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시평] 오랜 듯 오래지 않은 약속

  • 오피니언
  • 중도시평

[중도시평] 오랜 듯 오래지 않은 약속

이승선 충남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 승인 2018-01-09 09:16
  • 수정 2018-01-10 09:10
  • 이승선 충남대 언론정보학과 교수이승선 충남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이승선 충남대 언론정보학 교수
이승선 충남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노란 손수건 이야기의 빙고처럼 여러 날 마음이 들떴다. 새해 들어 더욱 그랬다.

캔버스에 물감이 번지듯 어떤 약속 하나가 일상의 말과 글과 행동을 하나씩 들춰내 돌아보게 만들었다. 약속이 성큼성큼 걸어오고 있었다.



오래된 약속이었다. 정해진 날, 정한 시간에 대학 정문 앞에 서 있기로 한 약속이었다.

새벽부터 흰 눈이 가득 내렸다. 차량이 자기 속도를 내지 못하고 기어갔다. 시간에 쫓기던 성급한 차들끼리 부딪혀 다른 사람의 시간까지 지체시키는 일들이 시내 곳곳에서 벌어졌다.



사람이 오고가기 좋은 날씨가 아니었다. 기온도 뚝 떨어졌다.

전날 밤, 형제인 듯 지내 온 멀리 사는 동생의 어머니가 작고했다. 한달음에 가서 빈소를 지켜야 할 일이었다. 양해를 구하고 하루를 대전에 더 머물렀다. 약속한 시간이 되었다.

십년 전 이맘 때 수업을 들었던 여남은 학생들과 저녁을 먹었다. 전공학생이 반, 복수전공을 하는 다른 학과 학생이 고루 섞였다.

영화를 제작하겠다, 사진을 찍겠다, 소설을 쓰겠다, 유학을 가겠다, 광고를 하겠다, 카피라이터가 되겠다, 기자가 되겠다, 방송작가가 되겠다는 이야기들을 나눴다.

구체적으로 뭐가 되겠다는 말 대신 열심히 살겠다는 말도 나왔다. 그러다가 누군가 "우리 열심히 살다가 십 년 후 날을 잡아서 만나자"고 제안했다.

우리는 약속을 걸었다. 2018년 1월 8일 18시 교문 앞으로 정했다.

그 사이 우리는 두 번의 대통령 선거에 참여했고 국회의원 선거를 세 번 치렀다. 금융위기가 시장을 쓸었다. 영화와 사진과 광고와 방송과 신문이 경영상 이유로 새로 사람을 들이지 않으려 한 숨 막히는 시기였다.

청년들은 살아남았을까, 하고 싶었던 일을 하면서 살아 왔을까, 일터에 발을 들여놓기나 했을까, 저녁 여섯 시에 교문에 올 수 있을까, 가슴이 먹먹해졌다.

약속한 날이 가까워오자 그런 걱정보다 더 근본적인 질문이 마음을 흔들었다.

술 한 잔 곁들인 저녁 식사자리에서 만들어진 작은 약속을 기억하고 있을까? 말하고 삼키기, 쓰고 지우기, 만들고 삭제하기가 번개보다 더 빠른 디지털 세상에서 오래된 참나무 가지마냥 늘어지고 울퉁불퉁한 약속은 버려도 무방한 것으로 여겨질 수 있었다.

선생에게는 그렇지 않았다. 언제 맺었건, 어디서 손가락을 걸었건 학생들과 맺은 약속의 무게와 크기가 다를 수 없었다. 어둡고 바람 찬 교문 벽에 혼자 기대어 민망하고 초조한 시간과 씨름하더라도 약속한 시간에 거기 서 있어야 했다.

약속은 절대였다. 여섯 시, 교문 수위실 앞에 섰다. 맞은편에서 청년들이 뛰어 왔다. 더러는 기차를 타고 멀리서 오는 중이라고 했다. 더러는 이메일과 SNS에다가 십 년 약속을 회상하면서 열심히 사는 중이라고 적었다.

내면이 강하고 성정이 고왔던 어떤 청년은 팍팍한 삶의 징검다리 건너기가 버거운 듯 했다. 학창시절부터 꿈꾸던 길을 한결같이 살아온 터였다. 그리운 전화가 연결되었으나 그의 마음을 더 아프게 만들 것 같아 통화를 다음으로 미뤘다.

삼십대 초중반을 건너고 있는 청년들은 또 선생에게 스승이 돼 주었다. 선생에게 학생들의 말은 가볍지 않다.

학생에게 선생의 말이 가벼워서는 안 된다. 십 년 전 선생의 말 하나를 어제처럼 가슴에 담고 있지 아니한가. 의도하지 않았더라도 학생들에게 안겨 준 무심한 말의 상처는 그 얼마나 깊을 것인가.

옳은 것을 바르게 전하는 말만 하여도 부족할 것을, 따뜻하게 위로하고 힘껏 격려하는 말들을 퍼부어주어도 부족할 것을, 공부가 게을러 제대로 가르치지 못하고 그릇 인도하고 있지 않은지 두려워졌다.

가벼웠을 선생의 말을 약속으로 여겨서 선생이 기억하지 못하는 몹시 덥거나 아주 추운 날 어딘가에서 오래 기다리다가 실망스럽게 발길을 돌려야 했던 제자들은 혹시 없었을까? 오랜 듯 오래지 않은 단순한 진리를 되뇐다. 아이는 부모에게, 학생은 선생에게 가장 훌륭한 스승이다.

 

이승선 충남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3.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4. 고양시, 2026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5.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1.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2.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3.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4.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5. 대전 환경단체, 열병합발전 발전용량 증설 승인 전기위 규탄

헤드라인 뉴스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대전지역에 1000만원 이상 고액·상습 체납자 247명의 명단이 공개됐다. 대전시는 19일 지방세 및 지방행정제제·부과금 체납액이 각 1000만 원 이상인 고액·상습체납자의 명단을 시 누리집 및 위택스를 통해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고액·상습체납자는 올해 1월 1일 기준 체납 발생일부터 1년이 지난 1000만 원 이상 체납자이며 지난 10월까지 자진 납부 및 소명 기회를 부여한 후 지방세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공개된 정보는 체납자의 성명·상호(법인명), 나이, 직업, 주소, 체납세목, 납부기한 및 체납요지 등이며..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