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지역 시민단체가 한국원자력연구원(이하 원자력연)에서 발생한 세슘 등 방사성물질 누출과 관련해 정부에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나섰다.
핵재처리실험저지30㎞연대와 핵폐기를위한전국네트워크 등 회원 10여명은 5일 오후 청와대 사랑채 분수대 앞에서 원자력연 폐쇄와 안전대책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정확한 원인과 책임 규명을 위해 철저한 조사를 주문했다.
연대는 "그동안 원자력연구원의 수많은 불법과 비리, 범죄행위에도 불구하고 어떤 변화도 없었다. 어떤 감시와 규제도 없었고 사과 한마디면 그만이었다"며 "이번 사고도 마찬가지일 거다. 그래서 우리는 대전시나 원안위가 아니라 청와대로 왔다"고 기자회견 배경을 설명했다.
이들은 원자력연을 비판하며 재발 방지와 대전시민 안전을 위해 정부가 적극 나설 것을 강력히 요구했다.
연대는 "원자력연에 이제 더 이상의 시정 명령이나 자정 노력을 기대해서는 안 된다"며 "당장 원자력연구원을 전면 폐쇄해 모든 연구를 중단시키고 연구원과 인근 지역에 대한 전면 조사를 실시하고, 정확한 원인과 책임을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당장 관평천을 통제하고 인근 지역에 대한 환경 역학 조사와 주민 건강에 대한 대대적인 조사도 실시하라"고 주문했다.
이들은 원자력뿐만 아니라 사후 점검에 소홀했던 규제 기관을 규탄하는 목소리도 냈다.
연대는 "지난 2017년 연구원의 방사성 폐기물 유출 사고가 있었고 원안위는 시정 명령을 내려 제반 시설에 대한 조치를 취하라고 했다. 그때 배수구 등에 대한 조치가 제대로 이뤄졌다면 적어도 이번 사고는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며 "감시·규제 기관인 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이나 원안위 누구도 사후 점검을 하지 않은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는 명백한 직무 유기 행위이자 범죄에 대한 방조 행위"라고 규정했다.
이들은 기자회견 이후 청와대 사회조정비서관실 관계자를 만나 요구사항이 담긴 서한을 전달했다.
한편, 대전충남녹색연합과 대전환경운동연합은 지난 4일 논평을 통해 "원자력연이 대도심이 아닌 경주지역으로 이전해 소형원자로 연구와 사용 후 핵연료 연구계획을 발표하는 꼼수를 부리는데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생각을 해야지 이전을 통해 제재받지 않고 운영하겠다는 발상은 여전히 무책임하다"며 "원자력연구원은 연구를 중단하고 지역 주민들의 건강과 환경에 대한 책임감을 갖고 전면 쇄신으로 책임을 다하라. 또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해 책임자를 엄중히 처벌하고 2중, 3중의 안전관리체계 구축 등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힌 바 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