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1일 오후 2시 대전시의회 앞에서 대전여성폭력방지상담소·시설협의회 종사자들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임효인 기자 |
여방협은 11일 오후 대전시의회 앞에서 김소연 의원의 사과와 재발방지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최근 김 의원이 하태경 의원의 개인 방송에 출연해 국가 예산이 포함된 1박 2일 '피해자 치유 회복캠프'가 피해자 가족뿐 아니라 종사자 가족에게까지 노출되는 것과 피해자 상담에 전문 상담사나 변호사가 없었다는 점 등을 지적했다. 그러면서 종사자들의 성인지감수성에 대해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여방협은 이와 관련해 자신들에 대한 흑색선전을 멈출 것을 촉구하며 "캠프 참가자들이 피해당사자를 특성으로 인해 캠프 조력 자원봉사자를 공개적으로 모집할 수 없어 상근자와 상담소가 신뢰하는 사람으로 구성해 운영하고 사전 교육을 한다"고 반박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선 해당 캠프에 참여한 적 있는 또 다른 피해자가 "처음 캠프가 너무 빡빡해 힐링캠프라는 말과 어울리지 않게 힘들어 건의한 적이 있다"며 "우리가 처한 상황이 꼭 말로 표현하고 전문가 상담을 받아야만 치유가 되는 것인가. 우리 편이고 모일 수 있고, 함께해 주는 이들이 있다는 존재 자체만으로도 힘이 됐다"고 입장문을 전해 왔다.
앞서 김소연 의원은 지난 1월 성폭력상담소 내부 비리 제보 민원을 받은 후 여방협에 6년치 15종에 대한 과거 자료를 요구했다. 당시 성폭력상담소는 해당 자료가 방대하고 업무 과부하 등을 이유로 자료요구 철회를 요청하기도 했다.
![]() |
11일 기자회견에서 종사자 두 명이 기자회견문을 낭독하고 있다. 한 종사자는 기자회견문을 읽던 중 눈물을 보였다. |
중구는 4월 상담소 민원과 관련해 중부경찰서에 수사 의뢰하고 이어 같은 달 행정처분사항을 통지했다. 당시 행정처분 내용은 모두 8건에 대한 지적으로 관리운영 4건, 후원금 관리 2건, 보조금 관리 2건이다. 그해 8월 대전지법은 성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위반(비밀엄수) 건에 대해 증거불충분으로 무혐의 처분했다. 민원인 A씨는 올해 2월에도 상담소를 명예훼손으로 고소했지만 역시 증거불충분으로 종결됐다.
여방협은 이날 대전시에게 피해자지원시설이 더 이상의 소모적 논쟁을 멈출 수 있도록 행정감독 내용을 점검하고 피해자 지원 정상화를 위한 공론장을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이날 기자회견 현장엔 김경희 대전시 성인지정책담당관이 나와 이들의 목소리를 들었으며 회견이 끝난 후 기자에게 "요구사항을 듣고 대전시의회와의 중재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