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령시다문화]우즈베키스탄 빵

  • 전국
  • 보령시

[보령시다문화]우즈베키스탄 빵

  • 승인 2019-08-18 00:04
  • 김재수 기자김재수 기자
우즈베
우즈베키스탄 사람들은 빵을 신성시 하고 있다


빵은 우즈벡 사람들에게 신성합니다.

전통에 따르면 누군가가 오랫동안 집을 떠날 때 작은 빵을 한입 먹어야 한다. 가족들은 그 빵을 여행에서 무사히 돌아와 먹을 수 있도록 잘 보관한다.

우즈벡 빵은 특별한 오븐인 tandoor에서 화덕에 구워 만들며 장미 빛을 띠며 식감은 바삭바삭하다.



우즈벸 빵은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일반 빵(obi-non)과 명절 빵(patyr). 그리고 많은 종류의 빵이 있다. 사마르칸트, 부하라 등 지역마다 빵의 모양과 맛이 다르다. 또한 우즈베키스탄의 각 지역에서만 만든 고유한 빵을 자랑 할 수 있다. 각 지역마다 빵에 다른 효모를 사용하고 요리 기술은 독창적이며 우즈베키스탄의 다른 지역에서 구운 빵은 모양과 맛이 각각 다릅니다.

예를 들어, Ferghana는 맛있는 퍼프 페이스트리로 유명 합니다. 요리하는 동안 빵의 각 층에는 오일 또는 사워 크림이 흘러나옵니다. 그들은 또한 찌끼, 옥수수 가루의 옥수수, 잔디 주입 케이크-patyr 및 기타 여러 종류의 빵을 만듭니다. 일부 유형의 빵은 양파 또는 고기를 넣어 만듭니다.

전통적으로 빵은 칼로 자르지 않고 손으로 자릅니다. 또한, 우즈벡 테이블 에티켓에서는 빵을 뒤집어 놓는 것을 엄격히 금지합니다. 이는 빵에 대한 무례한 태도로 간주됩니다. 우즈베키스탄에서는 빵을 차고 빵 부스러기를 던지는 아이들을 결코 보지 못할 것입니다.

일반 빵(obi-non)은 둘레가 둥그렇게 두껍고 가운데는 얇고 평평합니다.

가정집에서 굽기도 하지만 공장에서 생산된 빵을 시장에서 팔기도 합니다.

우즈벡 빵은 고소하고 담백합니다. 질기지만 쫄깃쫄깃합니다. 소금이 약간 들어가 한국인들에겐 약간 짜다고 느끼실 수 있겠네요.

한국 사람들은 빵을 간식으로 먹지만 우즈벡 사람들은 한국의 쌀처럼 주식으로 먹습니다. 그리고 한국사람들이 밥을 남기면 어른들한테 혼나는 것처럼 우즈벡사람들은 빵을 신성하게 생각합니다.

기회가 된다면 우즈벡의 다양하고 맛있는 빵을 먹어보고 한국의 빵과 다른 점을 비교해보는 좋은 경험이 될 것입니다. 명예기자 피루자 (우즈베키스탄)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구도동 식품공장서 화재…통영대전고속도로 검은연기
  2. 대전 신탄진역 유흥가 '아가씨 간판' 배후 있나? 업소마다 '천편일률'
  3. 유성복합터미널 공동운영사 막판 협상 단계…서남부터미널·금호고속 컨소시엄
  4. 11월 충청권 3000여 세대 아파트 분양 예정
  5. 대전권 대학 대다수 기숙사비 납부 '현금 일시불'만 가능…학부모 부담 커
  1. 728조 예산전쟁 돌입…충청 與野 대표 역할론 촉각
  2.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어디서든 걸을 수 있는 환경 만들겠다"
  3.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자연과 함께 일상 속 피로 내려놓길"
  4. [오늘과내일] 대전시의회, 거수기 비판을 넘어설 마지막 기회
  5.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가을 도심 산행의 매력 흠뻑

헤드라인 뉴스


등록금은 카드 납부 되는데… 기숙사비 `현금 일시불` 여전

등록금은 카드 납부 되는데… 기숙사비 '현금 일시불' 여전

대학 기숙사비 결제 방식으로 대다수 대학이 카드 결제가 불가능해 학생과 학부모들의 부담이 크다는 지적이 이어졌으나, 여전히 대전권 대학들은 현금 일시불 납부만 고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교육부가 지난 10월 31일 공시한 '2025년 대학별 기숙사비 납부제도 현황'에 따르면, 올해 전국 대학 기숙사 249곳 (직영·민자 등) 가운데 카드 납부가 가능한 기숙사는 55곳(22.1%)에 불과했다. 현금 분할 납부가 가능한 기숙사는 79곳(31.7%)으로 절반도 안 됐다. 계좌이체 등 현금으로 일시 납부를 해야 하는 기숙사는 149곳..

대전 첫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예지중고` 2026년 2월 운영 종료
대전 첫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예지중고' 2026년 2월 운영 종료

대전 첫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로 지정돼 중·고등학교 과정 6000여명을 배출한 대전예지중고가 2026년 2월 끝내 문을 닫는다. 중학교 졸업생들은 대전시립중고에서 남은 배움을 이어나갈 수 있게 된다. 3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2024년 7월 예지중고를 운영하는 재단법인 예지재단의 파산 선고에 따라 2026년 2월 마지막 졸업생 250여명을 끝으로 시설 운영을 종료한다. 예지재단 파산은 2024년 7월 결정됐지만 재학생 피해 최소화를 위해 추가 신입생을 받지 않고 재학생의 졸업을 기다린 시점이다. 1997년 학령인정 시설로 설립인가를..

[꿀잼대전 힐링캠프 2차] 캠핑의 열정과 핼러윈의 즐거움이 만나다
[꿀잼대전 힐링캠프 2차] 캠핑의 열정과 핼러윈의 즐거움이 만나다

늦가을 찬바람이 부는 11월의 첫날 쌀쌀한 날씨 속에도 캠핑을 향한 열정은 막을 수 없었다. 중부권 대표 캠핑 축제 '2025 꿀잼대전 힐링캠프'가 캠핑 가족들의 호응을 받으며 진행됐다. 올해 두 번째로 열린 꿀잼대전 힐링캠프는 대전시와 중도일보가 공동 주최·주관한 이벤트로 1~2일 양일간 대전 동구 상소오토캠핑장에서 열렸다. 이번 캠핑 역시 전국의 수많은 캠핑 가족들이 참여하면서 참가신청 1시간 만에 마감되는 등 경쟁이 치열했다. 행운을 잡은 40팀 250여 명의 가족들은 대전지역 관광명소와 전통시장을 돌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 ‘여섯 개의 점으로 세상을 비추다’…내일은 점자의 날 ‘여섯 개의 점으로 세상을 비추다’…내일은 점자의 날

  • 인플루엔자 환자 급증…‘예방접종 서두르세요’ 인플루엔자 환자 급증…‘예방접종 서두르세요’

  •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