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밭수영장 |
그러나 한밭수영장뿐 아니라 용운국제수영장과 국민생활권 수영장에까지 오래 전부터 만연해온 악습이라는 점에서 성공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대전시설관리공단 고위 관계자는 16일 중도일보와 만난 자리에서, “한밭수영장을 비롯해 용운국제수영장과 국민생활권 수영장 회원 등록제도를 내년 1월 1일부터 ‘인터넷통합제’로 변경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또 “인터넷통합제를 통해 기존 회원과 신규 회원 모두 같은 시기에 신청하고, 기존 회원 수와 신규 회원의 비율도 5대 5로 맞추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현재 수영장 회원 등록 방법은 현장등록과 인터넷등록 등 두 가지다. 인터넷등록과 달리, 현장등록 과정에서는 기존 회원과 신규 회원의 신청 등록 기간이 다르다. 기존 회원이 매월 20일부터 24일까지 5일간 먼저 등록한 후 신규 회원은 등록할 수 있다.
한번 기존 회원이 되면 매월 경쟁 없이 재등록하는 시스템으로, 신규 회원들의 등록 기회를 박탈함과 동시에 공공시설물이 특정 회원들의 전유물로 전락할 수 있는 ‘이상한’ 제도다.
공단 측은 또 텃세 논란이 불거진 추석 연휴 직전 대책회의를 열어 그동안 수영장 내에서 묵인해왔던 관행들도 타파하기로 했다. 타파 대상은 기존의 일부 회원들처럼 수영장을 친목 도모의 장소로 만들거나, 신규 회원을 향한 지나친 관여, 수영장 직원에 대한 폭언 등이다.
한밭수영장 관계자는 "앞으로 수영장에서 오래 머무는 회원들은 제재할 예정이고, 신규 회원에게 지나친 관심을 보이는 회원에게도 구두경고를 하고, 이후에도 계속된다면 바로 특별 조치를 하겠다"고 말했다.
이는 특혜를 받은 기존 회원 일부가 신규 회원들을 괴롭히거나, 모욕적인 발언을 서슴없이 하고 폭력까지 행사해왔기 때문이다. 이런 사실을 인지하고 '주의해달라'고 요청한 수영장 직원들에게까지 폭언을 일삼는 등 횡포가 도를 넘어섰다는 판단에서다.
대전시설관리공단 관계자는 “한밭수영장은 물론 용운국제수영장, 국민생활관 수영장에도 지난 수년간 비슷한 사례가 있었다”며 “그동안 구두 경고에 그쳤지만, 이번 사태를 계기로 다수의 시민을 위한 수영장 관리에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가람 기자 shin969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