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충식 문화칼럼]신바람난 독도새우

  • 오피니언
  • 문화칼럼

[최충식 문화칼럼]신바람난 독도새우

  • 승인 2017-11-15 12:03
  • 수정 2017-11-15 15:42
  • 신문게재 2017-11-16 22면
  • 최충식 논설실장최충식 논설실장
사진
독도새우가 바람이 났다. 신바람이다.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속초 등의 취급점이 북새통이다. 새우 요리는 일본에서도 나왔지만 조명을 받지 못했다. 일본은 독도새우에 이어 중국 인민대회당 만찬의 생선요리인 둥싱반(東星斑) 무늬바리 찜도 못마땅해 했다. 남중국해 분쟁지역에서 잡혀 중국의 자국 영토 주장 메시지라며 우겼다.

일본이 문제적으로 본 것은 국빈 만찬장에 오른 '독도'라는 이름이다. 도화새우, 꽃새우, 가시배새우, 물렁가시붉은새우로 소개됐으면 묻히고 말았을 일이다. '독도새우 잡채를 올린 송이돌솥밥 반상'의 부재료일 뿐인데 그 난리였다. 일상의 음식도 외국 정상 앞에서 당연히 이미지의 탈을 쓴다. 정치 무대에서도 그렇다. 홍어 정치학과 과메기 정치학이 그것이다. 권력 이동으로 가자미 정치학이 나올지는 알 수 없다. 트럼프는 거제도 가자미 맛을 봤다.



메뉴 읽는 법에 '출처를 확인하라'가 있다. 외교 밥상의 소고기는 원산지를 가린다. 조지 부시 방한 때는 한우갈비구이와 미국산 안심스테이크를 준비했다. 광우병 민심을 달랜다는 의도였지만 당시에는 이중구속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이번에는 음식에 있는 어떤 위계를 봤다. 한우 갈비구이에 미국 역사보다 긴 360년 된 씨간장 소스를 곁들였다. 궁핍했던 시절의 곡물 죽까지 내놓아 6·25로 맺어진 동맹을 환기시켰다. '초딩 입맛' 트럼프를 위해 미국산 소고기 햄버거를 골프장으로 공수한 일본보다 품격 있다. 스토리텔링도 앞선다.

그 스토리를 풍부하게 해준 것이 일본이다. 기본적으로 음식 속에 개인, 지역, 국가의 문화사가 있다. 인천의 밥상에는 개항의 역사가, 대전의 밥상에는 철도 부설의 역사가 서려 있다. 역사적으로 19세기 중국이 개항을 당할 땐 피를 뚝뚝 흘리는 스테이크 요리가 동원됐다. 루스벨트는 영국 왕실을 초대해 잔디밭에서 핫도그 외교를 펼쳤다. 고려를 무릎 꿇린 몽골 군대는 일본을 치려고 안동과 제주에 주둔하면서 소주와 설렁탕을 남겼다. 미국인의 단 것 선
최충식(문화칼럼용)
▲최충식 논설실장
호와 프랑스인의 포도주 선호가 '문화재' 같다던 롤랑 바르트가 한국인의 매운 것 선호를 눈여겨봤으면 역시 같은 말을 했을 것이다.



그뿐 아니라 음식은 이제 적과 동지 구분에 또 쓰인다. 독도새우를 외교적 고려 없이 준비했다지만 지극히 외교적이 됐고 반일 만찬이 됐다. 그게 도리어 잘됐다. 사쿠라에비(벚꽃새우)를 올리든 독도새우를 올리든 남의 집 반찬 투정이나 하는 태도가 우리를 불편하게 한다. 독도새우라고 부르는 새우는 알고 보면 일본 오호츠크해나 홋카이도에서도 잡힌다. 확실히 음식은 외교였다.

