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과내일] 다름과 정치, 그리고 법

  • 오피니언
  • 오늘과내일

[오늘과내일] 다름과 정치, 그리고 법

손종학 충남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승인 2019-10-20 10:20
  • 신문게재 2019-10-21 23면
  • 조훈희 기자조훈희 기자
손종학교수
손종학 충남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우리나라는 민주공화국이다. 시민이 나라의 주인이라는 '민주'의 의미를 모르는 자가 없을 정도로 이 말이 갖는 중요성은 우리들 뇌리에 깊이 박혀 있지만, '공화(共和)'라는 말은 덜 회자되고 있다. 그러나 이 공화라는 말도 민주 못지않게 중요하다. 군주제에 대비되는 용어로 처음 사용됐지만, 남과 여, 어른과 아이, 가진 자와 그렇지 못한 자, 배운 자와 못 배운 자, 서쪽 사람과 동쪽 사람 가리지 않고 이들 모두의 생각과 뜻이 하나로 모아져 나라가 운영된다는 국가통치원리가 공화제의 현대적 의미일 것이다.

곰곰이 생각해보자. 어찌 너와 내가 하나이고, 여자와 남자의 생각이 동일하며, 가진 자와 그렇지 못한 자의 입장이 같을 수 있고, 청년과 기성세대의 이해관계가 일치할 수 있단 말인가? 오히려 그렇지 못한 것이 부족한 인간들이 살아가는 이 세상이고, 이 땅, 이 나라다. 어쩌면 이들의 목소리를 하나로 모으는 것은 애초부터 불가능할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개인을 하나로 묶는 것이 너무도 중요하기에, 아니 그래야만 더불어 살아갈 수 있기에, 우리는 최고 규범인 헌법에서 나라의 정체성을 '공화국'이라고 천명하였을 것이다.

그렇기에 시민들로부터 통치권을 위임받아 행사하는 정치가들, 고위 관료들이 해야 할 가장 막중한 책무는 시민 모두를 '대한민국'이라는 한 지붕 아래로 불러들이는 일일 것이다. 그 누구도 소외받지 않으며, 다름이 배척되는 일 없이 어떠한 상황 하에서도 존중받고 있다는 생각이 떠나지 않게 하는 것, 그것이 위정자의 첫째 의무이다. 불가능할 것 같고, 참으로 어려운 일이기에 위정자 노릇하기가 힘든 것이다.

지난 두 달여 우리는 도저히 함께할 수 없을 것 같은 갈등의 소용돌이를 겪었다. 생각과 생각이, 진영과 진영의 간극이 어찌 이렇게도 깊고도 클 수 있단 말인가? 새삼 놀라지 않을 수 없다. 이렇게 되기까지는 정치가들의 책임의식 결여를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어떻게 해서라도 입장이 다른 시민들을 하나로 모을 생각을 하는 것이 아니라 정파적 사고만으로 매사를 진단하고 처방하려고 한 것은 아니었는지, 갈등을 조정하기는커녕 오히려 활활 타오르는 성난 불에 생기름만 부은 것은 아니었는지, 깊이 그리고 오래 되돌아볼 일이다.



이제부터라도 늦지 않았다. 위정자들은 공화의 정신으로 서로 다름을 품어주면서 국민 모두를 하나로 모으는 일에 열심을 내어야 한다. 나와 다름을 '틀림'으로 간주하면서 정죄할 일이 결코 아니다. 틀림이 아닌 다름이기에 우리는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것이다. 옳고 그름은 정치의 몫이 아니다. 그것은 법의 몫일뿐이다. 정치 영역에서는 옳고 그름은 있을 수 없고, 오직 다름을 하나로 모아가는 일만이 있을 수 있다.

오늘, 다름을 하나로 모아가는 정치가의 드높은 경륜과 옳고 그름을 판단해주는 법률가의 추상같은 지혜만이 갈라진 우리 사회의 상흔을 꿰매줄 실과 바늘이 될 수 있다. 이 다름의 시대에 정치가의 실과 법률가의 바늘이 하나로 만나야만 한다. 지금은 실은 실답게, 바늘은 바늘답게, 정치와 법이 그렇게 행동할 때다.

/손종학 충남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국민의힘 대전시당 "이재명 정부, 충청권 철저히 배제"… 이 대통령 방문 전 기자회견
  2. 충남도의회 오인철 의원, 후계농업인 미래 위한 헌신 공로 인정받아
  3. 법무부 대전보호관찰소, 사회봉사 협력기관 간담회 개최
  4. 대전시한의사회, 한국조폐공사와 우즈베키스탄 의료봉사 협약
  5. 2025 대한민국 중기박람회 부산서 개막 '전국 중소기업 총출동'
  1. AI헬스케어부터 전통음식까지… 중소기업들 제품 홍보 '구슬땀'
  2.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3. 국제무예올림피아드 6주년 및 태권도무덕관 80주년 챌린지
  4.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변화의 산실, 상상
  5. 건양대병원, 전 교직원 대상 헌혈 참여 캠페인 전개

헤드라인 뉴스


대전 온 李대통령 "대전, 前정부 R&D 예산 삭감에 폭격"

대전 온 李대통령 "대전, 前정부 R&D 예산 삭감에 폭격"

이재명 대통령은 4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국민소통 행보, 충청의 마음을 듣다'라는 제목으로 진행된 타운홀미팅에서 "우리가 기억하는 박정희 시대에는 성장을 위해 결국 한 쪽으로 (자원을) 집중할 수밖에 없었다"며 "고도성장기에는 성장을 위한 자원 배분이 한 쪽으로 몰릴 수밖에 없었고, (그 결과) 거의 특권 계급화된 사람들이 생겼다. 이제 이를 근본적으로 바꾸고 균형발전 전략을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식민지에서 해방된 나라 중 경제성장과 민주화를 이룬 나라는 대한민국밖에 없다"며 "재벌이라고 하는 대기업 군단으로 부작..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1. 대전 서구 가장동 돼지고기 구이·찜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1. 대전 서구 가장동 돼지고기 구이·찜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

트로트 신동 김태웅, 대전의 자랑으로 떠오르다
트로트 신동 김태웅, 대전의 자랑으로 떠오르다

요즘 대전에서, 아니 대한민국에서 가장 잘 나가는 초등생이 있다. 청아하고 구성진 트로트 메들리로 대중의 귀를 사로잡고 있는 대전의 트로트 신동 김태웅(10·대전 석교초 4) 군이다. 김 군이 대중에게 얼굴을 알린 건 2년 전 'KBS 전국노래자랑 대전 동구 편'에 출연하면서부터다. 당시 김 군은 '님이어'라는 노래로 인기상을 받으며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공중파 TV를 통해 강렬한 인상을 남긴 김 군은 이후 케이블 예능 프로 '신동 가요제'에 출연해 화제를 모았다. 김 군은 이 무대에서 '엄마꽃'이라는 노래를 애절하게 불러 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

  •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