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야당 몫 국회 부의장으로 내정됐었던 미래통합당 정진석 의원이 29일 국회에서 열린 긴급 의원총회에서 동료 의원들과 대화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
다만 법제사법위원장직 재협상을 요구하며 여지를 둬 의장단 선출이 이뤄질 수도 있다.
최형두 원내대변인은 8일 의원총회 뒤 기자들과 만나 "법제사법위원회가 빠진 상임위원장은 의미가 없다. 국회 부의장 자리도 연장선상이라는 결론"이라며 "국회 부의장은 내부적으로 뽑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야당 몫 국회 부의장 내정자인 정진석 의원(충남 공주·부여·청양)도 의원총회를 나서며 "부의장을 추천하지 말아 달라고 말씀드렸고, 원내지도부에서 받아들였다"고 전했다.
통합당의 이같은 방침으로, 기대를 모았던 '충청 의장단' 탄생 가능성은 적어졌다. 현재 여당 몫 국회의장으론 박병석 의원(대전 서구갑), 부의장엔 충남 공주 출신인 김상희 의원(경기 부천병)이 오른 상태다.
물론 문이 아예 닫힌 건 아니다.
최 원내대변인은 '국회 부의장을 포기하는 것이냐'는 질문에 "법사위원장 문제를 여당이 다시 해결할 방법이 있다"며 "여당이 협치의 전통과 원칙을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법사위원장 문제를 재협상할 경우 부의장도 함께 논의할 수 있다는 뜻이다. '여당이 부의장직을 차지할 수 있다'는 질문엔 "그건 자기들이 책임질 일"이라고 선을 그었다.
서울=송익준 기자 igjunbabo@
![]() |
▲미래통합당 정진석 의원(왼쪽)과 서병수 의원이 3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