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성어는 삶의 이음매] 2. 숙부은공(叔父恩功)

  • 문화
  • 사자성어는 삶의 이음매

[사자성어는 삶의 이음매] 2. 숙부은공(叔父恩功)

홍경석 / 수필가 & '사자성어를 알면 성공이 보인다' 저자

  • 승인 2019-11-02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사람에겐 숨기고픈 과거와 아픔이 있다. 이런 관점에서 나의 그 '과아'(과거와 아픔)는 부모님의 사랑과 정을 받지 못하고 자랐다는 거다. 어머니는 나의 생후 첫돌 무렵 가출했다.

그래서 60년이 되는 지금껏 어머니의 얼굴은 꿈으로조차 꿀 수 없다. 사진 한 장조차 남기지 않은 때문이다. 실의의 늪에 함몰된 아버지께선 늘 그렇게 술만 드셨다. 가장이 돈은 안 벌고 두문불출 술독에만 빠져 사셨으니 나라도 벌지 않으면 안 되었다.

초등학교 시절 반에서 줄곧 1~2등을 달렸지만 중학교 진학은 사치였다. 설상가상 숙부님께서 주신 나의 중학교 등록금조차 아버지께선 술로 죄 탕진하셨다. 궁여지책으로 삭풍이 휘몰아치는 천안역에 나가 신문팔이를 했다.

구두닦이에 이어 광주리에 호두과자와 사이다 등의 음료를 담아 차부에서 팔았다. 이어 공사장의 잡부와 공장의 공돌이까지 해봤다. 그럼에도 여전히 술만 탐하는 아버지가 미워 가출했다.



하지만 '나까지 버리면 아버지는 과연 누구 보살필 것인가...?' 라는 화두에 방점이 찍혔다. 보름 여 만에 귀가하여 투항하고 내 잘못을 빌었다. 이것도 내 팔자다…… 전생에 죄를 너무나 많이 지은 업보다…… 이렇게 생각하니 차라리 맘도 편했다.

지난 일요일에는 천안에서 죽마고우들 모임이 있었다. 모임을 마친 뒤 숙부님이 그리워서, 그리고 보고파서(!) 택시를 불러 아산(온양온천)으로 달렸다. 그 전엔 사촌동생과 B형까지 불러내서 시장어귀 치킨집에서 술을 추가했다.

만취하여 어찌 숙부님 댁에 도착했는지 기억에 없다. 이튿날 새벽에 눈을 뜨니 숙부님께서 라면을 끓여주셨다. "무슨 술을 그렇게나 많이 마셨니? 속 아플 테니 어서 이 라면 먹거라."

예나 지금이나 이 못난 장조카를 친자식 이상으로 사랑해 주시는 숙부님의 감사함에 눈물이 솟구쳤다. 개인적으로 [삼국지]보다 [초한지]를 즐겨 읽는다. 초한지(楚漢志)는 중국의 역사이자 소설로도 유명하다.

초한지의 두 주인공은 항우(項羽)와 유방(劉邦)이다. 진나라 말기 초나라 항우와 한나라 유방의 기나긴 대립을 묘사하고 있다. 모든 면에서 불리했던 유방과 달리 항우는 '역발산기개세力拔山氣蓋世'라는 별칭에 걸맞게 자유분방과 안하무인의 삶을 살았다.

이를 경계한 그의 숙부 항량(項梁)은 매사 용의주도와 심사숙고를 주문했다. 그러나 고착화된 그의 편견과 잔인한 성정은 누구도 막을 수 없었다. 뿐만 아니라 참모들의 진언 역시 간과하기 일쑤였던 게 그의 치명적 약점이었다.

초한(楚漢) 쟁패의 주도권은 원래 항우에게 있었다. 이를 간파한 그의 숙부는 후발주자인 유방이 장차 화근거리가 될 것을 간파한다. 하여 유방을 암살하기 위해 '홍문연회'를 마련한다.

그렇지만 살의를 느낀 유방이 저자세로 나오자 항우는 그만 또 의기양양했다. 그리곤 자신의 경쟁자로 꼽히는 인물이 자기 앞에서 비굴하게 행동하니 그만 마음까지 놓아버렸다. 숙부의 거듭되는 주살 명령조차 개의치 않았다.

숙부는 탄식했으나 유방은 이미 멀찌감치 달아나고 말았다. 역사에 가설이란 필요치 않다. 그렇긴 하더라도 당시 항우가 숙부의 말을 좇아 유방을 죽였다면 후일 그는 초한지의 승자가 되었지 않았을까?

이러한 어떤 '숙부론'을 거론하는 것은 나의 숙부님 또한 항량에 버금가는 대단하신 분인 까닭이다. "잘 먹었습니다. 이제 저 갈게요. 늘 건강하셔야 됩니다!" 숙부님께선 아파트의 밖까지 따라 나오시어 작별인사를 하셨다.

