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른미래당 비당권파를 이끌고 있는 유승민 대표(가운데)가 16일 오전 국회에서 변화와 혁신을 위한 비상행동 '변혁' 의원 비상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
정치권에 따르면 최근 유 의원은 언론 인터뷰를 통해 황 대표와의 만남 의지를 밝혔다. 그러자 황 대표도 "자유민주세력이 하나가 돼야한다"고 화답하는 등 보수통합 논의가 급물살을 타는 양상을 보였다. 총선 승리를 위해선 보수 진영 간 통합이 전제돼야 한다는 공감대에서 도출된 결과라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보수 진영 내부적으론 내심 반기는 분위기다. 바른미래당 한 인사는 "내년 총선에서 보수가 문재인 정부와 더불어민주당과 붙으려면 일대일 구도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선 보수 진영의 통합이 절실하다는 건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라며 "양당 간 현실적인 논의가 진척되는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고 했다.
한국당에서도 보수통합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한국당 윤상현 의원은 최근 "2016년부터 우리 당을 떠났던 중도층이 돌아와야 총선에서 승리할 수 있다"며 "유승민 의원과 바른미래당의 동지들은 돌아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 의원은 친박계 대표적 인물로, 친박계에서 보수통합을 주장한 건 윤 의원이 처음이다.
하지만 현실화까진 난관이 많다. 당장 유 의원이 통합의 전제 조건으로 제시한 '한국당의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인정'을 놓고 친박계 반발이 거세다. 친박계이자, 경북이 지역구인 김재원 의원은 한 보수 성향 누리꾼이 유 의원을 향해 '구역질 나는 행보'라고 쓴 페이스북 글 링크를 동료 의원들에게 전달했다.
다른 의원들 사이에서도 탄핵을 건드리면 우리공화당을 포함한 보수 진영의 단일대오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유 의원은 "한국당이 탄핵 결과를 받아들이고, 입장을 분명히 해야 보수가 산다"고 재차 강조하는 등 한국당의 탄핵 인정과 쇄신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는 상황이다.
바른미래당 비당권파의 내부 상황도 복잡하다. 현재 비당권파는 변화와 혁신을 위한 비상행동(변혁)을 구성, 독자 행보를 걷고 있다. 변혁은 바른정당 출신 8명과 국민의당 출신 7명으로 구성돼있다. 바른정당 출신 인사들이 현실적인 보수통합 움직임에 나선다면 국민의당 출신들의 반발이 불가피할 수밖에 없다.
또 대중들로부터 선거를 앞두고 정략적 이합집산이란 비판을 받을 가능성도 크다.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골자로 한 선거법 개정안이 변수로 작용할 수도 있다. 한국당은 비례대표 폐지를 강조하며 개정안을 반대하는 반면 바른미래당은 상황을 주시하는 중이다. 이 때문에 보수통합의 연내 통합은 어렵다는 관측이 나온다.
서울=송익준 기자 igjunbab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