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충식 문화칼럼]신바람난 독도새우

  • 오피니언
  • 문화칼럼

[최충식 문화칼럼]신바람난 독도새우

  • 승인 2017-11-15 12:03
  • 수정 2017-11-15 15:42
  • 신문게재 2017-11-16 22면
  • 최충식 논설실장최충식 논설실장
사진
독도새우가 바람이 났다. 신바람이다.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속초 등의 취급점이 북새통이다. 새우 요리는 일본에서도 나왔지만 조명을 받지 못했다. 일본은 독도새우에 이어 중국 인민대회당 만찬의 생선요리인 둥싱반(東星斑) 무늬바리 찜도 못마땅해 했다. 남중국해 분쟁지역에서 잡혀 중국의 자국 영토 주장 메시지라며 우겼다.

일본이 문제적으로 본 것은 국빈 만찬장에 오른 '독도'라는 이름이다. 도화새우, 꽃새우, 가시배새우, 물렁가시붉은새우로 소개됐으면 묻히고 말았을 일이다. '독도새우 잡채를 올린 송이돌솥밥 반상'의 부재료일 뿐인데 그 난리였다. 일상의 음식도 외국 정상 앞에서 당연히 이미지의 탈을 쓴다. 정치 무대에서도 그렇다. 홍어 정치학과 과메기 정치학이 그것이다. 권력 이동으로 가자미 정치학이 나올지는 알 수 없다. 트럼프는 거제도 가자미 맛을 봤다.



메뉴 읽는 법에 '출처를 확인하라'가 있다. 외교 밥상의 소고기는 원산지를 가린다. 조지 부시 방한 때는 한우갈비구이와 미국산 안심스테이크를 준비했다. 광우병 민심을 달랜다는 의도였지만 당시에는 이중구속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이번에는 음식에 있는 어떤 위계를 봤다. 한우 갈비구이에 미국 역사보다 긴 360년 된 씨간장 소스를 곁들였다. 궁핍했던 시절의 곡물 죽까지 내놓아 6·25로 맺어진 동맹을 환기시켰다. '초딩 입맛' 트럼프를 위해 미국산 소고기 햄버거를 골프장으로 공수한 일본보다 품격 있다. 스토리텔링도 앞선다.

그 스토리를 풍부하게 해준 것이 일본이다. 기본적으로 음식 속에 개인, 지역, 국가의 문화사가 있다. 인천의 밥상에는 개항의 역사가, 대전의 밥상에는 철도 부설의 역사가 서려 있다. 역사적으로 19세기 중국이 개항을 당할 땐 피를 뚝뚝 흘리는 스테이크 요리가 동원됐다. 루스벨트는 영국 왕실을 초대해 잔디밭에서 핫도그 외교를 펼쳤다. 고려를 무릎 꿇린 몽골 군대는 일본을 치려고 안동과 제주에 주둔하면서 소주와 설렁탕을 남겼다. 미국인의 단 것 선
최충식(문화칼럼용)
▲최충식 논설실장
호와 프랑스인의 포도주 선호가 '문화재' 같다던 롤랑 바르트가 한국인의 매운 것 선호를 눈여겨봤으면 역시 같은 말을 했을 것이다.



그뿐 아니라 음식은 이제 적과 동지 구분에 또 쓰인다. 독도새우를 외교적 고려 없이 준비했다지만 지극히 외교적이 됐고 반일 만찬이 됐다. 그게 도리어 잘됐다. 사쿠라에비(벚꽃새우)를 올리든 독도새우를 올리든 남의 집 반찬 투정이나 하는 태도가 우리를 불편하게 한다. 독도새우라고 부르는 새우는 알고 보면 일본 오호츠크해나 홋카이도에서도 잡힌다. 확실히 음식은 외교였다.

외신은 "미국보다 오래된 콩소스(간장)"에 대해서도 보도했다. 만약 '가을 새우는 굽은 허리도 펴게 한다'에 곁들여 '혼자 여행할 땐 새우를 먹지 마라', '총각은 새우를 먹지 마라'는 말뜻까지 설명했으면 트럼프의 표정이 어땠을까?

새우 외교를 물론 비판할 수도 있다. 하지만 얻은 것이 많았다. 이번 한중일 미식외교(美食外交)를 중국 드라마 제목을 살짝 고쳐 '삼국삼색 십리도화(三國三色 十里桃花)'로 평하고 싶다. 그 현생의 언저리 어디쯤을 똑똑하게 거닐었다. 4강 틈바구니에서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지거나 고래 그물에 새우 걸리는 일은 모두 없어야 한다. 그리고 우리는 '새우'가 아니다. 음식좌파, 음식좌파 이데올로기나 위장(胃腸)의 애국주의, 그보다 이제까지 부족한 것은 외교적 당당함이었다. 외교가 국제정치 전면에 나선 독도새우만 같다면 '코리아 패싱' 따위 불경한 용어는 꽁무니를 빼버릴 것 같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3. 고양시, 2026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4.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5.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1.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2.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3.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4.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5.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헤드라인 뉴스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대전지역에 1000만원 이상 고액·상습 체납자 247명의 명단이 공개됐다. 대전시는 19일 지방세 및 지방행정제제·부과금 체납액이 각 1000만 원 이상인 고액·상습체납자의 명단을 시 누리집 및 위택스를 통해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고액·상습체납자는 올해 1월 1일 기준 체납 발생일부터 1년이 지난 1000만 원 이상 체납자이며 지난 10월까지 자진 납부 및 소명 기회를 부여한 후 지방세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공개된 정보는 체납자의 성명·상호(법인명), 나이, 직업, 주소, 체납세목, 납부기한 및 체납요지 등이며..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