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시평] 배우고 베풀기, 변호사 정교순

  • 사회/교육
  • 교육/시험

[중도시평] 배우고 베풀기, 변호사 정교순

이승선 (충남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 승인 2018-08-21 08:02
  • 고미선 기자고미선 기자
이승선교수
이승선 충남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다른 사람의 처지를 헤아리기란 쉽지 않다. 역지사지의 빛나는 규범을 대부분 알고 있으나 실행하는 이는 드물다. 하물며 상대방이 서 있는 자리에서 문제를 바라보기란 보통 사람의 깜냥을 벗어난다. 2012년 11월 12일 저녁, 정교순은 대전 교도소에 입감되었다. 옷과 휴대품 일체를 영치품으로 압수당했다. 죄수복과 컵라면이 제공되었다. 식기를 받아 독거실에 들어가자 문 밖에서 교도관이 자물쇠를 채웠다. 소리가 컸다. 독거실 밖으로 바깥바람이 드나드는 아주 작은 창문 하나, 복도 방향에 밥이 들어오는 밥 알 크기의 출입구가 있었다. 그 날 서울에 첫 눈이 왔고 대전엔 비가 내렸다. 최저 기온은 3.1도, 전 날에 비해 4도가 떨어졌다. 온기 없는 방에 내복은 별 도움이 되지 못했다. 몸이 추웠다.

검사를 할 때나 변호사를 하는 동안, 정교순은 늘 교도소 밖에서 감옥 안을 바라보는 입장이었다. 담장 안에서 절박하게 바라보는 창살 너머는 어떤 모습일까? 대전지방변호사회 회장을 할 때, 대전 교도소의 도움을 얻어 하룻밤 이틀 동안의 수감 체험을 했다. 동료 변호사도 참여했다. 입감 체험은 교도관조차 허락받기 어려운 일로 알려져 있다. 변호사회 프로그램 덕분에 교도소장과 과장 한 사람도 독거실 수감의 귀한 경험을 얻었다. 14년차 변호사 정교순이 수감자의 눈으로 물리적 감옥 밖을 바라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한 평 남짓한 독거실에 갇힌 그 날, 쉬이 잠을 이루지 못했다. 마음이 아리고 시렸다.



정교순 변호사를 법조의 길로 이끈 것은 부친이었다. 운동을 잘해서 축구에 푹 빠져 놀던, 어쩌면 연기 출신 프로축구 선수가 될 뻔했던 그는 부친 손에 이끌려 대전 선화초등학교에 전학했다. "축구 선수 대신 법조인이 되자". 오십년 전, 아들의 자질을 알아챈 부친의 선명한 길잡이였다. 한국 프로축구가 출범하던 1983년, 정교순은 제25회 사법시험에 합격했다. 천재적인 창의성보다 농업적 근면성의 가치를 깨우쳐 준 부친은 그의 사시 합격 소식을 들은 뒤 영면에 들었다.

정교순은 대구지검 검사로 첫발을 디뎠다. 공주와 의정부지청을 거쳐 서울과 대전지검, 대전고검에서 근무했다. 서울지검 시절 교수채용 비리, 늙고 병든 소에게 물을 먹여 판매한 일당, 억대 주부도박단 등 굵직한 사건들을 해결하면서 이름이 언론에 자주 회자되었다. 서울지검 공판부 경력을 가진 그는 형사 특수부 검사로 출중한 실력을 발휘했다. 2000년대 초반 대통령 측근비리 특검이 꾸려졌을 때 대전의 변호사 정교순은 특별검사보로 추천을 받았다. 지역에서 일하는 변호사가 전국적으로 주목을 받는 일은 드물었다. 서울의 전국 일간지가 한국을 이끌어가는 대표적인 변호사 중의 한 사람으로 그를 지목한 것은 놀랄 일이 아니었다.



