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접촉과 비접촉 그리고 범죄

  • 정치/행정
  • 충남/내포

[기고] 접촉과 비접촉 그리고 범죄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연구관 장일식

  • 승인 2020-04-01 09:36
  • 유희성 기자유희성 기자
사진(장일식)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연구관 장일식
오늘도 우리는 사람들을 만나고, 대화하고 같은 공간에서 함께 일하고 있다. 과거에는 접촉하면서 그들과 소통했다면 최근에는 SNS로 대면하지 않고도 더욱 편리하게 소통하는 사회가 되었다. 스마트폰으로 몇 단계만 거치면 내가 구매한 물건이 내일 집 앞에 택배로 배송되는 시대이고, 문 앞 배송 사진 한 장이 이 모든 상황을 쉽게 정리해 준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접촉으로 인한 감염의 위험이 더욱 확산되어 비접촉이 과거보다 안전하다는 인식을 더욱 확산시킬 가능성도 있다. 이번 사태에서 보면 종교 행사 시 예배 방식, 밀폐된 공간에서 격렬한 운동, 흡연실에서 감염 의심 등 다양한 형태의 감염방식으로 우리를 불안케 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번 코로나19는 접촉을 의도적으로 회피하여 비접촉 사회로의 진입이 더욱 가속화될 가능성이 크다.



실제 범죄 발생 추이를 살펴보면, 2015년 5대 범죄(살인, 강도, 강간·강제추행, 절도, 폭력/치안전망 2020, 치안정책연구소)는 57만5461건에서 2018년 48만8288건으로 15.1% 감소하였고, 2019년에는 전년 대비 소폭 상승했지만, 사이버범죄 중 몸캠피싱의 경우 2018년 1406건에서 2019년 1824건으로 29.7% 증가하였고, 인터넷 사기의 경우 2018년 11만2000건에서 2019년 13만6074건으로 21.5% 증가하였다.

직접 사람에게 위해를 가하는 범죄는 점차 감소세에 있고, 사이버상에서의 범죄는 다양화 고도화되면서 증가하고 있다. 이번 코로나19로 인해 비접촉을 선호하면서 사이버 공간의 영역도 확대될 것이며, 새로운 범죄 유형의 수법도 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불확실한 시대에 범죄는 진화하고 있다. 국민도 단순히 치안의 요구자에서 더욱 적극적인 예방자로 진화해야 한다. 최소한 대인 접촉으로 인한 범죄는 경찰에서 최단 시간 대처하여 검거할 수 있지만, 사이버상 또는 실체도 모르는 비접촉자에 대해서는 반드시 철저하게 확인하는 예방 습관이 필요하다.

촘촘한 사회적 안전망 구축은 기본이고, 범죄에 대비하기 위한 '무형의 마스크'를 개인별로 준비해야 할 시기가 도래한 것이다.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연구관 장일식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천 미추홀구, ‘시 특색 가로수길 평가’ 최우수기관 선정
  2.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3.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4.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5.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1.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2.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3. [종합]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차세대중형위성 3호 양방향 교신 확인
  4. 대전을지대병원, 바른성장지원사업 연말 보고회 개최
  5. 금은방 새벽 침입했지만, 금고는 못열어…절도미수 40대 징역형

헤드라인 뉴스


도시 체질개선 통한 `NEXT대전` 만들기 집중

도시 체질개선 통한 'NEXT대전' 만들기 집중

민선 8기 대전시가 도시 체질을 완전히 개선하며 'NEXT대전' 만들기에 집중하고 있다. 근대도시를 거쳐 철도 중심 도시와 과학도시를 거치면서 150여만명의 인구가 살아가는 대전에 공간은 물론 산업과 문화 구조를 변화시키며, 미래 일류도시로 나아가고 있다. 대전시는 기존에 갖고 있던 대덕특구를 기반으로 한 과학도시에서 6대 전략 산업 'ABCD+QR(나노·반도체, 바이오, 우주, 국방, 양자, 로봇·드론)'을 중심으로 육성하면서 기술 사업화에 초석을 만들어 가고 있다. 이를 뒷받침 할 수 있게 안산, 교촌, 원촌, 장대도첨, 탑립·..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