"너도 나이가 있으니 술을 줄이고 건강에 신경 쓰려무나. 그래야 네가 못 받고 자란 부모의 사랑과 손자손녀에 대한 내리사랑까지 실천할 수 있을 테니까." "네, 명심하겠습니다. 안녕히 계세요~"

마침맞게 빈 택시가 왔다. "온양온천역까지 가 주세요." 이윽고 탑승한 신창 발 청량리 행 전철. 빈 좌석에 앉아 새삼 숙부님의 감사함을 되새겼다.

"네가 남들처럼 대학, 아니 고등학교까지만 졸업했더라도 오늘날 넌 분명 떵떵거리는 위치에서 당당히 군림했을 것……"이라며 아쉬움을 여전히 피력하시는 숙부님은 제2의 아버지, 아니 실은 사실상 진정한 아버지와 같은 분이시다.

"숙부님~ 부디 건강만 하셔야 돼요! 사랑합니다!! 고맙습니다!!!"

홍경석 / 수필가 & '사자성어를 알면 성공이 보인다' 저자

사자성어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탈세 혐의' 타이어뱅크 김정규, 항소심도 징역 7년 구형
  2. 걸을 수 있는데 28년간 하지마비? 산재보험 부당수급 잇달아 적발
  3. 증산도 상생봉사단, 태백산서 자연정화.산불예방 캠페인 벌여
  4. 충남대병원, 정신건강 입원영역 적정성 평가 1등급
  5. 부동산 경기 악화에… 대전 오피스텔 공급 절벽
  1. 호국보훈의 달 앞두고 단장하는 현충원
  2.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37. 대전 유성구 온천1동 인근 파스타·스테이크
  3. 정부, 통상리스크 대응에 28.6조 정책금융 공급… 지역 피해기업 '숨통 트이나'
  4. 세종에선 고등학생들이 선거벽보에 담뱃불… 현재까지 3건 수사중
  5. 유성구, 청소년부모 아동양육비 지원 대상 집중 발굴

헤드라인 뉴스


대전·세종·충청 `이재명 45%, 김문수 36%, 이준석 14%`

대전·세종·충청 '이재명 45%, 김문수 36%, 이준석 14%'

21대 대통령 선거를 10여 일 앞두고 대전·세종·충청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국민의힘 김문수,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를 오차범위 밖에서 앞서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첫 대선 TV 생중계 토론회 결과가 반영된 조사에서 '1강 1중 1약' 흐름이 확인됐다는 평가 속 이 후보는 두 후보와의 가상 양자 대결에서도 40% 중후반대 지지율로 우위를 점했다. 선거일까지 지금의 흐름이 굳어질지, 단일화 성사 등의 이벤트로 구도가 흔들릴지 주목되는 가운데 부동층 표심이 승부를 결정지을 변수로 꼽힌다. 중도일보와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대신..

부동층 & 지지층 충성도, 21대 대선 종반전 가를 최대 변수로
부동층 & 지지층 충성도, 21대 대선 종반전 가를 최대 변수로

21대 대통령 선거가 종반으로 접어들면서 부동층의 향배와 지지층의 충성도가 대선 승패를 결정지을 최대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중도일보와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대신협)가 20~21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7명을 상대로 대선후보 지지도를 조사한 결과, 대전·세종·충청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45%,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36%,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가 14%를 기록해 '1강 1중 1약' 구도를 보였다. 이재명 후보가 두 후보를 오차범위(95% 신뢰수준에 3.1%p) 밖에서 앞서는 상황에서, 지지 후보가 없다고 응답한 비..

충청 주민들 균형발전 위해 지역특화산단 최우선 과제 꼽아
충청 주민들 균형발전 위해 지역특화산단 최우선 과제 꼽아

충청권 지역 주민 다수는 다음 달 4일 취임하는 차기 대통령의 지역 균형발전 과제로 '지역 특화산업단지 조성'을 최우선 꼽았다. 국가균형발전은 국토와 국민을 보전하기 위해 더는 늦출 수 없는 최우선 국가과제다. 수도권에 고부가가치 산업이 몰리면서, 지방과 GRDP 편차가 갈수록 커지는 등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특화산업 육성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지역에 확충·분배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본 것이다. 이와 함께 중앙행정기관의 지방이전도 핵심 과제로 꼽았다. 설문에는 명시되지 않았지만 사실상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필요성 의견을 낸..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 ‘실제 상황이 아닙니다’…재난현장 긴급구조 종합훈련 ‘실제 상황이 아닙니다’…재난현장 긴급구조 종합훈련

  • 한빛탑 앞 선관위 캐릭터 `참참이` 눈길 한빛탑 앞 선관위 캐릭터 '참참이' 눈길

  • 호국보훈의 달 앞두고 단장하는 현충원 호국보훈의 달 앞두고 단장하는 현충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