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충식 문화칼럼]신바람난 독도새우

  • 오피니언
  • 문화칼럼

[최충식 문화칼럼]신바람난 독도새우

  • 승인 2017-11-15 12:03
  • 수정 2017-11-15 15:42
  • 신문게재 2017-11-16 22면
  • 최충식 논설실장최충식 논설실장
사진
독도새우가 바람이 났다. 신바람이다.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속초 등의 취급점이 북새통이다. 새우 요리는 일본에서도 나왔지만 조명을 받지 못했다. 일본은 독도새우에 이어 중국 인민대회당 만찬의 생선요리인 둥싱반(東星斑) 무늬바리 찜도 못마땅해 했다. 남중국해 분쟁지역에서 잡혀 중국의 자국 영토 주장 메시지라며 우겼다.

일본이 문제적으로 본 것은 국빈 만찬장에 오른 '독도'라는 이름이다. 도화새우, 꽃새우, 가시배새우, 물렁가시붉은새우로 소개됐으면 묻히고 말았을 일이다. '독도새우 잡채를 올린 송이돌솥밥 반상'의 부재료일 뿐인데 그 난리였다. 일상의 음식도 외국 정상 앞에서 당연히 이미지의 탈을 쓴다. 정치 무대에서도 그렇다. 홍어 정치학과 과메기 정치학이 그것이다. 권력 이동으로 가자미 정치학이 나올지는 알 수 없다. 트럼프는 거제도 가자미 맛을 봤다.



메뉴 읽는 법에 '출처를 확인하라'가 있다. 외교 밥상의 소고기는 원산지를 가린다. 조지 부시 방한 때는 한우갈비구이와 미국산 안심스테이크를 준비했다. 광우병 민심을 달랜다는 의도였지만 당시에는 이중구속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이번에는 음식에 있는 어떤 위계를 봤다. 한우 갈비구이에 미국 역사보다 긴 360년 된 씨간장 소스를 곁들였다. 궁핍했던 시절의 곡물 죽까지 내놓아 6·25로 맺어진 동맹을 환기시켰다. '초딩 입맛' 트럼프를 위해 미국산 소고기 햄버거를 골프장으로 공수한 일본보다 품격 있다. 스토리텔링도 앞선다.

그 스토리를 풍부하게 해준 것이 일본이다. 기본적으로 음식 속에 개인, 지역, 국가의 문화사가 있다. 인천의 밥상에는 개항의 역사가, 대전의 밥상에는 철도 부설의 역사가 서려 있다. 역사적으로 19세기 중국이 개항을 당할 땐 피를 뚝뚝 흘리는 스테이크 요리가 동원됐다. 루스벨트는 영국 왕실을 초대해 잔디밭에서 핫도그 외교를 펼쳤다. 고려를 무릎 꿇린 몽골 군대는 일본을 치려고 안동과 제주에 주둔하면서 소주와 설렁탕을 남겼다. 미국인의 단 것 선
최충식(문화칼럼용)
▲최충식 논설실장
호와 프랑스인의 포도주 선호가 '문화재' 같다던 롤랑 바르트가 한국인의 매운 것 선호를 눈여겨봤으면 역시 같은 말을 했을 것이다.



그뿐 아니라 음식은 이제 적과 동지 구분에 또 쓰인다. 독도새우를 외교적 고려 없이 준비했다지만 지극히 외교적이 됐고 반일 만찬이 됐다. 그게 도리어 잘됐다. 사쿠라에비(벚꽃새우)를 올리든 독도새우를 올리든 남의 집 반찬 투정이나 하는 태도가 우리를 불편하게 한다. 독도새우라고 부르는 새우는 알고 보면 일본 오호츠크해나 홋카이도에서도 잡힌다. 확실히 음식은 외교였다.

외신은 "미국보다 오래된 콩소스(간장)"에 대해서도 보도했다. 만약 '가을 새우는 굽은 허리도 펴게 한다'에 곁들여 '혼자 여행할 땐 새우를 먹지 마라', '총각은 새우를 먹지 마라'는 말뜻까지 설명했으면 트럼프의 표정이 어땠을까?

