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즘] 지역인재유출과 '뚜껑'의 역할

  • 오피니언
  • 프리즘

[프리즘] 지역인재유출과 '뚜껑'의 역할

강병수 충남대 평화안보대학원장

  • 승인 2019-10-22 08:17
  • 신가람 기자신가람 기자
충남대 강병수 평화안보대학원장
강병수 충남대 평화안보대학원장
지역인재는 고등학교를 졸업하면서 지역에 좋은 대학이 없을 때 대거 유출된다. 대학진학으로 인해 서울로의 지역인재 유출은 심각한 수준이며 갈수록 더욱 악화하고 있다. 문제는 우수한 지역인재들이 차례차례로 유출된다는 것이다.

언제부터인가 대학이 서울을 중심으로 거리에 따라 수직적으로 서열이 정해지고, 출생률 저하와 인구 절벽으로 인해 비수도권 대학들의 입학생 수가 곧 급감할 것으로 예상한다. 최악의 경우 거의 과반수 비수도권 대학이 폐교될 수도 있다.

지역인재의 유출은 '뚜껑의 원리'와 같다. 병이나 항아리나 뚜껑이 열리면 그때부터는 안에 있던 내용물이 위에서부터 차례대로 흘러나오거나 증발하게 된다. 지역인재 유출이 이 현상과 정확하게 닮았으며 지역에 있는 각 거점국립대학들이 그 동안 '뚜껑'의 역할을 해왔다.

거점국립대학은 지역별로 1개씩, 전국에 총 9개 대학이 있다. 대전·세종·충남에는 충남대가 있다. 1980년대 까지만 해도 거점국립대학들이 제 역할을 충실히 해 대학을 진학하면서 잃는 지역인재의 유출은 심하지 않았다.



그러나 교육부가 거점국립대에 지원해 주던 지원금을 사립대까지 확대해 급기야는 사립대에 대한 지원액이 지역 중심 국립대를 포함한 모든 국립대에 대한 지원액을 훨씬 능가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서울 소재 사립대학과 유일하게 경쟁력을 가졌던 거점국립대학도 그 자리를 내주기 시작했다.

이전에 거점국립대학에 진학하던 학생들이 서울 소재 사립대학으로 진학하고 지역의 우수 사립대학을 진학하던 학생들이 거점국립대학을 진학하는 계단식 이동으로 인해 지역인재 유출이 심화하고 지역산업을 위한 기술개발의 공급기관으로서 위상이 흔들리면서 선진국들이 지역발전의 핵심적 동력으로 활용하는 산학협력도 지지부진해지고 말았다.

지역인재 유출의 최후 보루이자 뚜껑 역할을 하던 거점국립대학을 서울의 유수한 사립대학 수준으로 끌어올리지 못하면 교육의 기회균등이나 지역발전의 플렛폼 역할, 더 나아가 지역균형발전이라는 목표도 사상의 누각이 된다.

거점국립대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거점국립대에 대한 위상을 높이지 않으면 지역의 모든 국·사립대가 그 피해를 감수해야 한다. 카이스트나 포항공대처럼 지방에 있으면서도 우수한 학생의 이미지를 갖도록 교사 및 교육·실습 등을 정비하고 모든 학생에게 등록금 면제 등을 추진한다면 거점국립대의 위상을 회복하면서 지역인재 유출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현 상황에서 우리나라 거점국립대학의 모든 학생을 전면 장학생으로 하려면 연간 약 3,5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 국가 예산에 비하면 그렇게 큰 액수는 아니나 정부는 그렇게 투자할 의지가 없어 보인다.

4차 산업혁명시대를 대비하고 지역균형발전을 앞당기는 가장 용이하고 확실한 정책의 하나가 거점국립대학교의 능력과 위상을 제고하는 것이므로 국가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관심과 지원이 절실한 시점이다./강병수 충남대 평화안보대학원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가원학교 건물 흔들림 현상에 학생·교사 대피…경찰 조사 중
  2.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3. 2026년 지방선거 향하는 세종시 정치권...'시장 선거' 구도는
  4. 대전 초등학생 11년 만에 순유입 전환… 유성·중구 전국 상위권
  5.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1. 문화재 내부 공사인데도 '자체심의'…문화재 보존 사각지대 심각
  2. 광복 80주년 대전 시내버스 통해 '호국 영웅' 알린다
  3. 주말까지 비 예보…장마 시작에 침수 피해 지역 '불안'
  4. 대전선화초 증축사업 시작… 220억 들여 2026년 8월 준공
  5. [사설] 서해 어민 위협할 중국 불법 구조물

헤드라인 뉴스


항우연·천문연, 경남 사천 우주청 인근 이전 법안 발의 `파장`

항우연·천문연, 경남 사천 우주청 인근 이전 법안 발의 '파장'

‘과학수도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에 있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천문연구원을 우주항공청이 있는 경남 사천으로 이전하는 내용의 법안이 발의돼 파장이 일고 있다. 특히 충청권 국회의원들까지 공동 발의자로 참여하면서 공동 대응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국민의힘 서천호 국회의원(경남 사천·남해·하동)은 17일 우주항공청 소재지인 경남 사천시를 중심으로 우주항공분야 연구개발과 산업기능을 연계하기 위해 우주항공기술 연구개발 관련 기관인 항공우주연구원과 천문연구원을 우주항공청 인근에 소재하도록 하는 것을 골자로 한 ‘우주항공청 설치·운영에 관한..

대전 `30년 초과` 공동주택 비중 전국서 가장 높아… 대책 마련 필요
대전 '30년 초과' 공동주택 비중 전국서 가장 높아… 대책 마련 필요

대전의 공동주택 노후화 비중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도 주택 노후화가 심화되면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7일 부동산R114가 정부 '공동주택관리 정보시스템'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5년 6월 기준 전국 30년 초과 노후주택은 260만 6823채로 전체의 22%로 나타났다. 즉 전국 주택 4채 중 1채가 노후주택인 셈이다. 노후 주택은 2022년 135만 9826채(12%), 2023년 170만 5215채(15%), 2024년 219만 4122채(18%)로 꾸준히 늘..

`환불` 하려니 안된다?...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 다발
'환불' 하려니 안된다?...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 다발

충청권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지역민들의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피해구제 신청 중 환불 문제가 가장 많이 발생해 캠핑장을 예약하기 전 날씨와 환불 규정을 꼼꼼하게 확인해야 한다. 17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접수된 캠핑장 관련 피해구제 사건(327건) 중 환불 불만 사례가 246건으로 전체의 75.2%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경기·인천이 48.1%(157건)로 가장 많았고, 대전·세종·충청이 15.7%(51건), 강원 12.9%(42건), 부산·울산·경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장마철 앞두고 적십자사 구호물품 준비…‘유비무환’ 장마철 앞두고 적십자사 구호물품 준비…‘유비무환’

  •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