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버라이프]"돈에 대한 지혜"

  • 사람들
  • 뉴스

[실버라이프]"돈에 대한 지혜"

  • 승인 2019-11-21 09:17
  • 한성일 기자한성일 기자
"인생에서 가장 쓸데없는 일이 돈 모으는 일이란다. 평생에 돈이나 모으면서 인생을 허비한다면 정말 슬프지 않겠니. 세상에는 돈 보다 소중한 것이 무척 많은데 말이야"

어느 어머니가 사랑하는 아들의 장래를 염려하여 한 말이란다.



여기서 우리는 삶의 뒤편에서 불편을 해소하는 필요요건인 돈의 습성을 간과 할 수 없다. 자녀를 사랑하는 어머니는'돈은 사랑의 대상이 아니라'는 성경말씀을 곡해 한듯하다.

디모데전서 6장10절에서 "돈을 사랑함이 일만 악의 뿌리가 되느니라." 했다.



여기서 말하는 의미는 돈을 최고의 목표로 추구 하는 자는 믿음에서 떠나게 되고 그 결과 자신의 마음에 고통을 받아 멸망에 이르게 된다는 의미가 있다.

히브리서 13장5절에는 "돈을 사랑치 말고 있는바 족한 줄로 알라" 했으니 돈은 사랑의 대상이 아님은 확실하나, 전도서 10장19절에서는 "돈은 범사에 응용 되느니라" 했으니 돈은 사랑하지는 않으나 거부할 수 없는 필요요건임을 의미한다.

잠언 20장4절에 "게으른 자는 가을에 밭 갈지 아니하나니 그러므로 거둘 때에는 구걸 할지라" 이는 게으른 생활은 빈곤의 원인이 된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요즘 많은 사람들이 돈을 버는 "손쉬운 방법 찾기"에 골몰한다.

땀과 노력 보다는 "기법" 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이것은 과일나무를 심지 않으면서 과일을 기대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나무를 심으려면 먼저 땅부터 깊이 파야한다. 땅을 판다는 것은 돈을 저축 한다는 비유라 생각할 수 있다. 삽을 쥐고 쉬지 말고 기꺼이 땀을 흘려야 땅을 깊이 팔 수 있다.

적은 돈이라도 쉬지 않고 계속 저축하면 큰돈이 된다는 이치다.

오랫동안 저축해야 목돈을 마련할 수 있다. 우리 속담에 "고기 잡을 줄 모르면 개울을 막고 물을 퍼라" 는 말이 있다. 우리 같은 소시민들의 생활 습관이 저축 이었으면 한다.

이사야 30장23절에는 "네가 땅에 뿌린 종자에 주께서 비를 주사 땅 소산의 곡식으로 살찌고 풍성케 하실 것이며 그날에 너의 가축이 광활한 목장에서 먹을 것이요" 라고 말씀 하셨으니 씨 뿌림 없이 거두는 법은 없다. 우리 모두 콩 심으면 콩 나고 팥 심으면 팥 나는 심은 대로 거두는 농심으로 돌아가야 하겠다.

돈 모으는 일이 쓸데없는 일이라고 가르친 어머니가. 좋은 직장에서 부족함을 모르고 풍부를 누리며 살아가던 아들이 중년에 실직을(사오정)하여 수입은 없는데 자녀들의 학비 등 가정사에 쓸 곳은 많고, 또한 당장 시급한 일이 생겼는데, 필요한 돈은 없으니 어찌 할고?

이때 어머니는 무어라 말할까?

"내가 잘못 가르쳤구나 진즉에 저축 하라고 했드라면 하며 후회 했겠지" 이런 때 평소아끼고 저축한 통장이 있다면!

돈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게 본다.

"돈"이란 사전적으로 물건 값이나. 재산이나 재물의 가치를 나타내며, 상품의 교환 매체의 대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고금을 막논 하고"돈은 있으면 대접받고, 없으면 푸대접을 받는다. "천한 사람도 돈이 있으면 남들이 귀하게 대접하여 준다." "돈만 있으면 귀신도 부릴 수 있다." "돈만 있으면 못 할 일이 없다"라고 말한다. 그만큼 현대를 살아가는 세상에서는 돈의 소유에 따라 그 사람의 격(格)을 정하기도 하는 것이다.

돈은 사람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것임에는 이의가 없을 것이다.

지금은 핵가족시대로 자녀와 같이 동거하는 가정은 찾아보기 어렵다.

평생 먹고 살기위해 열심히 일을 하며, 자녀들을 교육시키고, 이제나이가 들어 모은 돈을 생의 마지막까지 쥐고 사느냐, 자녀들에게 물려주느냐, 사회에 환원하느냐 등등 아직은 우리의 문화에 익숙하지 않은 유산의 처리에 대하여는 갖가지 분분한 이야기가 끝이 없이 회자(膾炙)되고 있다.

외롭게 살고 있는 어느 노인의 이야기가 다시 한 번 돈에 대하여 생각하게 한다.

