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2월 7일 오후 부산시선거관리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4월 15일 국회의원선거 모의 개표 시연회'에 참석한 선관위 직원들이 비례대표 투표용지를 분류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
집권당 더불어민주당과 제1야당 미래통합당이 자당이 차지한 현역 지역구를 안정권으로 판단하고, 상대당 정치영토를 차지하는데 사활을 걸면서다. 전통적 '스윙보터' 지역인 충청에서 한 자리 차이가 큰 정치적 의미를 지닌 만큼 여야의 충청 총력전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과 통합당은 자당 지역구 사수를 자신하며 상대당 지역구를 빼앗는데 당력을 집중하고 있다. 양당이 자체 판단한 현 판세를 놓고 봐도 현역 지역구는 우세 또는 경합 우세로 분류했다. 자연히 양당의 공략지는 상대당 지역구로 좁혀지며, 전체 선거판이 혼전 양상을 띠고 있다.
대전은 의석으론 민주당이 4석, 통합당이 3석을, 지역으론 민주당이 신도심, 통합당이 원도심을 차지해 경쟁 구도가 뚜렷하다. 민주당은 이번 총선에서 서구와 유성을 사수하며, 원도심에 반드시 진출하겠다는 목표다. 원도심 3개 지역구 가운데 서구와 인접한 중구를 최대 공략지로 꼽고 있다.
민주당 관계자는 "원도심 지역구를 한 곳이라도 가져와야만 대전에서 승리했다고 볼 수 있다"며 "원도심 진출을 위해 후보 캠프와도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통합당은 최대 숙원인 신도심 진출을 이번에 이루겠다는 각오다. 특히 신인과 여성을 전격 배치한 유성에 기대를 거는 모습이다.
한국당 관계자는 "원도심은 주민들의 보수적 성향과 함께 우리 당 현역들의 지역 관리 또한 잘 이뤄져 왔다"며 "신도심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충남에서도 양당 간 기싸움이 팽팽하다. 민주당은 통합당이 차지하고 있는 서산·태안과 아산갑에 화력을 집중하고 있다.
두 지역 현역들의 각종 의혹을 제기하며 여론전에 나선 것인데, 통합당은 대수롭지 않다는 반응이다. 통합당 관계자는 "근거 없는 의혹 제기와 비방은 그쪽이 조급하다는 방증"이라며 "선거 결과가 이를 증명할 것"이라고 했다. 공주·부여·청양도 네거티브에 더해 고발전까지 벌어지며 과열로 치닫고 있다.
충남 수부도시 천안은 상황이 복잡하다. 민주당 지역구인 천안갑과 천안병에서 현역 불출마로, 비현역 간 맞대결이 성사됐기 때문이다. 천안갑은 보수성향을 띠는 농촌지역이 포함된 점이, 천안병은 민주당 경선 불복에 따른 무소속 후보와 정의당 후보의 출마에 따른 민주진영의 표 분산 여부가 변수로 꼽힌다.
충북도 양당 모두 현역 지역구 사수를 노리면서 경쟁이 치열하다. 민주당은 청주 흥덕과 청주 청원, 제천·단양을, 통합당은 충주와 보은·옥천·영동·괴산, 증평·진천·음성을 우세지역으로 판단하고 있다. 세종은 민주당이 갑·을 모두 우세를 점치는 가운데 통합당은 '김병준 효과'를 내세워 표심을 공략 중이다.
서울=송익준 기자 igjunbab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