프로야구 KBO리그 개인 통산 100승 재도전의 실패다. 류현진의 100승 기록 달성은 지난달까지만 하더라도 쉽게만 보였던 도전 과제 중 하나였기 때문이다. 류현진은 4월 24일 경기도 수원케이티위즈파크에서 열린 KT wiz와의 원정 경기에 선발 등판해 5이..

`FC 프로 마스터즈` 26일 대전서 개막… 아시아 4개국 최강자 가린다
'FC 프로 마스터즈' 26일 대전서 개막… 아시아 4개국 최강자 가린다

한국, 중국, 태국, 베트남 총 4개국이 참가하는 국제대회 'FC 프로 마스터즈'가 26일 대전 이스포츠 경기장에서 개막한다. 대전시와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이 지원하는 'FC 프로 마스터즈'는 FC(전 FIFA 온라인 4) 리브랜딩 이후 개최되는 첫 국제대회로 28일까지 진행된다 'FC 프로 마스터즈'는 'FC 온라인' 경기와 'FC 모바일' 경기로 나뉘어 진행된다. 'FC 온라인' 대회는 KT롤스터와 광동프릭스가 한국 대표로 출전하고, 'FC 모바일' 대회는 'SODA'와 'JOSCAR'가 경기를 치른다. KT롤스터와 광동프릭스는..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충청권 광역 응급의료상황실 방문한 한덕수 총리 충청권 광역 응급의료상황실 방문한 한덕수 총리

  • 지하식 소방용수 인근에 쌓인 건설폐기물 지하식 소방용수 인근에 쌓인 건설폐기물

  • 한자리에 모인 대전 신기술 개발제품 한자리에 모인 대전 신기술 개발제품

  • CTX 출발역인 정부대전청사역 현장점검 나선 백원국 차관 CTX 출발역인 정부대전청사역 현장점검 나선 백원국 차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