"노인이 병이 들어 외롭게 누워 있지만 일이 바쁘다는 등의 이유로 찾아오는 자녀가 하나도 없자. 노인은 집 한 채를 팔아 저축한 통장을 침구 밑에 간직하고 찾아오는 자녀에게만 출금할 수 있도록 하였더니 아침저녁으로 손자는 물론 며느리와 자녀들이 번갈아가며 문안을 오기 때문에 노인은 생의 마지막까지 외롭지 않았다고 한다.

특히 둘째 며느리는 문안 와서 다리를 주무르는 등 온갖 정성을 다하여 누구보다도 많은 돈을 얻어가자 다른 며느리로 부터 질투의 눈총을 받았다고 한다."

하편 재산을 많이 남겨준 이유로 재산싸움, 소송 등 왕자의 난이라는 가정불화와 우리사회의 갈등도 종종 나타나고 있다.

"돈은 개처럼 벌어서 정승처럼 쓰라"는 속담이 있다.

구두를 닦으며. 김밥장사를 하며. 갖가지 어려운 일을 하며 모은 돈을 교육발전을 위해 기꺼이 후원금으로 내놓은 분들의 미담이 우리사회를 밝히고 있다.

ㄷ. ㅗ. ㄴ을 바르게 역으면 "돈"이 되지만, 'ㅗ'를 90도 오른쪽으로 돌려(ㅓ) 붙이면"덕(德)"이 되며. 'ㄴ'을 180도 돌려(ㄱ) 붙이면 "독(毒)"이 된다.

힘써 모은 돈이 남에게 희망을 줄 수 있다면 "덕(德)"이 되지만, 돈을 어떻게 싸야할지 모르고 잘못 쓰면 "독(毒)"이 된다.

정으로 오가는 식사 또는 작은 선물은 인간관계에 돈으로 계산할 수 없는 "덕(德)"이 되지만, 많은 돈으로 옳지 못한 일에 건네는 뇌물은 "독(毒)"이 된다.

뇌물은 뇌에 물이 들어가 사망하기 때문이다.

"돈을 주고 못사는 것이 어디 있느냐"라 하는 금전만능주의(金錢萬能主義)의 시대(時代)라지만 막대한 권력(權力)으로도. 돈(財力)으로도 얻을 수 없는 것은 하나둘이 아니다.

이갑선 명예기자(대자연마을경로당 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1기 신도시 재건축 '판 깔렸지만'…못 웃는 지방 노후계획도시
  2. 밀알복지관 가족힐링캠프 '함께라서 행보캠'
  3.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4. 축산업의 미래, 가축분뇨 문제 해결에 달렸다
  5. 교정시설에서 동료 수형자 폭행 '실형'…기절시켜 깨우는 행위 반복
  1.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 1호점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2. 농산 부산물, 부가가치 창출...환경과 경제 살리는 동력
  3. 어촌서 재충전, '쉬어(漁)가요'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4. 챗봇 '해수호봇', 해양안전 디지털 혁신 이끈다
  5. 대통령실 인사수석에 천안 출신 조성주 한국법령정보원장

헤드라인 뉴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9일 “남북이 다시 손잡는 핵심은 경제협력이고, 우리는 경제통일에 민생통일을 추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통일부가 2026년 남북협력기금으로 1조 25억원을 편성했다. 주목할 것은 경제협력사업 예산으로, 606억원에서 1789억원으로 세 배가량 증가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개성공단과 같은 경제협력 사업의 재개를 위해 필요한 도로와 폐수 시설 같은 복구와 구축 사업 예산”이라며 “남북이 힘을 합치면 경제 규모도 커지고 일자리도 늘어나고, 동..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새 정부 출범 이후 가파른 상승세를 타던 국내 증시가 최근 조정 국면을 맞고 있지만, 충청권 상장사들은 비교적 선방하고 있다. 전체적인 시장의 침체 분위기 속 8월 한 달 간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 합계는 전월 대비 0.3%(4074억 원) 증가한 152조 3402억 원에 도달했다. 한국거래소 대전혁신성장센터가 9일 발표한 대전·충청지역 상장사 증시 동향에 따르면 8월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은 152조 3402억 원으로 전월(151조 9328억 원) 대비 0.3% 증가했다. 8월 한 달 동안 대전·세종·충남 지역의 시총은 근..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민선 8기 대전시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이 속속 임기를 마치면서 연임과 교체의 '갈림길'에 놓였다. 이장우 시장의 임기가 1년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물갈이를 통한 조직 변화를 꾀할지, 연장으로 막바지 조직 안정화를 선택할지에 대한 관심이 쏠린다. 9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 출자·출연 기관장은 시장과 임기를 같이 하기로 조례로 정했지만, 시 산하 공기업은 지방공기업법을 적용받아 이와 무관하다. 이에 민선 8기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들의 3년 임기가 순차적으로 끝나고 있다. 대전관광공사는 임원 교체 분위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