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7일 오전 옛 충남도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대전세종 정책엑스포 특별기획-대전의 희망과 미래를 디자인하다' 세션에서 발표자들이 앉아 있다. 왼쪽부터 박재묵 대전세종연구원장, 김선배 산업연구원 국가균형발전연구센터장, 김홍중 서울대 교수, 양성광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이사장, 이광형 KAIST 교학부총장. |
대전세종연구원은 17일 오전 대전·세종 정책엑스포 첫 세션으로 '특별기획: 대전의 희망과 미래를 디자인하다'를 마련했다.
박재묵 대전세종연구원장은 이번 세션에 대해 "정책엑스포의 총괄 세션 차원에서 의미가 남다른 시간"이라며 "최근 대전이란 도시가 쇠퇴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확산 되고 있어 연구원이 앞장서서 대전의 미래에 대해 고민하고 논의하며 시작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본격 논의에 앞서 강영주 대전세종연구원 미래전략실장은 대전의 현황과 시민 의식에 대해 브리핑했다. 세종시 출범 이후 대전 인구가 계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고 지역 문화예술 시설과 경제성장률이 분야 경쟁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진 본격 패널 논의에서 양성광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이사장은 대덕특구 연구소와 대학의 연구 성과가 실제 창업으로 이어져 지역 경제 성장을 이끌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 이사장은 "대전시 성장엔진이 작동하려면 원천인 특구에서 혁신성장이 일어나야 하는데 특구가 명실상부한 혁신 클러스터로 변해야 한다"며 "대학과 연구소에서 개발된 기술이 기업으로 흘러 들어가 가치를 창출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기술이전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선 시장에서 필요한 기술을 찾아서 그 기술을 가진 원천 기술 개발자·연구자와 연결해 주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대덕특구의 가장 큰 문제점은 연구소는 많은데 연구성과를 활용하는 산업인프라가 상대적으로 취약하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양 이사장은 또 "연구자에게 직접 창업을 하라고 하는 것은 무리인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연구자의 기술을 도와 창업에 이르게 하는 시스템이 잘 마련돼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연구팀이나 창업팀을 구성할 때도 경영전문가나 혁신가가 모여 함께하고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연구소와 지역 내에서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선배 산업연구원 국가균형발전연구센터장은 "대전 지역산업 육성전략으로 '새로운 아이디어가 산업으로 연결되며 특구와 과학벨트의 기술이 4차산업혁명으로 이어지는 경쟁력 있는 도시'로 설정한 것은 매우 적절한 것으로 생각된다"며 지역 경제의 정밀진단체계 구축 등을 설명했다.
강점인 과학뿐만 아니라 약점으로 지목되는 문화예술과 놀거리 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광형 KAIST 바이오뇌공학과 교수(교학부총장)는 SWOT 분석 결과를 토대로 대전에 '놀이터'가 없다는 약점(Weakness)을 지적하며 관광상품 활성 전략 수립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 교수는 강점(Strength)으로는 교통과 과학, 기회(Opportunity)로는 창업, 우수인력정착, 온천, 위협(Threat)으로는 인구와 산업을 꼽았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