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월드는 지난 2015년 이후 답보상태에 있던 오월드의 한국늑대 번식사업이 5년 만에 성과를 거두고 새끼늑대를 6일부터 오월드내 어린이 동물원에서 관람객들에게 공개한다. 사진제공은 대전도시공사 |
한국의 야생늑대는 우리의 산하에서 볼 수 없다. 늠름한 자태로 산골짜기를 메아리치는 늑대의 포효소리를 들을 수 없는 사실은 슬픈 현실이다. 우리 토종의 동물들이 자꾸 사라져간다. 하루라도 빨리 토종 동물들을 살려내야 한다.
5년여 만에 새끼 한국늑대가 일반에 공개된다.
3일 오월드에 따르면 지난 2015년 이후 답보상태에 있던 오월드의 한국늑대 번식사업이 5년 만에 성과를 거두고 새끼늑대를 6일부터 오월드내 어린이 동물원에서 관람객들에게 공개한다.
오월드는 지난 4월 태어난 새끼 한국늑대 6마리(수컷 2·암컷4)가 안정적으로 성장해 일반 공개를 결정하고 전시시설 마련 등 준비 작업 중이다. 이번에 공개되는 새끼 늑대는 2008년 러시아 사라토프 주에서 들여온 늑대 3세들이다.
그동안 오월드에서는 새끼늑대가 태어나면 자연 포육을 유도했으나 개체 간 세력싸움 등으로 새끼가 희생됐었다. 결국 오월드 동물관리팀은 4월 2일과 17일 태어난 새끼 늑대에 대해 인공포육방식을 적용하고 출생 초기에 기존 늑대와 분리해 사육사들이 돌봤다.
오월드는 전국 동물원 중 유일하게 한국늑대를 사육하고 있으며, 기존 16마리에 이번 6마리까지 총 22마리를 보유하게 됐다.
한국늑대는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기종 1급 동물로 현재 자연상태에서는 멸종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편, 대전시는 녹색도시 조성에 힘쓰고 있다. 녹색 도시는 자연과 사람이 어울려 사는 아름답고 깨끗한 도시다. 70% 이상이 녹지로 이루어져 있다. 녹색도시는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 무공해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도로의 포장을 최대한 줄이고, 전차나 모노레일 등 대중교통을 이용해 환경오염을 줄이려고 노력한다. 또한 태양·풍력 등의 무공해 발전을 이용하며 화석 연료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있다. 녹색도시는 도심 속 농경지 등이 잘 갖추어져 있다. 녹색 도시를 만들려면 주위 환경과 공기를 깨끗하게 유지해야 한다. 독일의 대표적인 환경 친화 도시 프라이부르크는, 시민들의 작은 실천에서 시작됐다. 녹색도시는 시민과 정부가 다 같이 노력하여야만 조성할 수 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