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는 2025년까지 대전 도심 외곽에 32.5㎞ 왕복 4~6차로를 설치하는 대전 외곽 순환도로 교통망 구축 사업을 추진 중이다.
총 사업비는 약 8470억원(국비 3660억원, 시비 4810억원)이다. 순환도로망 구축 사업은 문재인 대통령 대선 공약 사업이기도 하다.
대전시는 공사를 앞둔 정림동~사정교 구간(2.4㎞)을 비롯해 ▲사정교~한밭대교 구간(7.5㎞) ▲산성동~대사동 구간(2.8㎞) ▲비래동~와동~신구교 구간(5.7㎞) ▲유성대로~화산교 구간(2.7㎞) ▲와동~신탄진동 구간(7.4㎞) 등 7개 구간을 추진 중이다.
총 길이 32.5㎞인 순환도로는 교통 정체의 숨통을 트일 역할을 할 전망이다. 대전은 광주, 대구 등 타 도시와 달리 순환도로망이 부족해 출·퇴근 시간 극심한 정체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도심의 도로 면적을 차지하는 도로율은 34%로 지방 6대 광역시 중 가장 높지만, 차량 통행속도는 23.7㎞로 가장 느리다. 4차로 이상 간선기능의 도로비율(23.9%)이 낮은 게 주 원인으로 분석된다. 더욱이 오는 2025년 도시철도 2호선 트램 개통을 앞두고 있다. 트램 전체 노선 37.4㎞ 중 약 9㎞가 트램으로 인해 도로가 잠식된다. 교통 정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앞서 지난 10월 국토위 국정감사에서 주승용 의원(더불어민주당·여수 을)은 트램으로 인한 교통체증을 우려하며 "순환도로망 사업 계획 6개 구간이 차후 정부의 도로망 개선계획에 포함되지 못한다면 순환 도로망 구축에 대한 대안이 없는 상태"라고 지적했다.
대전시는 지난해 말까지 간선도로망 정비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용역을 통해 대전권 순환도로망에 대한 검토를 마쳤다.
총 7개 구간 중 정림중~사정교 구간은 지난해 4월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조사 문턱을 넘어 현재 설계 중이다. 나머지 6개 구간 중 B/C 자체분석결과 1이 넘지 않는 산성동~대사동 구간을 제외한 5개 구간은 국가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 중이다. 현도교~신구교 구간은 지난해 1월 국토부에 제5차 국지도 건설계획 반영을 건의했다. 와동~신탄진동 구간은 올해 9월 국토부 산하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에 제4차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 반영을 건의했다. 사정교~한밭대교, 산성동~대사동, 비래동~와동, 유성대로~화산교 구간은 제4차 대도시권 교통혼잡도로 개선계획에 담길 수 있도록 노력 중이다. 산성동~대사동 구간은 B/C 자체분석결과 0.69로 낮아 차로 조정, 건설 방식 등 BC를 보완해 추진할 예정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대전시는 타 특·광역시와 교통혼잡비용이 높은 편이며, 이명박 정부 시설 대형 사업에서 제외되는 등 국가균형발전 측면에서도 순환도로망 구축 사업은 필요하다"면서 "앞으로 지속 건의해 국가계획에 담길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