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1일 오전 김종천 대전시의회의장실 앞에서 침묵시위 중인 대전 현장종사자들. 임효인 기자 |
대전여성폭력방지상담소·시설협의회 종사자 10여명은 31일 대전시의회를 방문해 김종천 의장과 김소연 의원을 각각 만나 최근 시의회 이름의 자료요구 취하를 요청했다. 오전 김종천 의장 면담 때는 활동가 20여명이 침묵 시위를 하기도 했다.
의회가 요구한 자료 요구 내용에는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성폭력상담소 운영비 지원현황, 상근직 관련 자료, 소속 강사 관련 자료, 자원활동가 자원봉사자 봉사활동대장, 운영내규 등이 포함됐다.
세부적으로는 가해자 교정치료 프로그램(총계정원장·현금출납부·지출결의서), 피해자 치료회복 프로그램, 피해자 의료비, 후원금, 종합소득세 내역, 출장 내역, 외부강의 내역, 강사료 입금 통장, 업무일지, 소송강사 현황·강사별 강의현황 및 강의료 지급현황, 상담소장 근무상황 내역 등 서류 개수만 해도 15개가 넘는다. 제출기한은 다음 달 7일이며 자료요구는 1월 23일 자로 통보됐다.
대전시의회 이름으로 요구한 이번 자료요청은 의회 김소연 의원이 대전시에 요청한 자료로 확인됐다. 김 의원은 관련된 제보 2건을 받은 뒤 현황 파악을 위해 이번 자료요구를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 |
대전시의회 의장 이름으로 전달된 공문. |
종사자들은 김종천 의장과의 면담에서 "시의회의 갑질이다. 시의회 의장으로서 의원들에 대한 조정 견제 역할을 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 |
31일 대전시의회에서 대전여성폭력방지상담소.시설협의회 종사자들과 김종천 대전시의회 의장이 면담 중이다. 임효인 기자 |
이날 오후 종사자들은 김소연 의원과의 면담에서 일선 현장의 어려운 점과 함께 이번 자료요구에 따른 문제를 토로했다. 김 의원은 제출 기한을 늘리고 자료 기간을 줄이는 방안으로 제시한 것으로 전해진다.
김소연 의원은 기자와의 통화에서 "성폭력·가정폭력 피해자로부터 구체적인 카톡 내용, 녹취, 회계자료 받아놓은 게 있어서 대조해 보기 위해 요구한 것"이라며 "시간도 넉넉히 줬고 되는 대로 달라고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자료요구 취소할 생각은 없다"고 못박았다. 임효인 기자 babas2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