외신은 "미국보다 오래된 콩소스(간장)"에 대해서도 보도했다. 만약 '가을 새우는 굽은 허리도 펴게 한다'에 곁들여 '혼자 여행할 땐 새우를 먹지 마라', '총각은 새우를 먹지 마라'는 말뜻까지 설명했으면 트럼프의 표정이 어땠을까?

새우 외교를 물론 비판할 수도 있다. 하지만 얻은 것이 많았다. 이번 한중일 미식외교(美食外交)를 중국 드라마 제목을 살짝 고쳐 '삼국삼색 십리도화(三國三色 十里桃花)'로 평하고 싶다. 그 현생의 언저리 어디쯤을 똑똑하게 거닐었다. 4강 틈바구니에서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지거나 고래 그물에 새우 걸리는 일은 모두 없어야 한다. 그리고 우리는 '새우'가 아니다. 음식좌파, 음식좌파 이데올로기나 위장(胃腸)의 애국주의, 그보다 이제까지 부족한 것은 외교적 당당함이었다. 외교가 국제정치 전면에 나선 독도새우만 같다면 '코리아 패싱' 따위 불경한 용어는 꽁무니를 빼버릴 것 같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부산 동래구, 제3회 온천천 빛 축제 개최
  2. 김포시농기계임대사업소, 노후농기계 불용품 매각
  3. 천안 벽산 블루밍 파크포레, 사업계획 승인 및 도급계약 모두 마쳐
  4. 상명대 간호학과, 나이팅게일 선서식 개최
  5. 천안시보건소, '생명존중 안심마을' 4곳 지정
  1. 한기대 STEP, '열정 가득' 온라인 서포터즈 3기 출범
  2. 나사렛대, 기아자동차 정주훈 상무 초청 '경영인의 날' 성료
  3. 충남창경센터, 'The Future with AX Forum' 개최
  4. 한기대, 충남경제정책 경연대회 우수상·장려상
  5. 천안법원, 만취상태로 차 들이받아 상해입힌 50대 여성 벌금형

헤드라인 뉴스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유성복합터미널을 운영할 주체가 최근 결정되면서 대전 시민들의 고속·시외버스 운송체계가 동구 용전동과 유성구 구암동의 두 개의 복합터미널의 양강 체계로 전환될 전망이다. 대전교통공사는 11월 19일 주식회사 루시드 및 금호고속주식회사와 유성복합터미널의 공동운영사로 결정하고 5년에 추가 5년 연장 가능한 계약을 체결했다. 유성복합터미널은 2010년부터 민간사업자 공모방식으로 4차례 추진했으나 모두 실패하고, 2020년 대전시의 공영개발로 전환됐다. 시가 사업비 449억 원을 투입해 버스 15대가 동시에 승객을 승하차하는 플랫폼을 갖추고..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4차 발사가 나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국민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주말부터 전국에서 누리호 관련 행사가 진행되며 4차 발사 성공을 기원하는 분위기가 고양되고 있다. 23일 우주항공청·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27일 오전 12시 54분에서 1시 14분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서 누리호 4차 발사가 예정돼 있다. 발사 예비 기간은 이날부터 12월 4일까지며 이 기간 중 누리호 4차 발사가 진행된다. 이번 발사는 기존과 달리 늦은 시간 진행된다. 주탑재위성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기의 궤도 진입을 고려한 시간이다...

국제유가 안정세에도 고환율에 계속되는 `고유가 행진`
국제유가 안정세에도 고환율에 계속되는 '고유가 행진'

국제유가가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국내 기름값은 고유가 행진을 이어가 주목된다. 이는 원·달러 환율이 치솟으면서 고환율로 인한 원유 수입 비용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23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11월 셋째 주 전국 주유소의 휘발유 주간 평균 판매가는 지난주보다 ℓ당 25.80원 오른 1729.72원을 기록했다. 경유는 38.54원 오른 1636.57원으로 집계됐다. 전국 주유소 휘발유와 경유의 주간 평균 가격은 4주 연속 동반 상승했다. 대전·세종·충남지역 내 기름값도 10월 넷째 주를 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