정교순이 변호사가 된 지 스무 해가 되었다. 변호사 개업을 할 때, 그가 다짐한 원칙이 있었다. 사무장에게 떠넘기지 않는다, 필수적인 서류를 직접 작성한다, 교도소 수감자를 자주 찾아간다, 안 될 일을 가능하다고 거짓말 하지 않는다, 변호해야 할 이유가 있는 사건을 변호한다는 다섯 개다. 강산과 우주가 변한다는 시간 동안, 그는 변호사로서 스스로 설정한 원칙을 지켜왔다. 뿐더러 지역사회가 요구하는 일들을 기꺼이 맡았다. 철도박물관을 대전에 유치하자는 일, 지역의 선거구를 증설하자는 일, 대전사랑시민협의회 등과 같은 일이다. 자신의 시간을 깨알의 반쪽처럼 쪼개 써야 할, 열심히 일해도 표가 나지 않는 일들 투성이다.

일상에서 숱하게 나누며 베푸는 정교순 변호사의 힘은 끊임없이 읽고 질문하고 배우는 삶의 방식에서 솟아난다. 변호사회장에 취임할 때 그는 선생을 구해서 컴퓨터의 원리와 화법을 사사했다. 주류와 소수 문화의 원천과 맥락을 공들여 배운다. 그의 말대로 변호사는 지역사회를 이끄는 대표적인 지성인이다. '배워서 남 주자' 청년 변호사들이 나날이 증가하고 법조를 보는 시민의 인식 수준이 높아진 시대, 지역의 전국 변호사 정교순에게 배우는 귀한 가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2026년 노인일자리 7275명 확대 모집
  2. 의정부시, 시민 김지민 씨 저소득층에 성금 100만 원 전달
  3. "철도 폐선은 곧 지역소멸, 대전서도 관심을" 일본 와카사철도 임원 찾아
  4. 전기차단·절연 없이 서두른 작업에 국정자원 화재…원장 등 10명 입건
  5. 30일 불꽃쇼 엑스포로 차량 전면통제
  1. <인사>대전시
  2. 대전을지대병원, 바른성장지원사업 연말 보고회 개최
  3. 충남대-대전시 등 10개 기관, ‘반려동물 산업 인재 양성 업무협약’
  4. 김태흠 충남지사, 천안아산 돔구장 건립 필요성·추진 의지 거듭 강조
  5. 대전시 제2기 지방시대위원회 출범

헤드라인 뉴스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민간주도 우주시대 첫발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민간주도 우주시대 첫발

27일 오전 우주로 날아간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4차 발사가 성공하며 뉴스페이스 시대 개막을 알렸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이날 오전 2시 40분 누리호 4차 발사 결과 브리핑을 통해 발사 결과를 직접 발표했다. 배 부총리는 "누리호 4차가 성공했다"며 "오전 1시 13분 고흥 나로우주센터서 발사된 누리호가 고도 601.3㎞ 궤도 속도 7.56㎞/s, 경사각 97.75도로 태양 동기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했으며 탑재된 차세대중형위성 3호와 12기의 큐브 위성이 모두 성공적으로 분리돼 궤도에 안착했고 남극 세종기..

원/달러 환율에 발목…한은 금통위, 기준금리 2.50% 동결
원/달러 환율에 발목…한은 금통위, 기준금리 2.50% 동결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27일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했다. 1470원대를 넘나들며 1500원대를 위협하는 원·달러 환율의 불안정성이 금리 인하 결정의 발목을 잡았다. 한은 금통위는 이날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2.50%로 유지했다. 금통위는 올해 2월과 5월에 기준금리를 두 차례 인하하며 지난해 10월부터 완화 기조를 이어갔다. 다만, 하반기부터는 인하 결정을 멈추고 7·8·10·11월 네 차례 연속 금리를 동결했다. 이달 금리 동결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건 원·달러 환율이다...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대전시는 26일 시청 응접실에서 대전관광공사, ㈜인섹트바이오텍과 함께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를 위한 공동브랜딩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캐릭터 중심의 제품을 넘어 지역 재료·스토리·생산기반을 더 촘촘히 담아야 한다는 취지로 대전의 과학·바이오 정체성을 상품에 직접 반영하려는 시도다. 이번에 출시 준비 중인 '꿈돌이 닥터몽몽'은 인섹트바이오텍의 연구 포트폴리오로 알려진 자연 유래 단백질분해효소(아라자임) 등 바이오 효소 기술을 반려동물 간식 제조공정 단계에 적용해 기호성과 식감 등 기본 품질을 고도화한 것이 특징이다. 인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