새우 외교를 물론 비판할 수도 있다. 하지만 얻은 것이 많았다. 이번 한중일 미식외교(美食外交)를 중국 드라마 제목을 살짝 고쳐 '삼국삼색 십리도화(三國三色 十里桃花)'로 평하고 싶다. 그 현생의 언저리 어디쯤을 똑똑하게 거닐었다. 4강 틈바구니에서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지거나 고래 그물에 새우 걸리는 일은 모두 없어야 한다. 그리고 우리는 '새우'가 아니다. 음식좌파, 음식좌파 이데올로기나 위장(胃腸)의 애국주의, 그보다 이제까지 부족한 것은 외교적 당당함이었다. 외교가 국제정치 전면에 나선 독도새우만 같다면 '코리아 패싱' 따위 불경한 용어는 꽁무니를 빼버릴 것 같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애터미 '사랑의 김장 나눔'… "3300kg에 정성 듬뿍 담았어요"
  2. 김해시, 2026년 노인일자리 7275명 확대 모집
  3. "철도 폐선은 곧 지역소멸, 대전서도 관심을" 일본 와카사철도 임원 찾아
  4. 전기차단·절연 없이 서두른 작업에 국정자원 화재…원장 등 10명 입건
  5. 30일 불꽃쇼 엑스포로 차량 전면통제
  1. <인사>대전시
  2. 충남대-대전시 등 10개 기관, ‘반려동물 산업 인재 양성 업무협약’
  3. 대전시 제2기 지방시대위원회 출범
  4. 김태흠 충남지사, 천안아산 돔구장 건립 필요성·추진 의지 거듭 강조
  5. 대전시, 반려동물산업 육성에 힘쏟는다

헤드라인 뉴스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민간주도 우주시대 첫발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민간주도 우주시대 첫발

27일 오전 우주로 날아간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4차 발사가 성공하며 뉴스페이스 시대 개막을 알렸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이날 오전 2시 40분 누리호 4차 발사 결과 브리핑을 통해 발사 결과를 직접 발표했다. 배 부총리는 "누리호 4차가 성공했다"며 "오전 1시 13분 고흥 나로우주센터서 발사된 누리호가 고도 601.3㎞ 궤도 속도 7.56㎞/s, 경사각 97.75도로 태양 동기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했으며 탑재된 차세대중형위성 3호와 12기의 큐브 위성이 모두 성공적으로 분리돼 궤도에 안착했고 남극 세종기..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대전시는 26일 시청 응접실에서 대전관광공사, ㈜인섹트바이오텍과 함께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를 위한 공동브랜딩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캐릭터 중심의 제품을 넘어 지역 재료·스토리·생산기반을 더 촘촘히 담아야 한다는 취지로 대전의 과학·바이오 정체성을 상품에 직접 반영하려는 시도다. 이번에 출시 준비 중인 '꿈돌이 닥터몽몽'은 인섹트바이오텍의 연구 포트폴리오로 알려진 자연 유래 단백질분해효소(아라자임) 등 바이오 효소 기술을 반려동물 간식 제조공정 단계에 적용해 기호성과 식감 등 기본 품질을 고도화한 것이 특징이다. 인섹..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열띤 경쟁 속에서 펼쳐진 공주시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25일 공주환경성건강센터에서 공주시와 중도일보가 주최·주관한 '2025 공주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열렸다. 이날 행사는 안전에 취약한 어린이들이 안전 상식을 재밌는 퀴즈로 풀며 다양한 안전사고 유형을 학습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74명의 공주지역 초등학생들이 대회에 참가해 골든벨을 향한 치열한 접전을 펼쳤다. 본 대회에 앞서 심폐소생술 교육이 먼저 진행되자 학생들은 교사의 시범을 따라가며 "이렇게 하는 거 맞나요?"라고 묻거나 친구에게 압박 리듬을 맞춰보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